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리
모임
그룹
단체
떼
군중
대중
d라이브러리
"
집단
"(으)로 총 1,768건 검색되었습니다.
말보다 정직한 ‘몸의 언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책에는 인간광우병이 예로 등장한다. 광우병 때문에 어느
집단
이 손해를 보고 어느
집단
이 이익을 보는가. 광우병에 대한 지식도 이들 중 어느 쪽의 손을 들어 주도록 돼 있고, 그에 따라 과학 지식도 천차만별로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 ...
맞춤의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국제공동연구팀인 ‘1000게놈프로젝트컨소시엄’의 첫 연구 결과가 실렸다. 4개 인구
집단
179명의 전체게놈을 분석해 개인마다 염기서열이 다른 곳을 밝혀냈는데, 이 가운데는 유전성 질병과 관련이 있는 위치도 여럿 있었다.한 사람의 게놈을 분석하는 비용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2020년쯤이면 모든 ... ...
브누아 만델브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낳다 만델브로는 아슈케나지 유대인(중세 이후 독일 부근의 중유럽에 정착한 유대인
집단
) 출신이었다. 그의 성(姓)인 ‘만델브로트(Mandelbrot)’부터가 아슈케나지 유대인들이 디저트로 즐겨 먹던 ‘아몬드빵’을 일컫는 말이다. 그의 집안은 거대한 유대인 공동체가 있던 리투아니아 지역에 뿌리를 ... ...
따로 또 같이! 세계의 인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갔다.❺ 중앙아시아까지 온 무리 중 일부는 유럽으로 갔다.❻ 계속 순록을 쫓아 이동하던
집단
은 러시아까지 올라가 러시아와 아메리카 대륙 사이에 있는 베링해를 건너 이동했다. 지금은 깊은 바다인 베링해는 당시 빙하기로 기온이 떨어지고 해수면이 낮아져 베링지아라는 새 대륙이 드러나 ... ...
기준에 맞춰 모여! 모두 집합!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정확한 수치로 표현해야만 나눌 수 있습니다.이처럼 어떤
집단
을 분류하거나 자신이 그
집단
에 속하는가를 ‘집합’의 개념을 이용하면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명확한 기준을 이용한다면 그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에 대해서도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학을 좋아하는 학생과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없을 정도로 커질 것이다. 만약 서로 아이를 낳을 수 없을 정도로 차이가 벌어진다면 두
집단
을 인류라는 한 종으로 인정할 수 있을까.기술적인 문제 외에도 고려해야 할 게 많다. 그 중 하나가 토착생물이다. 인류가 이주하기에 적당한 행성을 발견했는데 그곳에 생명이 진화해 살고 있다면 어떻게 ... ...
세계는 지금 특허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취약하다는 것이다. 한국의 특허관리의 문제점은 전문가가 부족하다기보다는 전문가
집단
간에 긴밀성이 부족하다는 점이다.윤 본부장은 “현대의 기술 경쟁은 과거처럼 전혀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기술, 타사의 특허기술을 참고해 우회 특허를 만드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 ...
연세대 한국판 미디어랩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면접에는 인문사회학과 교수도 참석해 수험생의 다양한 소양을 평가한다. 또 개인면접과
집단
면접을 병행해 창의성을 다각도로 판별할 예정이다.선발된 학생은 연세대 송도 국제캠퍼스에서 공부한다. 기숙사를 무료로 이용하며 글로벌 환경의 독립적인 캠퍼스에서 연구에 전념할 수 있다. 전액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집단
에 맞서 싸워 이긴
집단
만이 생존할 수 있었다”며 “자기
집단
중심의 이타심은 자기
집단
에 위협이 되는 외부에 대한 적개심과 맞물려 있고 그 생물학적 밑바탕에 옥시토신이 있다”고 설명했다.정의를 둘러싼 많은 딜레마들이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는 이유도 단순히 냉철한 이성만으로는 답을 ... ...
고분자나노재료학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로부터 유래한다. 즉 ‘여러 가지 부분으로 이뤄진 화합물’이다. 간단한 구조의 원자
집단
이 열이나 압력에 의해 연속적으로 다수 결합한, 분자량 1만 이상의 거대 분자를 뜻한다. 대표적인 예로 플라스틱, 고무, 섬유, 단백질이 있다. 고분자나노재료학이란 대다수 물건의 재료가 되는 고분자를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