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문화 이끌 제품 기획하는 곳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새로운 제품을 기획하고 평가할 줄 아는 디자이너를 길러내는 곳”이라고 말한다. 다른
대학
의 산업디자인학과 학생과 달리 과학자나 공학자와도 대화가 가능한 디자이너가 배출된다는 것이다.그래서 삼성종합기술원과 같이 공학자들의 전문무대로 여겨지는 산업체에 이 연구실의 학생들이 진출해 ... ...
과학책과 연애하는 행복한 번역가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물론 웬만한 인기 프로그램은 다보는 드라마광이라고 귀뜸한다.이 교수는 이번 학기부터
대학
원에 개설된 과학커뮤니케이션 협동과정도 맡고 있다. 번역작업이 과학자와 대중을 이어주는 일이라면, 이 일은 과학과 사회를 이어주는 것이다. 그는 앞으로 과학을 사랑하는 많은 사람들이 과학계의 ... ...
대중에게 다가서는 뇌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바람도 덧붙였다.맨 뒷좌석에서 만난 신석균씨는 은행에서 카드시스템을 구축한다.
대학
에서 소프트웨어를 전공했지만 뇌과학에도 관심이 많다고. “지난 2002년에도 이 강연회에 왔었습니다. 그때 어떤 발표자가 뇌는 마치 순두부 같다는 표현을 했어요. 전 뇌가 돌처럼 단단할 거라고 ... ...
② 영화의 완성도, 과학자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소재 캘리포니아대 어류 생체역학 분야에서 박사후 과정(postdoc)을 밟기 시작했을 때였다.
대학
근처에서 셋방을 구했는데, 우연히도 집주인이 에니메이션 제작사인 픽사의 아트디렉터였던 것이다.당시 픽사는 물고기를 주인공으로 하는 시나리오를 막 승인했고 감독과 제작자는 다급하게 이 주제에 ... ...
유통혁명 몰고 올 마법딱지 전자태그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것을 골자로 하는 유비쿼터스센서망(USN) 기본계획이 발표되기도 했다. 2월초 정부와
대학
, 기업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관련 기술 현황을 교환하는 국제회의가 열린지 불과 2주만의 일이었다. 최근 전자태그에 대한 관심이 이처럼 폭증하고 있는 배경에는 다 그만한 사연이 있다.지난 2월 ... ...
살아있는 물리학의 신화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평생 ‘잃어버린 소년시절’과 ‘글쓰기에 대한 강박관념’이 따라다녔다. 어린 나이에
대학
에 진학해 소년시절이 따로 없었던 겔만은 엄격한 아버지의 영향으로 언제나 자신이 실패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시달렸으며, 스스로 하고자 하는 일과 해야 하는 일 사이에서 항상 짓눌려 있었다. 또한 ... ...
회의주의자들의 사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회의주의자들의 사전’에서 ‘버뮤다 삼각지대’를 읽어보기 바란다. 미국의 한
대학
철학과 교수가 운영하고 있는 이 사이트의 매력 중 하나는 한글로 번역된 홈페이지가 있어 언어장벽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한글 홈페이지는 대체의학에 관심있는 한 직장인이 번역해 서비스하고 있다.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눈사람 제작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만들어 화제가 되고 있다. 화제의 주인공은 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의 박사과정
대학
원생 구혜영씨.구씨는 몸통 크기 1백nm(나노미터, 1nm=10억분의 1m)에 머리 크기 50nm로 엄청나게 작은 눈사람 모양의 ‘콜로이드 다층구조’를 제작했다. “이것은 세계에서 가장 작은 눈사람일 것”이라고 ... ...
봇물 터지는 발명소송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우리나라를 사랑했지만 우리나라의 시스템에는 실망했다.”2000년초 미국
대학
의 스카웃 제의를 받아들여 홀연 일본을 떠나면서 나카무라 슈지가 남긴 말이다. 그의 이민은 일본사회에 엄청난 충격을 줬다. ‘이공계 인재를 푸대접하는 일본은 미래가 없다’는 위기감이 고조됐다. 그러나 충격은 ... ...
나노기술 미래의 시한폭탄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수 있다는 오베도스터 박사의 연구결과는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에 대해 서울대 보건
대학
원 백도명 교수는 “설탕가루 자체가 흡수된 셈”이라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설탕은 체내 물질에 녹아 다당으로 분해돼야 몸에 흡수되지 설탕가루 자체가 몸에 그대로 흡수되지 않는다. 그런데 뇌에서 ... ...
이전
724
725
726
727
728
729
730
731
7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