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뉴스
"
우리
"(으)로 총 9,781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생활습관이 병을 만든다
2024.06.30
데 열중하고 있다. 평소 강연과 집필을 통해 의학과 과학이 결코 어려운 학문이 아니라
우리
곁에 있는 가까운 학문이자 융합적 사고가 필요한 학문임을 소개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저서로 『감염병과 백신』, 『의학을 이끈 결정적 질문』, 『처음 만나는 소화의 세계』, 『의학사 ... ...
[푸드테크 뜬다]⑤ 미생물로 만든 대체단백질, 우주식량으로도 쓰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통제하기 쉽다"고 말했다. 연구단장인 김필 가톨릭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미생물은
우리
가 먹지 않는 영양소나 폐기물 등을 재활용해 키울 수 있다"며 "만약 전쟁이나 재난으로 식량위기가 오면 밖에서 가축을 기르거나 농사를 짓기 어려울 텐데 연구실이나 집약시설에서 만들 수 있는 미생물 ... ...
선풍적 인기 비만치료제, 체중감소 원리 세계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설명했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음식을 보거나 냄새만 맡아도 결과를 통해,
우리
의 시각이나 미각을 담당하는 뇌의 영역이 시상하부의 GLP-1 수용체 신경회로에 어떤 작용을 하는 경로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가 없어 추가 연구를 진행할 ... ...
생물 교과서 '정설' 뒤집었다…곤충 혈구세포도 산소 전달 관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6.27
생물학 교과서에 실릴 정도로 정설이었다. 국내 연구팀이 초파리 체내의 혈구세포도
우리
몸의 적혈구처럼 산소를 전달한다는 사실을 밝혀내 곤충의 호흡과 진화에 대한 새로운 실마리를 제공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심지원 한양대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초파리 유충의 혈구세포가 산소를 ... ...
출연연 평가 주기 3년에서 2년으로…공동출입증 도입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추진한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이 R&D 생태계를 선도형으로 전환하고
우리
출연연을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기관으로 나아가게 하기 위한 마지막 기회라는 각오를 하고 추진하겠다”며 강한 의지를 보였다. 또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도 현장에서 받아들이지 못하면 ... ...
연세대 설치될 IBM 양자컴 모형…연기도 찍는 '퀀텀닷' 이미지센서 한눈에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받았을 때 에너지 수준이 양자화(Quantization)되면서 크기에 따라 특정 빛을 내는 물질이다.
우리
주변에서는 디스플레이에 주로 사용된다. 국내 기업 SDT는 이 과정을 역으로 이용해 '양자 이미지 센서'로 활용했다. 퀀텀닷으로 빛을 인식해 영상으로 변환한 것이다. SDT 관계자는 "퀀텀닷으로 만든 ... ...
"국제공동연구에서 한국은 '마이너'…우수한 논문일수록 국제 공동연구 비중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여전히 과학기술 선도국가와 격차는 좁혀지지 않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
우리
의 연구 질적 수준을 제고하고 최상위 연구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략적인 관점에서 국제 공동연구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보고서 전문은 빅데이터 기반 과학기술 이슈 ... ...
배아줄기세포 유래 도파민 신경세포로 파킨슨병 치료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후 추적관찰 결과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배아줄기세포는
우리
몸에 필요한 어떤 종류의 세포나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세포다. 인간의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일어난 뒤 4~5일밖에 지나지 않은 초기의 생명 단계인 '배아'에서 유래했다. 배아의 세포덩어리를 ... ...
스티커 떼어내듯…전자 소자, 기판에서 분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제작에 널리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공동 제1저자인 신윤수 IBS 선임연구원은 “
우리
연구진이 제시한 전사 방법은 독성 물질을 사용하지 않으며 소자 손상이 적고 후처리도 필요 없어 전사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면서 “커다란 면적은 물론 마이크로 규모의 작은 패턴까지 전사가 가능해 ... ...
'뉴런' 계산모델 60년만에 '업데이트'…"AI인공신경망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과정에서 정보는 한 방향으로만 통과하고 앞부분의 노드에 영향을 줄 방법이 없다.
우리
뇌의 뉴런은 수동적인 전달자가 아니라 주변 뉴런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연구팀은 뉴런을 주변 환경에 다시 영향을 줄 수 있는 작은 '컨트롤러'로 간주했다. 정보 처리 과정의 후반부에 있는 뉴런이 다시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