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DNA를 향한 열정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0세기에 인류가 이룩해낸 가장 큰 성과 중 하나로 평가된다. 20세기의 지적 분수령이 된 대
발견
은 겨우 20대였던 청년 왓슨이 이룬 성과였다. 왓슨은 그 성취가 한달 동안 자신을 기쁘게 했다고 고백했다. 그리고 그 후에는 앞서의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다시 새로운 분야를 개척해 나갔다.원래 새를 ... ...
생체시계 바늘역할 효소 찾았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이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를 고장낸 결과 생체시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을
발견
했다. 정상 쥐는 빛이 없어도 12시간 주기로 밤낮을 구분하는데 이 효소가 고장난 쥐는 밤낮을 구별하지 못했다.신 박사는 “이번에 기능을 밝혀낸 효소는 생체시계가 몇시인지 보여주는 시계바늘의 역할을 ... ...
살해 시기와 장소 밝혀내는 동위원소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희생된 사람이 언제, 어디서 사망했는지 알아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발견
됐다. 영국의 과학대중지 ‘뉴사이언티스트’ 3월 15일자는 영국 레딩대 환경지구화학자인 스튜어트 블랙 박사가 체내 동위원소를 이용해 희생자의 사망시기와 장소를 알아내는데 성공했다는 사실을 보도했다.실제로 블랙 ... ...
핵가족 선호하는 도마뱀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보고 있다.호주 시드니대 리처드 샤인 교수는 핵가족을 이뤄 사는 최초의 파충류를
발견
해 ‘분자생태학회지’ 3월호에 발표했다. 에게르니아 삭사틸리스라는 이 파충류는 호주 남동부의 바위에서 사는 검은 도마뱀.파충류 학자들은 이들 도마뱀이 집단을 이뤄 산다는 것은 알았지만 각각의 개체가 ... ...
차세대 정밀유도폭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芳香族化合物)에 포르밀기(基)를 도입하는 방법 1890년 독일의 화학자 L 가터만에 의해
발견
되었다 직류의 제어전류를 써서 교류전류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장치 트랜스덕터라고도 한다 사각형의 포화특성을 가진 고리 모양의 자심(磁心)에 두 개의 권선(捲線)을 감아 자심의 비직선성을 이용하여 한쪽 ... ...
2 살상력 못지 않은 환경재앙 유발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1995년에는 걸프전 와중에 침몰한 이라크 유조선에서 10만t의 원유가 새어나올 가능성이
발견
돼 세계가 공포에 떨었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는 국내 용수의 90% 이상을 페르시아만의 담수화 시설에 의존하기 때문에, 대형 해양 기름유출 사고가 발생하면 걷잡을 수 없는 물 부족 현상이 벌어질 수 있다 ... ...
제11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 학암포의 저녁 무렵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보기 드물게 12시간 동안 별의 일주운동을 찍은 작품이다. 또 지난해 초 새롭게
발견
된 이케야-장혜성이 구상성단 M13과 함께 한 모습을 담은 염범석씨의 작품도 눈에 띄었다.한편 모든 당선작은 한국천문연구원(www.kao.re.kr)과 동아사이언스(www. dongaScience.com) 홈페이지에 함께 공개되고, 시상식은 4월 ... ...
2 노벨상으로 알아보는 이중나선 그 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기념 행사에도 참석할 수 있기를 바란다는 말로 이 특별회의의 폐회를 선언했다.DNA 구조
발견
이후 현재까지 핵산과 유전자에 직접 관련된 노벨상은 생리의학상 32명과 화학상 8명으로 총 40명에 달한다. 국적으로 보면 일본 1명, 스위스1명, 프랑스 3명, 영국 7명, 미국 28명이다. 영국인 7명은 모두 ... ...
4 생명의 기원과 유전자 비밀 밝혀줄 핵심분자RNA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아니라 염색체의 구조 자체를 변형시켜 유전자 발현 조절에도 관여한다는 사실이다. 이
발견
은 ‘사이언스’가 2002년의 최고과학업적으로 RNA연구를 지정하는 주요 계기가 됐다. 이는 유전자 발현조절 메커니즘을 유전자 차원뿐 아니라 염색체 구조 변형이라는 새로운 시각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 ...
또다른 내가 무한개 우주에 살고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20세기에 잘못 떨어진 21세기 이론’이라는 별명을 가진다. 우연한 기회에 20세기에
발견
되긴 했지만 이론을 전개하는데 필요한 정교한 수학적 도구가 만들어지려면 아직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그러다보니 1990년대 초반에는 초끈이론이 다섯가지나 등장했는데, 이 중 어떤 것이 정확한 ... ...
이전
726
727
728
729
730
731
732
733
7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