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X-43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대학
에 입학했으나 학비가 없어 학업을 중단하고 스위스에서 수학교사가 되었다 11년
대학
에 돌아와 학위를 취득하여 모교의 강사가 되었다 13년부터 바이에른주의 실업학교에서 수학을 가르치고 17년 쾰른의 고등학교 물리학 교사가 되어 그곳에서 프랑스의 수리물리학을 독학으로 공부하는 동시에 ... ...
황사박사 전영신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그런가보다 했죠. 그때 가까운 친구 2명도 저 따라서 약대에 간다고 했었죠. 그런데 막상
대학
입학 원서를 쓰는 결정적 순간이 되니까 마음이 달라졌어요. 워낙에 약을 싫어해서 회충약 빼놓곤 먹질 않아요. 그런데 약사라는 직업은 약을 팔아서 사는 거잖아요. 그때 서울대 입시요강을 쭉 ... ...
인간 19번 염색체 비밀 한국 과학자가 풀어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해독에 한국인 과학자가 개발한 실험방법이 크게 기여했다.부산 동아대는 최근 이
대학
자연대 생명과학부 임선희 교수 연구팀이 ‘네이처’ 4월 1일자에 게재된 ‘인간의 19번 염색체 염기서열 규명’이란 논문에 공동저자로 참여했으며 자체 개발한 실험방법이 해독을 완료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 ...
뿔 긴 도마뱀이 명도 길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자연선택 이론이 실제 자연계에서 적용되는 현상이 포착됐다. 미국 유타주립대
대학
원생인 케빈 영은 미국 애리조나주 소노란 사막에 살고있는 뿔도마뱀(horned lizard)은 뿔이 길수록 생존확률이 크다고 ‘사이언스’ 4월2일자에 발표했다.천적인 때까치는 도마뱀을 채어가 나뭇가지에 걸쳐놓고 ... ...
기억 조작하려면 가짜 사진이 최고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스티븐 린지 교수가 미국 심리학회의 ‘심리과학’ 3월호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대학
생 45명에게 관련 사진을 보여주며 초등학교 때에 벌어졌다고 꾸며낸 이야기를 들려주었을 때 3분의 2가 사실로 믿었다. 논문의 제목도 ‘진짜 사진과 거짓 기억’이다.연구팀은 실험 대상자 45명에게 그들의 ... ...
물방울 카메라와 종이를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소금쟁이가 잔잔한 연못이나 개울에서 스케이트를 타듯 물위를 사뿐히 떠다닐 수 있는 것이나 개미가 물방울에 갇혀 나오지 못하는 것은 물의 표면장력 때문이 ... 이용해 미세유체를 제어하는 연구는 현재 미 듀크대, 로스앤젤레스 소재 캘리포니아대 등 일부
대학
에서 진행되고 있다 ... ...
태양건축 에너지 완전자립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상황에 대비한 보완 기술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주목할 점은 계획 초기부터 연구소와
대학
, 건축사무소가 밀접히 협력했다는 사실이다. 각각의 설계와 시공 단계에서 일어나는 각종 문제를 함께 해결했다. 특히 단계마다 정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공동작업을 통해 건축기술과 ... ...
예술로 피어난 과학 식물세밀화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등 외국 박물관을 찾는 아이러니가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대학
은 돈이 되지 않는 이런 기초작업까지 돌볼 여유가 없는게 오늘날의 현실이다. 결국 이런 일은 국립수목원 같은 국가기관의 몫으로 남게 됐다.“아시다시피 우리나라는 유엔의 생물다양성보존협약에 ... ...
지구촌, 여성 과학자 우대 바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여성이여 과학에 도전하라!” 지구촌 곳곳에서 여성 과학자의 지위 향상과 여학생의 이공계 진출을 촉진하기 위한 움직임이 강하게 일고 ... 수 있게 해주는 파격적인 안까지 마련하기도 했다. 과기부도 여학생 비율이 30%를 넘는 이공계
대학
에 대해 ‘당근’을 주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 ...
잠은 문제 해결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서파수면기에는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효소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얀 본 교수는 같은
대학
의 스테판 가이스 박사와 함께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2월 17일자에 서파수면기의 낮은 아세틸콜린 양이 장기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실험결과를 발표했다.연구팀은 자원자들을 대상으로 서로 ... ...
이전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7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