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특집] 비둘기, 인간과 함께 살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7호
- 개체 수가 지금처럼 많거나 더 늘어나면, 전염병이 쉽게 퍼질 수 있어요. 집비둘기는 집단으로 몰려다니기 때문에, 한 마리가 조류독감 같은 전염병에 걸리면 주변에 빠르게 전파됩니다.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야생동물연구실 최순규 연구원은 “사람이 개량하고 개체 수를 늘린 종이기 ... ...
- 3년의 사투, 코로나19 팬데믹수학동아 l2024년 04호
- 3,000만 명의 인구를 가정한 다음, 강도 높은 거리 두기 정책을 완화하는 속도에 따라 각 집단의 사망자 수와 경제적 영향이 어떻게 바뀌는지 알아봤다. 그 결과 거리 두기를 엄격하게 유지할 때 사망자 수는 약 23만 명, 경기 침체에 미치는 영향은 34%로 나타났고, 거리 두기를 빠르게 완화할 때는 각각 ... ...
- 전염병 모형 만드는 법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잠복기 집단(L)과 무증상 감염 집단(A)으로 세분화한 것이다. 무증상 감염 집단이 감염 집단보다 전파력이 떨어진다는 의학적 사실을 고려해 만들어졌다. 이처럼 전염병의 특성에 맞춰 수학 모형을 변형해 이용한다. 동물 전염병도 수학 모형으로 연구 구제역, 조류 인플루엔자와 같은 동물 ... ...
- 수학으로 엿보는 미래 사회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사람의 심리와 행동을 분석하기 위해 모든 사람을 변수로 삼는 건 불가능하다. 그리고 집단의 행동은 개인의 행동 때문에 결정되지만, 개인의 선택은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착안해 부의 불평등, 경제 상황 같은 변수에 주목했다. 그리고 기원전 1500년부터 기원후 1500년까지 약 3000년 동안의 ... ...
d라이브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