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d라이브러리
"
물리
"(으)로 총 4,65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다른 듯 닮은 그녀들의 허벅지
과학동아
l
201402
두껍고 탄탄한 허벅지가 높은 점프의 비결김연아의 점프는 빠른 스피드를 유지한 채 도약해, 공중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고 착지거리가 긴 게 특징이다. 이 ... Intro. 金벅지’의 힘!Part 1. 다른 듯 닮은 그녀들의 허벅지Part 2. 그녀들을 최고로 만든 ‘
물리
스킬’Part 3. 그녀들의 체형은 신의 ... ...
Part 3. 그녀들의 체형은 신의 선물일까
과학동아
l
201402
긴 팔다리가 예술성 더한다피겨스케이팅은 체조처럼 평균보다 키가 작고 팔다리 길이도 짧은 사람이 유리하다. 키가 너무 크면 무게중심이 상대적으로 가 ... Intro. 金벅지’의 힘!Part 1. 다른 듯 닮은 그녀들의 허벅지Part 2. 그녀들을 최고로 만든 ‘
물리
스킬’Part 3. 그녀들의 체형은 신의 ... ...
진짜 ‘검은’ 블랙홀
과학동아
l
201402
엑스선 분출이 없어 발견하기 어려운 진정한 ‘검은’ 블랙홀이 발견됐다.스페인 천체
물리
학 연구소 호르헤 카사레스 박사팀은 어둡고 은밀한 새로운 형태의 블랙홀을 특수한 방법으로 발견한 뒤 그 특성을 밝혀 ‘네이처’ 1월 1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구에서 8500광년 떨어진 곳에서 어두운 ... ...
양자역학이 무거워?
과학동아
l
201402
왜 오늘날에도 중요한지를 알고 싶다면 퀀텀 유니버스를 택하면 된다. 두 책은 모두 이론
물리
학 박사이자 전문 번역가인 박병철 대진대 초빙교수가 번역해 글도 믿을 만하다.자, 이제 마지막으로 독자들이 이 책 소개를 완성할 단계다. 다 읽고 저자의 의도대로 양자역학을 이해했는가. 기자는 답을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
과학동아
l
201402
지났는지 ‘우주’가 원리적으로 알 수 있으면 관측이 일어난 것이다. 이와 같은 관측을
물리
학자들은 ‘결어긋남(decoherence)’이라 부른다.결어긋남이라는 용어가 좀 이상할 수도 있겠다. 파동이라도 여러 줄무늬를 보이려면 결이 잘 맞아야한다. 결이 맞지 않은 파동은 결어긋난 파동이라고 한다. ... ...
2014 결정학의 해 물질의 비밀 푸는 열쇠, 결정!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1
결합한 아주 복잡한 단백질인 리보솜의 구조도 X선 결정학으로 밝혀낼 정도란다.이처럼
물리
학의 영역이었던 X선 결정학이 단백질이나 DNA의 구조를 밝혀 주면서 생명과학이 발전할 수 있는 문을 활짝 열어 준 거야. 지금까지 X선 결정학과 관련 있는 연구가 받은 노벨상만 해도 20여 개나 된다니…, ... ...
[독자탐방] 미술관에 숨겨진 수학을 찾아서!
수학동아
l
201401
하루에 수백만 명이 몰리는 반면 누군가의 홈페이지는 아무도 찾지 않죠.헝가리의 이론
물리
학자 바라바시는 이런 개념을 ‘척도 없는 네트워크’라고 불렀어요. 에서는 이런 과학과 수학개념으로 현대 사회의 복잡성을 풀어냈어요. 덕분에 수학책에만 등장할 것 같은 개념을 ... ...
BRIDGE 입자
물리
학 119년의 역사
과학동아
l
201401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스터리 입자 헌터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
학까지Bridge. 입자
물리
학 119년의 역사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Part 3 '코리아늄' ... ...
‘우주 최초의 빛’이 틀렸다고?
과학동아
l
201401
유럽우주국(ESA)의 최신예 우주마이크로파배경복사(우주배경복사) 탐사선 ‘플랑크’의 첫 번째 연구 결과가 2013년 봄 발표됐다. 우주배경복사는 우주 탄생과 진화의 ... 비슷해졌다. 이 연구 결과는 12월 10일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열린 상대론적 천체
물리
학 학술대회에서 발표됐다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
과학동아
l
201401
예정이다.현재 액시온은 강력하고 우아한 가설로 평가 받는다. 하지만 비판도 있다. 한
물리
학계의 원로는 “액시온은 매우 뛰어나지만 틀린 이론”이라며 날선 지적을 했다. 김 교수는 느긋하다.“암흑물질의 후보는 많습니다. 자연이 무엇을 택할지는 실험을 해봐야 알겠지요.” 세메르치디스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