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d라이브러리
"
결합
"(으)로 총 3,59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비만과 지방간 ‘유전적 치료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알려진 내용과는 반대되는 것이다. 핵수용체는 세포 내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 등과
결합
한 뒤 DNA에 붙어서 유전자 발현을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RORα 수용체가 지방 대사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연구팀은 RORα 수용체가 오히려 간의 지방 ... ...
[과학뉴스] 스스로 고장 수리하는 ‘모듈러 로봇’ 등장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이를 이용해 외부에서 명령을 내리지 않아도 스스로 연결 모듈을 끊거나, 새로운 모듈과
결합
할 수 있다. 연구팀은 로봇이 발광다이오드(LED) 불빛을 외부 자극으로 인식하도록 설계했다. 그 결과 LED자극에 따라 모듈을 끊거나 이으면서, 하나로 합치거나 두 개로 분리하는 등 스스로 고장 난 부위를 ... ...
Part 2. “털! 이번 生엔 널 없애기로 했어”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Calcium Thioglycolate) 두 가지로, 이 성분이 털의 케라틴 단백질에 있는 이황화
결합
을 끊어 털을 떨어져 나가게 만든다. 레이저 제모는 반복적인 시술을 통해 모간이 자라나는 부위인 모낭을 제거하는 반영구적인 제모법이다. 레이저는 피부 세포 속 멜라닌 색소를 표적으로 한다. 멜라닌 색소는 눈의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순도 높은 푸코잔틴을 저렴하게 추출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핵심은 푸코잔틴에
결합
해 미세조류에서 푸코잔틴만 분리해낼 수 있는 맞춤형 유기용매를 찾아낸 것이다. 그는 “초기 설비 투자비용을 제외하면 배양 및 추출비용은 그리 많이 들지 않는다”며 “안정적으로 원료를 공급할 수 있기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국내에서도 류미라 한국식품연구원 책임연구원 팀이 펩티드가 칼슘맛 수용체와
결합
해 코쿠미맛을 낸다는 연구 결과를 2015년 발표한 바 있다(doi:10.1016/j.bbrc.2014.11.114). 연구팀은 펩티드가 칼슘맛 수용체에 붙어 쓴맛의 인지 과정을 방해하면서 훨씬 깊은 맛을 느끼게 만든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불경스러운 단어에 인간의 고유한 특성인 ‘이기적’이라는 단어를 버젓이
결합
한 제목을 단 이 책은 서구 사회에 엄청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 책이 과학분야 베스트셀러 자리를 수십 년째 굳건히 지키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이 책에 대해 열광적인 찬사와 저주 섞인 비난이 동시에 쏟아진다. ... ...
[Future] 내가 진정한 파란 꽃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바로 나비콩에서 찾은 CtA3'5'GT다. 이 유전자로부터 발현되는 효소는 델피니딘에 당을
결합
시켜 구조를 변화시킨다. 이렇게 탄생한 파란 국화(아래 사진)는 지금까지 생명공학 기술로 피어난 파란 꽃들 가운데 가장 파랑에 가깝다. 닐 앤더슨 미국 미네소타대 원예학과 교수는 과학 학술지 ... ...
[Career] 스마트폰으로 피부암 진단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뜻이다. 연구팀은 원하는 파장의 빛만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필터를 최대 12개까지
결합
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들었다. 무게 약 160g, 가로세로 약 10cm 정도로 작고 가벼워서 휴대하기 간편하다. 이 기기를 스마트폰에 꽂고 연구팀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뒤 스마트폰 카메라로 피부를 찍으면 ... ...
[과학뉴스] ‘얼음 행성’ 깊숙한 곳 구조는…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원소들이 서로 어떻게 반응하는지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추정했다. 물과 암모니아가
결합
한 암모니아 수화물은 압력이 65GPa(기가 파스칼, 1GPa은 대기압의 1만 배)이 넘어가자 수소 원자가 떨어져 나가면서 이온상태의 암모니아 반수화물 (O2-(NH4+)2)이 됐다. 그 뒤 해왕성 내부 압력인 500GPa이 될 ... ...
[Issue] 경주 지진 벌써 1년, 석가탑과 첨성대 큰 지진에 견딘 비결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석재가 놓여 있다. 원래 이 정자 모양 돌은 서로 만나는 모서리를 요철(凹凸)처럼 다듬어
결합
돼 있었다. 그런데 1000년 이상이 흐르면서 한 쪽 귀퉁이가 떨어져 나갔다. 전체적인 모양도 세월을 빗겨가지 못했다. 북쪽으로 약 1도 가량 기울어져 있었는데, 지난해 지진이 일어난 뒤 약 0.1도 가량 더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