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뉴스
"
건
"(으)로 총 7,984건 검색되었습니다.
만능 잡화상 고양이 ‘도라에몽’이 돌아왔다
2015.03.01
건
위험하다. 애초에 각종 미래 도구들의 현실화 가능성은 생각하지 않고 그저 ‘이런 물
건
이 있으면 재미있겠다’는 아이디어만을 가지고 각종 에피소드를 그려 냈을 뿐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발하고 황당한 아이디어가 곧 과학과 기술, 또 발명과 발견의 아버지이기도 하다는 사실만은 변하지 ... ...
“누구나 ‘가슴’ 하면 그녀를 떠올릴 수밖에”
2015.02.27
여하튼 윌머트 박사팀은 277번째 시도 끝에 복제에 성공, 마침내 1996년 7월 5일 6.6kg의
건
강한 아기 양 돌리를 탄생시킵니다. 갓 태어난 아기 양 돌리(왼쪽) - 영국 로슬린연구소 제공 이렇게 태어난 특별한 양에게 연구진은 이름을 붙이고 싶었나 봅니다. 요즘 화제인 한 예능프로그램에서 ... ...
우리 할머니는 아티스트
2015.02.25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이상희 교수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와 미국 미시
건
대 인류학과를 졸업한 뒤 2001년부터 UC리버사이드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전공은 고 인류학이며 인류의 두뇌 용량의 변화, 노년의 기원, 성차의 진화 등을 연구하고 있다. 암벽화, 화살촉 등 유적을 ... ...
조삼모사(朝三暮四)의 긍정심리학
2015.02.23
회분이 된다. 반복 실험을 통해 유인원들은 이를 깨달았다. 두 번째 프레임은 ‘손실 조
건
’이다. 유인원들은 과일 2회분과 과일 1.5회분에 해당하는 땅콩 사이에서 선택을 해야 한다. 처음엔 대부분 과일을 선택하겠지만 이 경우 1회분만 받을 때(손실)도 있다. 즉 유인원이 과일을 선택했을 때 ... ...
'명절 증후군' 극복법? 생활리듬부터 회복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5.02.20
된다. 특히 몸의 반동을 이용해 근육을 늘려 주는 ‘동적스트레칭’은 무의식중에
건
이나 인대에 손상을 입을 수 있는 만큼, 평소 운동량이 부족한 사람이라면 부드럽게 근육과 관절을 풀어주는 ‘정적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중략) 2014년 02월 03일자 ...
2년 전 러시아 충돌 운석, 여전히 미스터리
2015.02.17
2013년 2월 15일 러시아 첼랴빈스크 주에는 하얀 연기가 길게 꼬리를 단 불덩이 같은 운석이 땅으로 떨어졌다. - 스페이스닷컴 제공 2013년 2월 15일 오전 러시아 우랄산맥 동쪽 첼랴빈스크 주 일대에 섬광과 굉음을 동반한 운석우(隕石雨)가 떨어졌다. 운석우 충돌로 부상당한 사람만 1200명이 넘었다. ... ...
단조로운 직선구간이 사고위험 커
2015.02.17
기간 동안 전북 지역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는 총 390
건
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43.2%인 165
건
이 설 연휴 시작 전날에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망사고는 새벽에 주로 발생했다. 사망자 가운데 53.8%가 새벽시간대(오전 12시~4시)에 발생한 사고로 집계됐다. 하루 24시간 중 불과 4시간 사이에 절반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밝혀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자들은 “우리가 논문에서 ‘불운’이라는 말을 쓴
건
많은 암환자와 가족들이 병에 걸린 데 대해 통제할 수 없는 죄의식을 느끼고 있다는 사실을 알기 때문”이라며 “특히 자녀들이 암에 걸린 경우 암을 생기게 한 생활습관이나 환경을 방치한 데 대한 죄의식에 ... ...
암탉이 수탉으로 ‘성전환’ 된다면?
2015.02.15
유명해진 1609년 ‘UFO’ 출현 사
건
. 실제로 ‘조선왕조실록’에는 이것 말고도 해괴한 사
건
들이 많이 기록돼 있다. “1720년 5월에 이우항을 찾아가 만났더니 이우항이 말하기를 ‘요사이 해 가운데에 흑점이 있는데 이것은 예사롭지 않은 변고이다. 지금 국가의 병환이 바야흐로 위중하니 그것이 ... ...
양자를 훔친 악동들
2015.02.15
에르빈의 사형이 집행됐다. 플랑크는 모든 것을 잃었지만 전쟁이 끝난 후 독일 과학을 재
건
하는 데 여생을 바쳤다. 전쟁이 끝난 후 독일 과학자 대부분이 국제과학계로부터 왕따를 당한 반면, 끊임없이 나치에 저항했던 플랑크만은 예외였다. 그의 이름을 딴 막스플랑크연구소는 이제 독일을 ... ...
이전
722
723
724
725
726
727
728
729
7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