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 기술로 거장의 작품을 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양동열 교수는 KAIST 제 1호 박사다. 무려 655편의 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와 학술대회에
발표
했고, 관련 특허만 50건이라는 그는 연구실의 성공비결을 ‘창의적 도전’이라는 한 단어로 요약했다.“불과 몇년 전만 해도 나노 정형 가공에 도전할 계획을 가진 사람은 많지 않았습니다.” 3년전 이 분야에 ... ...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박성표 교수는 개회충에 감염돼 눈이 손상된 환자 다섯 명의 증례를 학술지에
발표
했다. 시력이 떨어지고 눈에 뭔가가 돌아다니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 병원에 갔더니, 개회충에 의해 망막이 얇게 벗겨졌다는 것을 알게 됐다. 환자 중 개를 키우고 있는 사람은 두 명 뿐이었지만, 개를 안 길러도 ... ...
한반도 기후의 숨은 실세 극진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에어로졸, 심지어 온실가스와 같은 다양한 인자들이 극 진동의 크기를 바꾼다.최근
발표
된 연구에 따르면 적도지역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대류활동이 열대에서 중위도에 걸친 대기 순환의 변화를 유도한다. 여기서 생기는 중위도의 대기파동이 극 진동의 장, 단기 변동을 조절한다.대기순환 변동의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널리 페르시아 · 인도 등을 여행했다 1821~1895 영국의 수학자 58년에
발표
한 행렬론(行列論)은 선형대수의 기원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19세기 기하학의 총화라고 할 수 있는 59년의 논문이 유명하다19세기의 수학사는 독일·프랑스를 중심으로 전개되었고 영국·미국학파는 그다지 ... ...
과학 다큐 시리즈 대명사 - 노바온라인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성이론을
발표
한 지 딱 100년이 되는 시점이다.특수상대성 이론이
발표
되자 많은 사람들은 시간여행이 가능하지 않을까 기대했다. 사람이 하늘을 동경하다 비행기로 하늘을 날게 된 것처럼 언젠가는 시간여행이 가능할 지 모른다.“할아버지 패러독스는 과거로 시간여행을 할 ... ...
잠 안자도 끄떡없는 초파리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30% 적게 자고도 정상적으로 생활하는 초파리가 태어났다”고 ‘네이처’ 4월 26일자에
발표
했다.연구팀은 초파리 1만4000마리의 ‘짧은 수면’ 유전자에서 염기 서열 하나를 바꿨더니 이들이 3~4시간을 자고도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돌연변이 초파리는 생체반응 시간을 알 수 ... ...
스스로 번식하는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스스로 복제하는 3차원 블록으로 된 로봇을 개발했다”고 ‘네이처’ 5월 11일자에
발표
했다.이 로봇은 주사위처럼 한 변이 10cm인 정육면체 4개가 길게 연결돼 만들어졌다. 이 로봇은 반으로 분리될 수 있다. ‘어미’ 로봇이 몸을 구부려 반으로 나뉘면서 옆에 정육면체 2개로 된 ‘딸’ 로봇을 ... ...
마침내 부활한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얼굴 모핑’(facial morphing)기술이 특히 눈길을 끌었다.물론 처음 이 엉뚱한 계획을
발표
했을 당시 제안자인 콜라쥬 드 프랑스의 이브 코펭 교수를 제외하고 동조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 ‘헛수고’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하지만 코펭 교수의 의지는 쉽게 꺾이지 않았다. 네안데르탈인이 결코 ... ...
물리학이 밝힌 신경세포 경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뇌지도 연구에 응용하는 방법을 개발해 물리학계 권위지인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발표
했다.물리학이 과연 뇌 연구에 어떤 도움을 줄까.초기의 뇌지도 연구는 주로 사고능력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뇌에서 손상된 부분에 해당하는 기능을 추론했다. 1861년 프랑스의 외과의사이자 신경해부학자인 ... ...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연구단은 pH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분자를 설계해 ‘미국화학회지’에
발표
했다. 이 분자가 수십개 모이면 속이 텅 빈 캡슐 모양의 초분자로 조립된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수용액의 pH가 낮아지면, 즉 산성이 되면 캡슐 모양이 찌그러진다. 초분자의 사슬 부분에 수소이온이 많이 붙어 양전하를 ... ...
이전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7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