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죄수복
임의
시체 입히는 옷
의지
욕구
자유
마의
d라이브러리
"
수의
"(으)로 총 1,54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실험실] 피보나치 계단 위에서 본 나선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모든 것!피보나치 수두 수가 주어졌을 때 두 수를 더한 수가 두
수의
다음 수가 되도록 배열된 경우를 피보나치 수열이라 한다. 피보나치 수는 피보나치 수열에 나오는 수를 일컫는다. 피보나치는 이탈리아의 수학자 레오나르도 피보나치(1170~1250)의 이름을 따서 붙인 명칭이다. 예를 들어 다음 수열은 ... ...
연구활동은 꿈을 이루는 과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조사합니다. 각 학생들의 집에 가서 평상시 대화와 TV 소리 크기의 관계를 조사해 많은
수의
실험결과를 얻습니다. 이를 해석해 ‘TV 소리가 큰 집일수록 가족 구성원들의 목소리가 크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면 가설연역법에 의한 탐구활동을 한 것입니다. 연구활동 준비는 여기까지! 다음호부터는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외계인과 몬스터는 지구에서 셈하기 답답해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몬스터 주식회사’의 괴물들처럼 손가락이 제각각일 때는 물론 문명이나
수의
표현방법이 전혀 다른 곳에서도 2진법만큼은 통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면 사람이 쓰는 10진법보다는 단순하고 편리한 2진법이 통할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 ...
집합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같은 경우에 실수하는 때가 종종 있어요.예시 ① 1보다 작은 자연
수의
모임② 0보다 큰 음
수의
모임결론부터 이야기하면 두 모임은 모두 집합이 될 수 있어요. 하지만 예시를 보고 ‘1보다 작은 자연수는 없고 0보다 큰 음수도 없으니 ①, ②번 모임은 모두 집합이 아니야’라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 ...
“비과학적인 매몰 대책이 침출수 문제 불렀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경기도다. 김태한 팔달수질개선본부장은 “묻은 지 1개월~ 1개월 반 된 침출수를 국립
수의
과학원에 의뢰해 검사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나왔다”고 밝혔다.하지만 다른 박테리아(세균)는 검사하지 않았고, 전례에 비춰 볼 때 얼마든지 검출될 가능성이 있다.환경부에서 2009년 AI 매몰지의 세균 오염 ... ...
Part 3. 백신 접종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청정국을 나누는 이유는 백신을 맞힐 경우 구제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수의
검역과학원 박종현 연구관은 “백신 접종 전후에 구제역바이러스에 감염된 가축 가운데는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은데 이 녀석들은 한동안 몸에 바이러스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보독동물(carrier ... ...
통계로 세상을 구한 나이팅게일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선의 길이가 아닌 면적이 사망자 수를 뜻한다고 착각한다. 결과적으로 월별 사망자
수의
차이를 과장하게 된다. 나이팅게일은 파르의 도표가 갖는 문제점을 간파해 선의 길이가 아닌 쐐기의 면적으로 사망자 수를 나타낸 새로운 그림을 그린 것이다.통계와 도표로 영국을 개선하다나이팅게일은 ... ...
Part 1. 실수가 승부를 가른 고누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 네바퀴고누, 자전거고누, 물레고누라고도 한다. 또 말판은 4~6줄로도 만들며 말을 줄
수의
배로 늘리기도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전통놀이 삼국지Part 1. 실수가 승부를 가른 고누 Part 2. 기막힌 운이 승리를 가져다준 쌍륙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 ...
오일러가 사랑한 수 e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설명한 식은 *①식과 같이 간단히 정리된다. ①식은 1665년 뉴턴이 처음 발견했다. 이 급
수의
처음 7개 항까지의 부분합을 구하면 *②식이 되고, 각 항의 분모의 값이 급속하게 증가하므로 이 급수는 매우 빠르게 e에 수렴한다. 1737년에 오일러는 이 수를 다음과 같이 무한 번분수로 표현할 수 있다는 ... ...
Part 1. 구제역 전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뤄져 있고 외피가 없어 단백질 캡슐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돼 있기 때문이다.충북대
수의
학과 강신영 교수는 “단백질 구조가 변형되면 숙주의 세포 표면에 달라붙을 수 없다”며 “이런 변형은 온도가 높을수록 빨리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한편 단백질의 안정성은 용액의 산성도에도 민감한데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