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뉴스
"
건
"(으)로 총 7,984건 검색되었습니다.
‘심봉사’ 이제 눈 대신 뇌로 본다
2015.04.04
‘커런트 바이올로지’ 2일자에 게재했다. 지구자기장을 이용해 미로 찾기에 성공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케가야 교수팀은 동물의 뇌가 지구자기장을 나침반처럼 생각하고 몸이 어느 쪽으로 가는지 인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쥐 실험을 진행했다. 철새는 태어날 때부터 체내에 고유한 ... ...
우주 저 먼 곳, 원시별의 진화를 생중계로 보다
2015.04.03
회상했다. 이번에 다시 한국 천문학 연구 수준을 ‘사이언스’에 알릴 수 있었던
건
2012년 세계적인 천문학자 호세마리아 토레예스 스페인 우주과학연구소(ICE) 박사를 만나면서 시작됐다. 토레예스 박사는 김순욱 연구원에게 2007년 이후 VLA 2의 분출물을 계속 추적하자고 제안했고, 세계 최고의 ... ...
韓中 백두산 폭발 대비 구멍뚫어 탐사 나선다
2015.04.02
세계 주요 대형 화산 가운데 마그마가 있는 지하 수 km 깊이까지 구멍을 뚫어 조사하는
건
백두산이 처음이다. 화산 폭발이 빈번한 아이슬란드가 2002년 지하 2km까지 뚫고 들어갔지만 마그마 핵(코어)에 접근하지 못하고 실패했다. 백두산이 폭발할 경우 동북아 일대에 화산재가 퍼지면서 아시아 ... ...
天地 밑 10km 지점 마그마 가득… 수년 째 ‘수상한 움직임’
2015.04.02
위험하다. 언제든지 큰 폭발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백두산이 마지막으로 폭발한
건
1903년이다. 939년 대폭발을 일으킨 뒤 몇 차례 작은 폭발이 이어졌고, 약 1000년 뒤 다시 활동을 시작한 것이다. 939년 대폭발 당시 백두산 분화 규모는 7이었다. 이는 당시 분출된 화산재 양이 100㎦에 이른다는 ... ...
무인차, 앞차와 똑같이 달리며 ‘아바타 주행’
동아일보
l
2015.04.01
특허를 가장 많이 등록한 완성차업체 상위 1∼3위는 모두 일본 업체들이었다(혼다 454
건
, 도요타 414
건
, 닛산 354
건
). 프랑스는 지난해 자율주행 기술을 ‘미래를 이끌 새로운 산업기술 34개’ 중 하나로 선정해 카를로스 곤 르노닛산 회장을 책임자로 정해 국가 차원에서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전 ... ...
인생 몰라요~ 점쟁이도 몰라요~
과학동아
l
2015.03.31
수도 있다” 와 같은 상담은 들으나 마나입니다. 운명은 정해져 있으나 바뀔 수 있다는
건
운명이 정해져 있지 않다는 소리와 다를 바가 없지요. 얄팍한 수작입니다. 점성술 같은 서양의 운수 보기도 다를바 없습니다. 태양과 지구, 달의 상대적인 위치가 태어나는 아이의 운명에 영향을 끼칠 리가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잘못된 선곡이라는 말이다. 스펜스 교수는 기고문 말미에서 “최근 발견들은 사람들이
건
강한 식습관을 갖게 유도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며 “풍미를 지각할 때 일어나는 다중감각적 상호작용을 식품을 설계할 때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독일에 기반한 저명한 과학저널 출판사인 ... ...
유방재
건
술 1일부터
건
보 적용… 뇌종양-간질 뇌기능 검사도 혜택
동아일보
l
2015.03.30
관련 시술은 아니지만 지난해부터 만 7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임플란트 치료에
건
강보험이 적용되기 시작한 것도 노인 삶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되고 있다. 특히 올해 7월부터는 해당 혜택의 적용 대상이 만 70세 이상 노인으로 확대된다. 이세형 기자 turtle@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 ...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03.26
“겨울에 집중적으로 이뤄지는 방제 특성상 언 땅 파는 게 제일 힘들어요. 그래도 여긴 조
건
이 좋은 겁니다. 해안가 절벽은 방제가 정말 힘들죠. 자른 나무를 헬기로 옮기기도 하고요.” 기자는 현장 취재를 다니는 동안 종종 작업자들이 터뜨리는 불만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처리해야 할 양은 ... ...
“우리 놀러가자!”
과학동아
l
2015.03.26
지난해 11월까지 10개월가량 소셜버즈(블로그·트위터 등 SNS 상에 언급된 말) 61만
건
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골목길을 언급한 버즈가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9.5% 이상 늘었다. 골목길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뜻이다. 스마트폰에 설치된 지도 앱을 이용해 골목길을 ... ...
이전
718
719
720
721
722
723
724
725
7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