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3,08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컷에는 없고 암컷에는 있는 것은?
과학동아
l
201308
없고 암컷에는 있는 것은?아드리아나 브리스코 미국 UC어바인 생태진화생물
학과
교수팀은 헬리코니우스(Heliconius)라는 나비 종의 암컷이 수컷에는 없는 독특한 미각기관을 이용해 유독물질이 없는 식물을 찾아 알을 낳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이 논문에는 연구 내용을 요약한 만화가 부록으로 ... ...
과학이 인권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308
한편 이번 대회와 함께 치러진 제2회 대학생과학에세이 공모전은 세종대학교 전자공
학과
4학년 박창구 씨가 수상했다. 대학생과학에 세이 공모전의 심사위원인 김상연 과학동아 편집장은 “컴퓨터 뒤에 엉켜 있는 선이라는 일상적인 소재에서 시작해 IT와 전자세계에서 나타난 다양한 ‘무선 ... ...
돈 벌기 힘든 세상일수록 뜨는
학과
가 있다
과학동아
l
201308
학과
이지만 사람을 잘 알아야 하고, 수학뿐만 아니라 국어도 잘해야 하는
학과
. 산업공
학과
가 공대 속의 경영대, 근대 5종이라 불리는 이유이다.빅데이터로 트렌드를 알아낸다“2012년에 만든 데이터의 양이 그전까지 인간이 만든 총 데이터양보다 많습니다. 그리고 2013년에는 2012년을 포함해 그 ... ...
수
학과
세상의 경계를 넘나든 수학자 스티븐 스메일
수학동아
l
201308
중요성을 일깨워 주기에는 부족함이 없었다.현대수학의 여러 분야를 섭렵했고 순수 수
학과
응용수학에 대한 구분도 괘념치 않았던 그는, 1998년에 버클리대에서 ‘21세기에 풀어야 할 수학난제’를 정리해 발표한다. 여러 해 전에 이미 은퇴했지만, 30년 이상을 연구했던 학문적 고향에 돌아가서 ... ...
Part 1. 8월 바이러스 대습격
과학동아
l
201308
보유한 코로나바이러스와 염기서열이 약 94%나 일치했기 때문이다. 정용석 경희대 생물
학과
교수는 “이 박쥐가 우리나라를 포함해 동아시아 전역에 사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사람간 전염은 의심되는 사례가 있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아직 치료제와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다 ... ...
Epilogue. 인류는 바이러스로 멸망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1308
케크의과대 교수2007년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분자생물학 및 면역
학과
학과
장2012년 제22회 호암상 의학상 수상▼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이러스의 인간사육Part 1. 8월 바이러스 대습격Bridge. 사람이 일으키는 대유행 전염병, 바이오테러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Part 3. ... ...
뒤통수 함부로 때리지 마라
과학동아
l
201308
모두 같은 타입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래퍼가 노래할 때 발휘되는 창의성과 건축
학과
학생들이 도형을 갖고 문제를 풀 때 발휘되는 창의성이 뇌의 다른 부위에서 나올 수 있는 것이다. 이제다양한 유형의 영재성이 각각 뇌의 어떤 부분에서 만들어지는지밝혀내야 한다 ... ...
미토콘드리아 시계가 흔들리다
과학동아
l
201308
고고미술사
학과
와 미국 미시건대 인류
학과
를 졸업한 뒤 2001년부터 UC리버사이드 인류
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전공은 고인류학이며 인류의 두뇌 용량의 변화, 노년의 기원, 성차의 진화 등을 연구하고 있다. 암벽화, 화살촉 등 유적을 자료화하는연구도 진행 중이다.shlee@ucr ... ...
[life & Tech] 여름 햇살 뒤흔드는 매미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308
소리도감 발간도 총괄하고 있다.윤기상 대전 전민고등학교 과학(물리)교사. 물리
학과
환경학을 공부하고 매미소음문제를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2년부터 지금까지 국립생물자원관 ‘한국산 매미소리 도감’ 제작에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 ...
[시사] 야구 하는 고릴라가 나타났다! 미스터 고
수학동아
l
201307
공을 맞힐 때 각도도 중요하다. 을 쓴 로버트 어데어 예일대 물리
학과
교수는 공이 배트에 맞아 35°로 날아갈 때 가장 멀리 날아간다고 계산했다. 만약 강한 뒷바람이 분다면 최적 각도는 40° 정도로 조금 높아진다.하지만 이를 다 생각하고 치는 선수는 없다. 하물며 고릴라인 링링이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