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울릉도 1백년 전설 돈스코이호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발견
한 것은 세계적으로도 매우 드문 첫 사례다. 1985년 9월 깊지만 평탄한 지형에서
발견
됐던 타이타닉호의 탐사에 비해 훨씬 어려운 일이었다. 게다가 타이타닉호의 경우 비교적 정확한 침몰좌표를 알고 있었다. 미국 우즈홀 해양연구소와 프랑스 국립해양연구소가 기술협력을 했고 미해군에서 ... ...
러시아 우주비행선은 국제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도플러가 이중성(二重性)의 빛에 관하여 별의 운동방향과 색의 변화를 연구하던 중 처음
발견
했다 멘델의 유전법칙의 하나 2쌍 이상의 대립유전자가 존재할 때 각 쌍의 유전자 분리 · 재결합이 서로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일어난다는 법칙이다 즉, 어떤 유전자가 다른 유전자와 함께 있어도 서로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GRB)의 정체를 밝히는데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감마선폭발이
발견
되면 수시간-수일 후에야 가시광선으로 관측할 수 있었지만, 광시야 로봇망원경을 이용하면 감마선폭발 후 10초 내에 폭발장소에서 가시광선 짝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특히 현재 광시야 로봇망원경이 설치된 ... ...
사이버 세계 수호하는 디지털 수사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극구 부인하고 있고, 컴퓨터의 기억장치에서는 이들이 제작했다고 여겨지는 바이러스가
발견
되지 않아 기소할 증거를 찾아내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검찰은 마침내 컴퓨터 범죄수사관 표인식씨(가명)를 불러 문제를 해결하기로 하는데….그림 속에 숨겨진 증거“저희가 할 수 있는 일은 다 ... ...
에베레스트 '죽음의 고도'에서 살아남기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연구되고 있다 ?~? 그리스의 수학자 BC 2세기 후반에 활약했다시소이드 곡선[疾走線]의
발견
과 그것을 정육면체의 배적(倍積)문제의 해결에 이용한 것으로 유명하다이 밖에 햇빛오목거울에 관한 연구와 집필, 구를 평면에서 일정한 비율로 베어내는 문제 등을 해결했다246~330 고대 알렉산드리아에서 ... ...
효모의 수명 연장 열쇠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미국의 학자들이 효모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를 확인해, 장수의 비밀을 규명하기 위한 실마리를 찾았다고 ‘네이처’ 5월 8일자에 발표했다.미국 하버드대 의대의 데이비드 싱클레어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유전자 ‘PNC1’이 효모의 수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혔다. 효모 ... ...
4백만년 전 묻힌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원인 바이러스 1892년 D I 이바노프스키가
발견
했고 이와는 별도로 1898년 M W 비제린크도
발견
했다당뇨병이 진행되는 동안 탄수화물 및 지방의 대사장애(代謝障碍)를 일으켜 중추신경의 기능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일어나는 혼수 혼수상태에서는 혈당값(血精値)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고, 오줌에 ... ...
2 말하고 생각하는 능력이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특히 세포의 노화 등에 관련된 유전자가 수명 차이를 결정한다고 생각한다.최근에
발견
된 ‘ApoE’(Apolipoprotein E) 유전자는 그 가능성을 더해주고 있다. 이 유전자는 인간과 침팬지에서 몇가지 변형체로 존재한다. 침팬지는 수명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ApoE 변이체들을 갖고 있는 반면, ... ...
생명공학이 주무르는 맛의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11월에 쓴맛을 신경세포로 전달해 뇌가 쓴맛을 느끼도록 만드는 채널단백질인 ‘Trpm5’를
발견
했다고 과학전문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보고했다. 그리고 2003년 1월 23일에는 쥐를 이용해 쓴맛을 내는 물질의 작용 방식을 연구한 결과, ‘쓴맛차단제’의 기능을 가진 천연물질을 찾아내 특허를 ... ...
북반구하늘 최고의 구형 별무리 M13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별이 아니라는 사실을 잘 안다. 이런 모습이 천체망원경의 보조망원경인 파인더에서
발견
되면 주망원경에서 다시 한번 확인한다. 소형 천체망원경에서 보이는 M13은 밝고 둥그런 모습으로 상당히 인상적이다. 물론 사진에서처럼 화려한 모습은 아니다. 문제는 구상성단 주변부의 별들이 어떻게 ... ...
이전
722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