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DNA를 향한 열정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0세기에 인류가 이룩해낸 가장 큰 성과 중 하나로 평가된다. 20세기의 지적 분수령이 된 대
발견
은 겨우 20대였던 청년 왓슨이 이룬 성과였다. 왓슨은 그 성취가 한달 동안 자신을 기쁘게 했다고 고백했다. 그리고 그 후에는 앞서의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다시 새로운 분야를 개척해 나갔다.원래 새를 ... ...
1 종말 위기 닥친 인류 문명의 요람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기세가 그대로 드러나 있는 ‘아슈르바니팔 대왕의 사자 사냥도’(대영박물관 소장)가
발견
됐다. 이 유물은 아시리아 제국의 뛰어난 사실적인 조각으로 자신의 예술적 재능을 유감없이 발휘했다.이런 사실적 기법은 왕궁의 정문에 쌍으로 세워놓은 ‘라마스’에도 잘 나타나 있다. 사람의 얼굴에 ... ...
2 살상력 못지 않은 환경재앙 유발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1995년에는 걸프전 와중에 침몰한 이라크 유조선에서 10만t의 원유가 새어나올 가능성이
발견
돼 세계가 공포에 떨었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는 국내 용수의 90% 이상을 페르시아만의 담수화 시설에 의존하기 때문에, 대형 해양 기름유출 사고가 발생하면 걷잡을 수 없는 물 부족 현상이 벌어질 수 있다 ... ...
제11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 학암포의 저녁 무렵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보기 드물게 12시간 동안 별의 일주운동을 찍은 작품이다. 또 지난해 초 새롭게
발견
된 이케야-장혜성이 구상성단 M13과 함께 한 모습을 담은 염범석씨의 작품도 눈에 띄었다.한편 모든 당선작은 한국천문연구원(www.kao.re.kr)과 동아사이언스(www. dongaScience.com) 홈페이지에 함께 공개되고, 시상식은 4월 ... ...
DNA 이중나선 구조
발견
50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중심의 편협된 시각을 우려하는 통합생물학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이중나선
발견
이후 생물학이 어떤 길을 걸어왔으며 어떤 미래를 그리게 될지 살펴보자 ... ...
1 세상에서 가장 정교한 설계도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연구하는 생물학도 통합적 시각과 방법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다.결국 왓슨과 크릭의
발견
은 완성된 것이 아니라 지금도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그들의 이야기는 50년전에 시작됐지만 아직도 끝나지 않았으며, 21세기에도 계속 이어질 것이다 ... ...
4 생명의 기원과 유전자 비밀 밝혀줄 핵심분자RNA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아니라 염색체의 구조 자체를 변형시켜 유전자 발현 조절에도 관여한다는 사실이다. 이
발견
은 ‘사이언스’가 2002년의 최고과학업적으로 RNA연구를 지정하는 주요 계기가 됐다. 이는 유전자 발현조절 메커니즘을 유전자 차원뿐 아니라 염색체 구조 변형이라는 새로운 시각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 ...
또다른 내가 무한개 우주에 살고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20세기에 잘못 떨어진 21세기 이론’이라는 별명을 가진다. 우연한 기회에 20세기에
발견
되긴 했지만 이론을 전개하는데 필요한 정교한 수학적 도구가 만들어지려면 아직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그러다보니 1990년대 초반에는 초끈이론이 다섯가지나 등장했는데, 이 중 어떤 것이 정확한 ... ...
박테리아가 말하는 익사체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박테리아가 없는데, 부랑자의 허파 속에는 여러 종류의 박테리아가 존재하는 것을
발견
한다.어떻게 된 사연일까. 연못물은 자연계와 가까워 순수한 형태의 플랑크톤만이 존재하지만, 강물에는 부영양화된 물을 좋아하는 조류와 박테리아가 함께 존재하는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히카루는 어린이가 ... ...
생체시계 바늘역할 효소 찾았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이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를 고장낸 결과 생체시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을
발견
했다. 정상 쥐는 빛이 없어도 12시간 주기로 밤낮을 구분하는데 이 효소가 고장난 쥐는 밤낮을 구별하지 못했다.신 박사는 “이번에 기능을 밝혀낸 효소는 생체시계가 몇시인지 보여주는 시계바늘의 역할을 ... ...
이전
726
727
728
729
730
731
732
733
7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