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과대학
전문학부
대학원
과
학과
뉴스
"
학부
"(으)로 총 1,68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과기한림원, AI 시대 인재양성 토론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4.01
시대의 인재 양성'을 주제로 온라인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31일 밝혔다. 오혜연 KAIST 전산
학부
교수가 '대학 소프트웨어와 AI 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발표에 나선다. 서정연 서강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도 '초중등 교과 과정 AI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를 주제로 발표한다. 권호열 ... ...
앱으로 딥페이크 의심 영상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30
사진 위변조 탐지가 필요한 누구나 손쉽게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흥규 KAIST 전산
학부
교수 연구팀은 인공신경망으로 딥페이크와 사진 위변조를 탐지하는 소프트웨어 ‘카이캐치’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개발해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30일 밝혔다. 앱에 딥페이크가 의심되는 ... ...
미 북서부 나타난 때아닌 유성우…정체는 재진입 실패한 스페이스X 로켓
동아사이언스
l
2021.03.29
입장을 내지 않았다. 에릭 라스무센 트위터 캡처 제임스 데이븐포트 워싱턴대 천문
학부
교수는 “팰컨9은 위성을 궤도에 배치하는 임무는 정확히 수행했으나 궤도 이탈에 필요한 연소를 완료하지 못했기 때문에 예상한 시간과 장소에 내려오지 않았다”며 “지난 3주간 떨어질 때를 기다리고 ... ...
소빙하기 기회로 삼은 동로마인들... 과거로부터 배우는 '기후탄력사회'는
동아사이언스
l
2021.03.29
'기후탄력사회'의 모습이라고 평가한다. 다고마르 데흐로트 미국 조지워싱턴대 역사
학부
교수는 25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동로마 사례를 비롯해 역사에서 성공적인 기후변화 대응 사회를 소개하면서 “기후와 사회의 역사를 살피고 여기서 교훈을 찾아 현재의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전략을 ... ...
[프리미엄 리포트]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1.03.27
방법은 지난해에야 처음으로 증명됐다. 다니엘 파치오 영국 글래스고대 물리 및 천문
학부
교수팀은 음파와 회전하는 흡음기를 이용해 커 블랙홀과 유사한 환경을 만들어 펜로즈 과정이 실제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 지난해 6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피직스’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67-020-0944-3 ... ...
[지구는 살아있다] 왜 설악산 돌은 밝은색이고, 제주도 돌은 어두운색일까
2021.03.27
용암이 밀려서 굳은 흔적이다. 우경식 제공 ※필자소개. 우경식. 강원대 지질지구물리
학부
지질학 교수. 해양지질학을 공부하고 1986년부터 강원대 지질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국제동굴연맹 회장을 역임했으며, IUCN 세계자연유산 심사위원으로 세계의 지질유산을 심사하고 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실험실에서 탄생한 태아의 씨앗 '배반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3.27
RNA 성분도 비슷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호세 폴로 호주 모나시대 발달생물학및해부
학부
교수팀은 세포의 유전자를 조절하는 재프로그래밍 기술을 이용해 섬유성 결합조직을 이루는 세포인 섬유아세포를 영양막줄기세포로 재프로그래밍했다. 연구팀은 3주가 지나자 이 세포 중 6~18%가 사람의 ... ...
현대물리학 표준모형 깨지나…과학계 새 입자 ‘렙토쿼크’ 발견 가능성에 주목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입자인 ‘렙토쿼크(leptoquark)’의 존재 가능성이 제기된 것이다. 양운기 서울대 물리천문
학부
교수(CERN CMS 한국팀 대표)는 “이번 측정 결과가 맞다면 힉스 발견보다 더 큰 발견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LHC의 4개 검출기 중 하나인 LHCb 실험 데이터에서 나왔다. LHCb에서는 바닥쿼크가 ... ...
한국인 주도 日연구진 “코로나 바이러스, 이틀 만에 체내 배출량 최대”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수리 모델링과는 다른 점”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그가 소속된 규슈대 생명과
학부
수리생물학실험실은 세계적으로 정량 분석을 통한 수리 모델링 연구를 진행하는 몇 안 되는 그룹 중 하나다. 지난해 김 연구조교수가 이런 기법으로 발표한 논문만 4편이다. 인간의 유전체에서 개인의 유전적 ... ...
‘빅뱅 머신’ LHC, 10년 간 힉스 포함 59개 새 입자 발견…국내 중소기업 역할 톡톡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가령 양성자는 쿼크 3개로 구성된 입자(바리온)다. 양운기 서울대 물리천문
학부
교수는 “테트라쿼크의 존재는 이론적으로도 논란이 있었는데 이번에 존재가 처음 확인됐다"고 말했다. 테트라쿼크 발견으로 물리학자들의 숙제는 더 늘어났다. 윤 교수는 “중력이나 전자기력은 입자 사이의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