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체"(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그 이름은 멋있다고 생각하는 순박한 사람들이 지은 이름이었다. 지구 가까이 있는 물체를 연구하는 팀이라는 뜻인, ‘Near Earth Object Team’의 약자였는데, 혹시 지구에 부딪혀서 위험할지 모르는 우주의 소행성 따위를 연구하는 곳이었다. 이름을 지으신 분들은 연구소 이름을 ‘네오트’처럼 ... ...
- 누구나 쉽게 상상을 현실로, 한캐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수 있도록 ‘한블록’이라는 아두이노용 블록도 개발했다. 한캐드로 디자인한 물체를 3D프린터로 출력하고, 한블록으로 프로그래밍한 알고리즘을 담은 아두이노를 연결하면 원하는 대로 움직이는 로봇을 만들 수 있다. 박 이사는 “한캐드가 쉬운 캐드에서 국민 캐드가 되는 게 목표”라며, ...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라진 피젯 스피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지구는 하나의 거대한 자석과 같아요. N극과 S극의 성질을 가지고 있고, 자석처럼 물체를 당기거나 밀치는 힘인 ‘자기력’이 있지요. 이 자기력이 미치는 공간이 바로 ‘자기장’이랍니다. 영화 속 장면은 과장이 있지만, 실제로 지구 자기장은 태양에서 오는 해로운 방사선을 막아 주는 보호막 ... ...
- [Tech] 과학으로 달리는 전기자전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센서가 들어있다. 물체를 회전시키는 힘을 돌림힘(토크)이라고 하는데, 토크와 회전하는 물체의 각속도를 곱하면 모터의 출력량이 된다. 모터 속 센서는 페달이 돌아갈 때마다 순간적인 회전각속도를 측정한다. 모터의 출력량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회전각속도가 증가할수록 필요한 토크는 ... ...
-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1785년 전하와 전하 사이의 힘을 최초로 실험을 통해 측정해냈다. 쿨롱은 대전된 두 물체가 서로 미는 실험을 고안해 대전된 두 입자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적 인력은 두 전하의 곱에 비례하고, 두 입자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쿨롱의 법칙’을제안했다. 오늘날 전하량의 단위로 ... ...
- 어느 수학자의 하루 - 커피, 맥주, 거품, 소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움직인다. 커피 가루를 구멍이 있는 물체로 보면, 커피 가루가 물에 녹는 현상은 구멍 난 물체인 커피 가루가 물이라는 유체의 힘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마치 바짝 마른 스펀지에 물을 부으면 스펀지에 빈 공간 사이로 물이 스며들어가 움직이며 모양이 변하는 것처럼 말이다. 어떤 물질에 변화가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蜀)’으로 이뤄졌어요.벌레의 머리에 붙은 뿔, 즉 더듬이를 뜻하는 글자지요. 더듬이가 물체에 닿으면 이를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닿는다’는 의미가 생겼어요. 여기에 ‘중매하다’라는 뜻의 ‘매(媒)’가 더해져 촉매는 ‘자신은 변화하지 않으면서 다른 화학반응을 변화시키는 물질’을 ...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다른 길로 우회하는 등 사고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차가 볼 수 없는 범위에 있는 위험물체나 사람에 대한 정보도 도로 정보를 취합하는 관제소를 통해 받을 수 있다. 김 박사는 “5G V2X 기술이 있으면 신호등도 필요 없고, 사고 위험도 현저히 줄어들 것”이라며 “현재는 5G 통신 규약을 정하고 있는 ...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1인 캐럽나무 씨앗 144개의 질량을 1 로마온스라고 했다. 캐럽나무 씨앗은 작고 가벼운 물체를 재는 데 용이했다. 덕분에 다이아몬드 같은 보석의 질량을 표시하는 보조계량단위인 ‘캐럿’이 캐럽나무 씨앗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곡물을 저울에 사용한 건 동양의 국가들도 마찬가지였다. ... ...
- 움직이고 부딪치는 운동량과 충격량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에 의해 서로 반대되는 힘을 같은 시간동안 받게 된다. 그리고 두 물체의 충돌 시간은 동일하다. 그렇다면 ‘충격량=힘×시간’에 따라 A와 B가 받은 충격량은 동일하며, 방향은 반대가 된다.이처럼 두 당구공은 충돌과 함께 운동량이 변한다. 왼쪽에서 다가온 A는 B와 충돌 뒤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