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수
해조
짠물
민물
바다물
바다
소금물
d라이브러리
"
바닷물
"(으)로 총 1,008건 검색되었습니다.
근대화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흐름속에 있는 물체의 운동 등을 조사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만든 장치
바닷물
하천 호수의 물 속에 떠돌아 다니는 작은 생물 운동력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자기 자신이 잘 방향을 잡지 못하고, 조류(潮流)에 따라 떠돌아 다니면서 번식한다 이 때문에 부유(浮游)생물이라고도 불린다 ... ...
몸속 1㎏ 미생물이 우리 몸 지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어떤 미생물은 인체의 상태를 자신이 살기 유리하게 바꾸는 것으로 추측된다.예를 들어
바닷물
에 사는 세균으로 인간에게 콜레라나 식중독을 일으키는 비브리오균을 보자. 이들은 사람의 장내로 들어오면 설사를 유발하는 독소를 생산해 사람으로 하여금 설사를 일으키게 한다. 그러면 이 설사를 ... ...
수렁에 빠져도 정신만 차리면 뜬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더 단단해집니다. 물이 모래알들 사이의 마찰력을 더 크게 하기 때문입니다.이제
바닷물
에 다 왔습니다. 뭔가 느낌이 이상할 것입니다. 발이 갑자기 쑥 들어가기 시작하면서 밑에서 뭔가가 자신을 끌어당기는 듯한 느낌을 갖게 됩니다. 한때 모래알들 사이의 마찰력을 높이는 물이지만, 과도하게 ... ...
방귀냄새 맡고 모기 미끼 되는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큰 문제는 부시가 말한 78개 세포주 가운데 쓸만한 것은 11개에 불과한 것. 해양학자에게
바닷물
한컵을 건네고는 “이것을 가지고 바다를 연구하라”는 격이다.행성 보호Planetary Protection Officer나사에는 지구와 다른 행성이 인간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막는 사람이 있다. 우주선이 지구의 미생물을 ... ...
석유보다 값진 물 - 동해 심층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동해고유수를 보충한다.동해고유수는 수온은 약 1℃ 이하고, 염분은 약 34.01‰ (퍼밀,
바닷물
1kg에 함유돼 있는 염분의 그램(g)수)이며, 용존산소는 약 5mL/L 전후다. 이런 동해고유수는 3백-7백년에 걸쳐 순환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동해고유수는 무한정 사용해도 되는 자원일까. 해양심층수는 ... ...
강간도 적응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중 ‘이모’(Imo)라는 놈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놈이 더러운 감자를 처음으로
바닷물
에 씻어먹기 시작했죠. 그러자 다른 원숭이들도 몇세대 안에 거의 전부가 그런 행동을 할 수 있게 됐습니다. 새로운 형질이 어떻게 개체군 내로 확산되는가를 보여주는 유명한 사례입니다.핀커(D팀): 매우 적절한 ... ...
송도 늦둥이 흰물떼새 첫 걸음마 포착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대사를 사모한 당나라 젊은 여인이 결혼하기를 원했다. 의상대사가 거절하자 당녀는
바닷물
에 몸을 던지고 말았다. 의상대사는 당녀의 혼을 위로하기 위해 문무왕 17년 당나라와 가장 가까운 부석면 도비산에 절을 짓기 시작했다. 그러나 주민들의 심한 반대로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 그러자 갑자기 ... ...
오염물질 정화하는 자연의 콩팥 갯벌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육지로 움푹 들어간 만도 여럿 존재한다. 이 같은 자연환경은 밀물과 썰물이 반복되면서
바닷물
이 해안가에 물질을 퇴적하기 최상인 조건이다. 파도도 강하게 일지 않기 때문에 차곡차곡 쌓인 퇴적물층은 결국 넓은 갯벌로 성장한다.하지만 갯벌이 만들어지는 기본적인 조건을 모두 갖췄다고 ...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모래사막 해안사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아니라
바닷물
에 빈번히 잠기는 전사구 자체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실제로 갯그령은
바닷물
에 잠겨도 어느 정도까지는 버틸 수 있다. 사구식물이 다른 식물과 달리 염분에 노출돼도 성장이 가능한 이유는 아직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한편 사구지대의 식물은 다른 나무의 그늘에 가려 보호받지 ... ...
바다의 올림픽 선수 고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주력하고 있는데, 그 오메가(OMEGA) 시스템은 세계 최강으로 알려져 있다 핵융합 기술은
바닷물
에 함유되어 있는 수소원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원료는 사실상 무한하다 중수소나 리튬 등 가벼운 원자핵이 핵반응 결과 보다 무거운 원자핵에 융합하는 현상을 응용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 · 지열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