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의"(으)로 총 1,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암호 찾는다수학동아 l2011년 07호
- 1 곱하기 13은?’이라고 물으면 곧 143이라는 답을 냅니다. 그러나 반대로 ‘143은 어떤 소수의 곱으로 이뤄졌나?’라고 물으면 답을 낼 때까지 시간이 오래 걸려요. 이런 현상은 사람이든 컴퓨터든 똑같죠. 이때 곱한 두 수가 매우 크면 두 수를 다시 찾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집니다. 이런 이유로 ... ...
- PART 2 수학을 소재로 한 공포영화수학동아 l2011년 07호
- 다음 문제의 정답을 맞힌다면 할리우드 영화의 주인공으로 낙점됩니다. 다음 수의 특징을 찾아보세요. 9 4 3 5 6 2 1 7 8”날 시험하다니! 있을 수 없는 일이야. 날 뭐로 보고? 근데 감독이 누구라고? 피터? 그럼 풀어야지. 근데 답을 모르겠다. 으악, 머리가 지끈지끈 아파 와~. 띵동!이번에 출연할 영화가 ... ...
- 에베레스트 산 등정에 나서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1개가 있음. 크레바스는 모두 가로방향. 오른쪽 숫자는 그 줄에 있는 크레바스들의 칸 수의 합. 아래쪽 숫자는 그 줄을 지나는 크레바스의 개수.’도형은 일지를 보며 지도에 크레바스의 위치를 표시한다.4 온도를 확인하라“자, 이제 이곳을 지나면 크레바스 지대는 다 빠져나갑니다. 조금만 ... ...
- 올해 KMO 1차, 예년보다 어려웠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조합으로 수의 합을 구할 수 있는 학생이라면 어렵지 않게 풀 수 있는 문제다. 단, 전체 수의 개수를 셀 때 000을 포함한 경우를 제외하는 것을 놓쳐서 틀리기 쉬운 문제다. 이상으로 2011년 KMO 중등부 1차 시험을 분석해봤다.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뒤 분석하지 않아실제 시험 결과와는 다소 ... ...
- Part 1. 눈과 귀 사로잡는 오디션의 과학과학동아 l2011년 06호
- 화장하지 말걸. 웃으며 생존자들에게 축하를 건네야 하는데. 옆을 돌아봤더니, 어느새 동수의 얼굴이 눈물 콧물로 범벅돼 있다. “인마, 잘했어. 넌 통과할 만해.”사람들의 박수가 쏟아진다. 마치 넌 패배자가 아니라는 듯이, 이곳의 경험을 바탕으로 더 멋진 가수가 될 수 있을 거라는 듯 따뜻한 ... ...
- Part 1.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미라"과학동아 l2011년 06호
- 결과 관 속에서는 6종의 세균이 극미량 발견됐다. 첫 번째 미라는 관 속의 물방울, 대렴(수의의 한 종류) 등에서 총 네 종류의 세균을 발견했다. 두 번째 미라에서는 직장(항문)과 천금위(시신을 마지막으로 덮는 천) 등에서 두 종류의 세균을 발견했다. 여섯 종류의 세균은 모두 흙 등에서 발견할 수 ... ...
- 암산 왕과 암산 신동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복잡한 계산도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자연수의 암산 외에 분수나 소수의 암산도 기본적인 원리를 확장하면 모두 가능하다고 설명했다.암산 잘하면 수학 잘할까?인터뷰를 마쳤지만 여전히 암산을 잘하는 것이 수학을 잘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인가에는 의문이 남았다. 그래서 ... ...
- 12진법에서 배수 판정법수학동아 l2011년 06호
- 7의 배수 판정법을 두 가지 이상 찾고, 그 원리를 설명하여라.이번에는 두 자리의 수의 배수 판정법을 생각해보는 것은 또 어떨까?문제 612진법에서 적당한 두 자리의 소수를 5개 택해서 그 각각의 배수 판정법을 찾고, 그 원리를 설명하여라. 그리고, 10진법이나 12진법 이외의 다른 진법도 한번 고려해 ... ...
- [남호영 선생님의 현문현답 1] 왜 1은 소수가 아닌가?수학동아 l2011년 06호
- 6 = 1×2×3 = 1×1×2×3 = 1×1×1×2×3과 같이 여러가지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어떤 수의 소인수분해 결과가 오직 한 가지밖에 없다는 성질은 ‘산술의 기본정리’ 라고 불릴 만큼 매우 기본적인 내용입니다. 어떤 수집합의 원소들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소인수분해 되느냐, 오직 한 가지 방법으로 ... ...
- 사람의 뇌기능, 수학으로 판독한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뇌는 많은 수의 신경세포로 이뤄져 있다. 지금까지의 뇌과학 연구에 따르면 불특정 다수의 사람 속에서 친구 찾기처럼 복잡한 사고를 처리하는 과정은 개별 신경세포보다는 신경세포 간의 연결구조를 통한 상호작용에 의해 이뤄진다고 추정된다. 특히 기억이 생기거나 사라지는 현상은 신경세포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