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터리
건전지
축전지
밧데리
논밭
앞다리
웨스턴
d라이브러리
"
전지
"(으)로 총 1,132건 검색되었습니다.
헤르츠의 전파검출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19세기로 접어들면서 급변했다.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알레산드로 볼타가 1800년에 볼타
전지
를 발명하면서 일정한 세기로 계속 흐르는 전기, 곧 전류를 인위적으로 만들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영국의 험프리 데이비는 전류를 사용해서 전기 분해 방법을 개발했고, 이로부터 기존의 화학적 방법으로 ... ...
과학교사는 전문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구름과 사람 사이에서 불꽃이 튄다. 번개가 치는 원리를 설명하는 간단한 장치다. 태양
전지
를 이용해 광통신을 손쉽게 재현할 수 있는 장치, 은박지를 이용한 검전기 등 그가 제자들과 함께 개발한 실험 장치가 연구실을 가득 메우고 있었다.지난 4월에 펴낸 ‘새로운 물리탐구의 세계’는 박 교수의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회복시스템 개발 201979 노인성 질환 치료와 예방기술 개발 201680 고효율 초저가 박막 태양
전지
보급 201381 마이크로 플라즈마 의료기기 개발 201682 오염물질 실시간 자동분석 기술 실용화 201483 자연어 대화가능 로봇 개발 201884 쓰레기자원화 빌딩시스템 설계 기술 개발 201385 정찰·통신용 초소형위성군 ... ...
2005 서울모터쇼를 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배에 달하는 높은 에너지 효율과 한번 충전으로 최대 거리 430km까지 달리는 지구력은 연료
전지
차의 상용화 가능성을 앞당겼다.1997년 처음 선보인 대량생산형 하이브리드차인 프리우스로 톡톡히 ‘재미를 본’ 도요타도 이번 모터쇼에 새 모델 RX400h를 선보인다. 엔진에 설치된 ‘하이브리드 ... ...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통신거리가 너무 짧다는 것도 과제로 남았다. 연구팀은 차세대 롭해즈의 전원으로 연료
전지
를 사용하는 방안을 정부와 협의 중이다. 아직 국방부는 롭해즈의 추가 파병계획을 밝히고 있지 않지만 연구팀은 파병 결과를 정밀 분석해 문제점을 개선한 뒤 방위산업체와 공동으로 정식 군수용으로 ... ...
과학으로 승부한다, 아디다스 원 넘버 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발광다이오드에 불이 들어오고 그 때부터 인공지능 시스템이 작동을 시작한다. 수은
전지
하나면 인공지능 시스템의 도움을 받으며 100시간은 거뜬히 편안하게 달릴 수 있다.아디다스 1을 신고 한 걸음 내딛는 순간 발뒤꿈치 위쪽과 아래쪽에 장착된 2개의 마그네틱 센서는 신발과 지면에 가해지는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부도체가 반도체로 바뀐 격이다. 이를 얇게 썰어 웨이퍼로 만들면 자기부상열차와 연료
전지
차에 들어가는 최고급 반도체가 된다. 연구팀은 이미 KTX에 반도체를 공급하는 일본기업에 이 기술을 역수출해 국산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했다.의료 연구에도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 중 ... ...
04 식물에서 연료 뽑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하나 배출하는 그야말로 100% 효율을 갖는 태양
전지
가 가능하다고 말한다. 초소형 태양
전지
가 세상을 비출 그 날을 기대해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첨단식물의 르네상스 01 참살이 약품 찍어내는 식물공장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03 세계는 종자전쟁 중04 식물에서 연료 뽑는다 05 푸른 ... ...
창의세상 -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가득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눈 깜빡할 새’라는 순간에 일어나는 광합성 과정을 밝혀 100% 효율의 태양
전지
를 꿈꾸는 초고속광물성제어연구단, 물 속에서 110km 속도로 가장 빨리 헤엄치는 돛새치의 비밀을 밝혀 자동차만큼 빠른 잠수함을 만들려는 난류제어연구단, 종이비행기로 적진을 정찰하려는 ... ...
나노 세계의 마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분야는 정말 다양해요. 크기는 작아지지만 반대로 기억 용량은 커지는 차세대 반도체와
전지
의 개발, 인체의 모세혈관 속을 잠수함처럼 돌아다니며 질병을 치료해 줄 수 있는 나노로봇을 비롯하여 우리 친구들이 좋아하는 TV와 컴퓨터 등 나노 기술이 쓰이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랍니다. 조그만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