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과대학
전문학부
대학원
과
학과
뉴스
"
학부
"(으)로 총 1,687건 검색되었습니다.
네이처 "코로나19 집단면역 형성 어려워지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0
효과가 없으면 도루묵이다. 에스테르 사비노 브라질 상파울루대 의과대학 감염병
학부
교수 연구팀은 지난해 10월 브라질 북부 아마조네스주 마나우스 지역 사람들 중 76%가 코로나19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하지만 올해 1월 브라질 변이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자가 대폭 ... ...
바이러스 조상 추적해보니…코로나19, 2019년 11월 중국 우한서 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9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의
학부
교수와 마이클 워로비 애리조나대 생태진화생물
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은 바이러스의 변이를 역추적하는 방식으로 우한에서 지금의 코로나19가 퍼져나간 시점을 11월 초중순으로 추정해 18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역 신문이 ... ...
박희재 서울대 교수 "힘들 때 회사 차려 돈 벌고 일자리 만듭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제조, 연구개발 등의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박희재 창의공간은 공과대학
학부
생, 대학원생뿐 아니라 다른 단과대학, 다른 대학, 아웃소싱 업체 등이 모두 활용할 수 있다. 근시일 내에 홈페이지에서 간단한 신청하는 절차를 만들어 접근성도 높일 예정이다. 박 교수는 "창업은 한두 ... ...
실험실에서 '배반포' 길러냈다…불임·발달과정 질환 연구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살 수 있는 배아를 만들 수 없다”고 강조했다. 푸지안핑 미국 미시간대 세포발달생물
학부
교수는 네이처에 “점차 실험 조건이 최적화되면 인공 배반포가 실제 인간의 배반포에 가까워지게 되고 생명윤리적 질문을 제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손 책임연구원도 “배아는 관점에 따라 생명인지 ... ...
눈물샘 세포 키웠더니 30분 만에 세포가 울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눈물샘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한스 클레버르스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 분자유전
학부
교수 겸 휘브레흐트연구소 그룹리더가 이끄는 연구팀은 눈물을 흘릴 수 있는 눈물샘 오가노이드를 만들어 국제학술지 ‘셀스템셀’ 16일자에 공개했다. 오가노이드는 사람이나 동물의 세포를 배양해 만든 ... ...
연간 50억 번 내리친 번개, 원시 생명체 탄생 도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길을 열었다”고 말했다. 우주생물학자인 힐레어리 하트넷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생명과
학부
교수는 미 공영라디오 NPR에 “지구의 모든 생명체는 가장 작은 바이러스부터 가장 큰 유기체에 이르기까지 인을 필요로 한다”며 “번개가 상상 이상으로 생명에 많은 것을 가져다줬을 것”이라고 ... ...
그린란드 빙하 1.4km 아래에서 발견된 나뭇잎…“그린란드는 한 때 ‘녹색땅’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전체가 다 녹으면 해수면은 6m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폴 비어만 미국 버몬트대 지질
학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15일자에 그린란드를 덮고 있는 얼음이 지난 100만 년 동안 최소 한 차례 이상 대부분 녹아내린 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그린란드의 ... ...
‘뭉치면 강한’ 검은벌레 로봇에 활용한다면
과학동아
l
2021.03.16
‘벌레 거품(worm blob)’이라고도 불린다. 미국 조지아공대 화학 및 생체분자공
학부
와 물리
학부
연구팀이 실험과 모델링을 통해 검은벌레가 얽히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수조에 캘리포니아 검은벌레 20마리를 길게 늘어뜨려 놓고 수조 왼쪽 아래에는 난방장치를 설치해 뜨겁게, 수조 ... ...
소득불평등 증가 이론 제시한 김지희 KAIST 교수 ‘루카스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3.15
왜 급격히 늘어났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논문을 펴낸 김지희 KAIST 기술경영
학부
교수가 2021년 ‘로버트 루카스 주니어상(루카스 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KAIST는 김지희 교수가 찰스 존스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와 공동 저술해 2018년 10월 학술지 ‘정치경제학 저널(JPE)’에 발표한 논문의 ... ...
"‘폐기’하세요"…AI가 알려준다 소고기 신선도를
동아사이언스
l
2021.03.10
구성성분을 알아내는 기법이다. 논문의 공동 제1저자인 신성호 융합기술학제
학부
석박통합과정 연구원은 “소고기 시료 78개를 16일간 서서히 썩게 만들면서 하루 두 번씩 확산광 반사 분광기법을 이용해 미오글로빈의 함량과 스펙트럼 정보를 측정했다”며 “여기서 얻은 2574개의 데이터를 AI에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