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부와 기업이 관심을 갖는 미국의 과학교육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강조했다. 컨퍼런스에도 20~30명의 한국 과학교육 연구자들이 참가해 논문을
발표
했다.송진웅 교수는 “개최국인 미국을 빼면 한국인이 가장 많을 것”이라면서 “한국에서 비행기를 타고 오기도 하지만, 미국에서 과학교육을 연구하는 한국인 교수나 연구원, 유학생이 많이 참석하기 때문에 한국 ... ...
보일의 공기탄성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그래프용지, 그리고 바세린만 있으면 된다. 하지만 보일이 처음 실험결과를
발표
했을 때도 모든 사람들이 그것을 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인 것은 아니다. 당시 유명한 철학자였던 토마스 홉스는 실험과학이 자연에 쓸모없는 것은 없다는 철학의 제 1원리를 위배할 수 없다고 믿었기 때문에 빈 ... ...
폭발물 탐지하는 신물질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탐지하는데 뛰어난 성능을 가진 물질을 합성하는데 성공했다고 4월 14일자 ‘네이처’에
발표
했다.이 물질에 자외선을 쬐면 안에 들어 있는 전자가 들떠서 빛을 낸다. 그러나 TNT가 신물질에 달라붙으면 빛이 나오지 않는다. 연구팀의 에이메 로즈 박사는 “이 물질이 유기물질 중 가장 적은 에너지로 ... ...
머리카락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이라는 유전자가 곱슬머리와 관계있다는 연구결과를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
했다. 쥐에서 이 유전자를 제거했더니 머리와 뒷발에서 털이 소용돌이치는 모양으로 자라났다는 것. 네이선스 박사는 “사람도 프리즐드6 유전자를 갖고 있다”며 “이 유전자가 없으면 머리카락이 소용돌이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1990년대까지 드물지만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해 단백질의 구조를 분석한 논문이
발표
되곤 했다. 하지만 당시 이들이 사용한 것은 엄밀히 말해 ‘점’들의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이었다. 단백질을 구성하는 원자의 중심에 점을 찍어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만든 것.예를 들어 수소와 인, 황 등 ... ...
암·당뇨 집에서 혼자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디지털 바이오 디스크’(DBD)와 DBD 드라이브를 개발해 국제특허를 출원했다고 4월 21일
발표
했다.이 장치는 DBD 표면의 주입구에 혈액을 넣으면 드라이브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혈액에서 혈청을 분리하고 이 혈청이 DBD 속의 진단키트와 반응해 질병을 진단한다.유 교수는 “일반 CD처럼 DBD ... ...
빅뱅 직후 우주는 액체 상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미국 브룩헤븐 국립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18일 미국 물리학회에서 이 같은 새 이론을
발표
했다. 연구진은 2000년 이후 가속기를 이용해 금의 원자핵을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정면 충돌시키는 실험을 계속해왔다. 이 충격으로 빅뱅 후 수십만분의 1초 뒤의 우주 온도인 약 1조℃ 이상의 상태를 재현했다. ... ...
얼음에 수소 저장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10억분의 1m) 크기의 빈 공간에 수소 분자를 가두는데 성공했다고 ‘네이처’ 4월 7일자에
발표
했다.수소는 석유를 대체할 차세대 에너지로 각광받고 있지만 저장하기가 쉽지 않았다. 지금까지는 영하 252℃나 350기압 등 저온·고압으로 압축해 저장하는 방법이 쓰였다.연구팀은 100기압 이하에서 물에 ... ...
펜타쿼크, 유령입자일까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펜타쿼크의 발견이 실제로는 착오였을 가능성이 커졌다고 최근 열린 미국물리학회에서
발표
했다. 이탈리아 국립핵물리연구소 데 비타 박사도 “실험에서 쿼크를 보지 못했다”고 이 학회에서 밝혔다.펜타쿼크는 일본 하리마의 한 원형가속기에서 처음 발견됐다. 일본 연구팀은 탄소 원자에 ... ...
댐 공사로 망가지는 강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사이비츠키 교수팀도 같은 잡지에 댐이 바다로 흘러가는 퇴적물을 막는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
했다. 이 현상이 계속되면 강 하구에서 토양이 심하게 깎여 바다 생태계에 악영항을 줄 수 있다 ... ...
이전
725
726
727
728
729
730
731
732
7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