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3. 위장을 점령한 난폭한 미생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4월 15일이었다. 행운은 노력하는 사람에게 찾아오는 법이다.마셜과 워런은 1983년 논문을
발표
했는데 이때 굿윈과 의견 충돌이 일어나 협동 관계가 해체됐다. 마셜은 배양한 헬리코박터를 자신이 직접 먹는 인체 실험으로 이 세균이 위염의 원인균임을 증명하기도 했다. 굿윈은 1988년 이 세균에 ... ...
분자 모터가 액체를 움직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물체를 움직인 최초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 결과는 ‘네이처 머티리얼스’ 8월호에
발표
됐다.연구팀은 긴 막대 모양의 탄화수소 분자 주위를 유기분자 고리가 둘러싼 형태의, 빛에 민감한 나노 셔틀을 개발했다. 작은 입자들의 무작위적 움직임인 브라운 운동에 의해 유기분자 고리는 탄화수소 ... ...
'외계인' 섬유 나왔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나오는 외계인의 얼굴을 닮았다. 이 결과는 지난 8월 미국 국립과학재단 학술회의에
발표
됐다.이 섬유를 의류 상품이나 지폐, 문서에 삽입하면 정품임을 증명해 위조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스캐너를 사용하면 섬유 제품 안에 들어있는 정보를 바로 판독할 수 있다.하인스트로자 교수는 “이 ... ...
세균 정수기 나왔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먹고 물과 염소를 배출한다. 이 연구 결과는 8월 29일 미국화학회 정기회의에서
발표
됐다.먼저 얇은 막에 세균을 붙여 자라게 한 뒤 이를 말아 머리카락 두께의 끈으로 만든다. 이 끈을 원통형 다발로 만들어 그 안에 수소를 채운 다. 이렇게 만든 7000개의 다발을 높이1.5m의 원통에 채우면 1분에 4~8L의 ... ...
외계행성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지난 5월 지구에서 1만5000광년 떨어진 외계행성을 발견해 ‘천체물리학회지’에
발표
했다. 우리은하 중심의 궁수자리에 있는 이 행성은 질량이 지구의 600배이며 (목성 질량의 2배) 중심 별로부터 약 3억km(지구와 태양 거리의 2배) 떨어져 공전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중력렌즈 관측법은 수만 광년 ... ...
청계천(淸溪川)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청계천 일대의 기온이 도심의 인근 지역 평균보다 낮게 조사됐다는 연구결과를
발표
했다.지난 7월말 통수(通水) 시험 당시 청계8가 숭인빌딩 앞과 약 400m 떨어진 신설동 왕산로 일대의 기온을 측정해 비교한 결과 청계8가 쪽은 평균 3.6℃ 낮게 나온 것.연구팀은 열화상측정장비로 청계8가와 왕산로 ... ...
4. 우주는 뻥튀기한 것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망원경으로 여러 은하를 관측해 은하들이 거리가 멀수록 더 빠르게 멀어진다는 사실을
발표
했다. 즉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을 처음 확인했던 것이다.팽창하는 우주라는 블록버스터의 필름을 거꾸로 돌린다면? 지구, 태양, 은하 등 우주의 모든 물질은 결국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온도와 압력이 높은 ... ...
56년의 난제 다시 미궁에 빠지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그렇지 않은지 판단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과기부 공보실 관계자는 “연구 결과의
발표
과정에서 석연찮은 점이 없지 않다”면서 “연구 성과는 인정하지만 어느 정도 수준인지 좀 더 상황을 파악해봐야 한다”고 말했다.임팩트 팩터 | 어떤 저널에 게재된 논문이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 ...
레일리의 아르곤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것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다. 1894년 옥스퍼드에서 열린 영국과학진흥협회 회의에서 예비
발표
를 했을 때도 학계에는 부정적인 견해가 많았다. 레일리와 램지가 발견한 새로운 기체는 실험 과정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화합물일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설득력을 얻었다.예를 들어 산소에 전기 충격을 ... ...
김 서리지 않는 안경 나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작은 물방울을 흡수해 김 서림을 막는다. 이 연구는 8월 28일 미국화학회 정기회의에서
발표
됐다.나노 코팅은 폴리머 섬유와 지름 7나노미터(nm) 유리 나노입자의 다층구조로 이뤄졌다. 이들은 그물 구조를 형성하는데 그 사이의 작은 틈으로 물이 스펀지처럼 흡수된다. 그 결과 물방울 대신 얇은 ... ...
이전
717
718
719
720
721
722
723
724
7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