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류"(으)로 총 2,54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기술의 발달을 등에 업고 mtDNA 전성시대가 열렸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의 차이에 따라 분류한 집단을 ‘미토콘드리아 하플로그룹(haplogroup)’이라고 불렀다. 하플로그룹은 공통의 조상으로부터 같은 돌연변이를 물려받은 집단이다(91쪽 박스 참조).1987년에는 전세계 각지에서 얻은 여성 147명의 ...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중이다. 예를 들어, AGN은 방출선의 폭에 따라 넓은 것은 타입1, 좁은 것은 타입2로 분류한다. 수수께끼는, 방출선 폭을 제외한 나머지 스펙트럼은 완전히 동일하다는 점이다. 일부 천문학자들은 ‘AGN 통합모델’을 제시했다. ‘같은 AGN이라도 관측자를 향한 각도가 달라지면 방출선의 폭이 다르게 ...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기증이 많이 이뤄진다. 2013년 국내 생존자 장기기증을 공여자와 수혜자 사이의 관계로 분류해 보면 부모, 배우자, 형제자매 등 8촌 이내 혈족이 1767건으로 전체(1835건)의 96.3%에 달했다. 3.7%만이 혈연관계가 아닌 타인의 기증(순수기증, 교환이식, 타인지정)이었다.가족 사이의 기증… 완전히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은밀하게 이동한다. 특이하게도 앞니가 설치류처럼 끊임없이 자라나서, 한때는 설치류로 분류되기도 했다. 무엇보다 길쭉하고 가느다란 가운데 손가락은 무서운 소문을 만들어낸 원흉이다.아이아이의 이런 독특한 몸 구조는 경이로운 진화의 산물이다. 인간은 그간 축적해 온 과학 지식을 활용해 ...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나오는 고양이의 얼굴을 이루는 특징들을 컴퓨터가 알아서 하나하나 분류해 가요.이렇게 분류한 정보들 중 고양이라는 답과 연관되는 정보들은 중요해져요. 답과 정보 사이의 연결이 강해지는 거지요. 예를 들어 ‘귀 끝이 뾰족하다’는 정보가 고양이라는 답으로 연결될 경우, 컴퓨터는 두 정보를 ... ...
- 사라진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나서야겠어!제비가 가는 강남은 어디일까?전세계엔 다양한 제비과 새들이 살고 있어요. 분류학에 따르면 ‘참새목 제비과’에는 제비, 귀제비, 갈색제비, 흰털발제비 4종이 포함되거든요. 이들은 모두 몸길이가 10~24cm 정도이며 12개의 깃털로 이루어진 ‘V’ 모양 꼬리를 갖고 있죠. 하지만 깃털 ... ...
- [수학뉴스] 복잡한 알고리듬만큼 어려운 게임?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발표했습니다.‘계산 복잡도’는 계산 문제를 푸는 알고리듬을 복잡도에 따라 분류해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여기서 P와 NP, NP-하드, PSPACE 등으로 어려운 정도가 나뉘는데, 슈퍼마리오 게임은 매우 어려운 집합에 속하게 되는 것이지요.연구팀은 2014년, 같은 학회에서 슈퍼마리오 게임이 ‘NP-하드’에 ... ...
- [News & Issue] ‘풀풀’ 여름 하수도 냄새… 문제는 정화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시스템을 분류식으로 바꾸면 정화조를 없앨 수 있다.하지만 서울시의 모든 하수도관을 분류식 시스템으로 바꾸려면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들어간다. 그래서 고안된 기술이 정화조에 황산화세균(Sulfur-Oxidizing Bacteria, SOB)을 주입해 악취의 주원인인 황화수소(H2S)를 황산염(SO42-)으로 분해하는 방법이다 ... ...
- [지식] 스파이더맨 될 수 없다vs있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그리고 동물마다 벽에 잘 들러붙게 하는 독특한 성질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계통분류학적으로 거리가 가까운 동물끼리 비슷한 성질을 갖고 있었다.예를 들면 노린재나 거미, 바퀴벌레는 전체적인 생김새도 닮았을 뿐 아니라, 다리와 발에 털이 무수히 많이 나 있다는 점도 같았다. 연구팀은 ... ...
- Intro. 태양계의 9번째 후예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인정됐던 명왕성이 지위를 박탈당했다.국제천문연맹(IAU)은 명왕성을 왜행성으로 분류하며, 나머지 여덟 개만 태양계의 행성으로 인정했다. 그로부터 약 10년이 흐른 지난 1월, 미국 천문학자들은 아홉 번째 행성으로 추정되는 새로운 행성을 찾았다.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 지질·행성학과의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