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계행성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지난 5월 지구에서 1만5000광년 떨어진 외계행성을 발견해 ‘천체물리학회지’에
발표
했다. 우리은하 중심의 궁수자리에 있는 이 행성은 질량이 지구의 600배이며 (목성 질량의 2배) 중심 별로부터 약 3억km(지구와 태양 거리의 2배) 떨어져 공전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중력렌즈 관측법은 수만 광년 ... ...
조류독감 비상사태를 선포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독감백신 원료 생산공장을 설립하는 사업자로 국내 제약회사 녹십자를 선정했다고
발표
했다. 공장 설립을 총괄하는 엄달호 부사장은 “2007년까지 설비 구축을 완료한 뒤, 2009년부터 독감백신을 수출 포함해 5000만명분까지 생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계 두번째로 수두백신을 개발한 박송용 ... ...
4. 우주는 뻥튀기한 것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망원경으로 여러 은하를 관측해 은하들이 거리가 멀수록 더 빠르게 멀어진다는 사실을
발표
했다. 즉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을 처음 확인했던 것이다.팽창하는 우주라는 블록버스터의 필름을 거꾸로 돌린다면? 지구, 태양, 은하 등 우주의 모든 물질은 결국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온도와 압력이 높은 ... ...
분자 모터가 액체를 움직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물체를 움직인 최초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 결과는 ‘네이처 머티리얼스’ 8월호에
발표
됐다.연구팀은 긴 막대 모양의 탄화수소 분자 주위를 유기분자 고리가 둘러싼 형태의, 빛에 민감한 나노 셔틀을 개발했다. 작은 입자들의 무작위적 움직임인 브라운 운동에 의해 유기분자 고리는 탄화수소 ... ...
콩이 암을 예방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콩과 땅콩이 암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과학학술지 ‘암 연구’ 9월호에
발표
했다.암세포가 커지거나 다른 곳으로 전이되려면 암세포에서 혈관을 많이 만들어야 한다. 많은 과학자들이 암을 치료하기 위해 이 과정(앤지오지네시스)을 막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지만 아직 뚜렷한 해결책은 ... ...
당신의 순간은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대신 빛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회로기판을 개발해 컴퓨터의 처리 속도를 높이는 연구를
발표
했다. 아예 양자컴퓨터를 만들면 몇 년을 걸려 계산할 수 있는 것을 단 몇 초 만에 계산할 수 있다. 그러면 지금은 슈퍼컴퓨터로도 계산하기 힘든 날씨나 은하, 행성의 운동을 간단히 알 수 있다. 순간이 ... ...
1. 1비트도 놓치지 마라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지난 3월 삼성경제연구소는 최근 5년간의 소비 경향 5가지를
발표
했는데 그 중 하나가 ‘리얼타임 소비’였다.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이 자리 잡으면서 ‘빨리’ ‘동시에’ ‘바로바로’ 같은 실시간 소비가 늘었다는 것. 이제 리얼타임은 디지털 시대의 핵심 코드가 됐다 ... ...
3. 생명은 빛보다 빠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연구팀은 2003년 한 산소화 효소의 3번째 단계에 해당하는 구조를 모방해 ‘사이언스’에
발표
했다. 산소화 효소가 유기물에 산소를 붙이는 시간은 가장 짧을 경우 150펨토초다. 이런 일을 하는 효소의 중간체도 눈깜박할 새 만들어졌다 사라진다. 이 때문에 남 교수팀은 영하 40~80℃까지 기온을 낮춰 ... ...
지구온난화의 역습 카트리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박사팀은 지난해 9월 15일자 ‘기후저널’에 미래의 허리케인 세기를 예측한 결과를
발표
했다. 연구팀은 화석연료로 인해 이산화탄소가 1년에 1%씩 증가한다고 가정하고 앞으로 80년 동안의 기상변화를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했다. 그 결과 기압은 14% 떨어졌으며, 바람은 6%, 비는 18% 증가했고, 결국 5. ... ...
56년의 난제 다시 미궁에 빠지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그렇지 않은지 판단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과기부 공보실 관계자는 “연구 결과의
발표
과정에서 석연찮은 점이 없지 않다”면서 “연구 성과는 인정하지만 어느 정도 수준인지 좀 더 상황을 파악해봐야 한다”고 말했다.임팩트 팩터 | 어떤 저널에 게재된 논문이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 ...
이전
718
719
720
721
722
723
724
725
7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