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이형
변질
변환
변전
변이
이상
뉴스
"
변형
"(으)로 총 1,463건 검색되었습니다.
염기교정 유전자가위 효율 예측할 인공지능 기술 개발
연합뉴스
l
2020.07.09
된 DNA 염기서열에서 아데닌(A)을 구아닌(G)으로 혹은 시토신(C)을 티민(T)으로 염기 한 개만
변형
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DNA 두 가닥 모두를 자르는 크리스퍼 가위와 달리, 특정 단일 염기만 교체할 수 있어 유용하다. 하지만 교정 범위 내 같은 종류의 표적 염기가 여럿 존재할 경우 원치 않는 ... ...
1차원 공간 대칭성 증명 김상현 고등과학원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7월 수상자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해결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원과 직선 등 1차원 공간의 대칭성은 공간을 부드럽게
변형
시키는데 이같은 대칭성을 미분동형사상이라 부르며 이들이 모여 미분동형사상군을 이룬다. 특이정칙성이란 미분동형사상군에서 각각 미분동형사상이 얼마나 부드러운지를 계측한 값이다. 4차 ... ...
"코로나19 감염력 더 강해진다" vs "근거 없다" …'변이' 논란 오리무중
동아사이언스
l
2020.07.03
유사체에 각각 D614와 G614 유형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발현시키도록 유전자를
변형
해 인체세포 침투 능력을 비교했다. 그 결과 침투 능력이 최대 9.3배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를 근거로 G614가 감염력이 더 뛰어나지만 중증 환자는 늘리지 않는 특성을 갖는 변이 바이러스라고 주장했다. ... ...
"뇌에 철분 쌓이면 치매 진행 빨라진다"
연합뉴스
l
2020.07.02
축적이 치매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뇌 신경세포의 베타 아밀로이드와 타우 등 2가지
변형
단백질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들도 있다. 미국 알츠하이머병 학회 연구실장 키스 파고 박사는 뇌세포의 철분 축적과 인지기능 저하 사이에 일부분 연관성이 있기는 하지만 인지기능 저하가 철분 ... ...
'악플과의 전쟁' AI가 끝낸다…특수기호 욕부터 문맥까지 인식
연합뉴스
l
2020.06.24
욕설 차단 기술은 단어 일부를
변형
하면 욕설을 발견하지 못했는데, AI 기반 기술은
변형
된 형태의 욕설도 탐지가 가능하다"면서 "욕설뿐 아니라 불법 광고 등의 탐지에도 활용된다"고 설명했다. 넥슨은 텍스트 탐지 기술을 게임 내 채팅에도 적용하고 있다. 일부 온라인게임에서 실시간 필터링 ... ...
홀로그램 보여주는 입체 디스플레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23
개발에서 소자가 지녀야 할 이상적인 회로 구조를 유지하면서 자유롭게 3차원 구조로
변형
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 것”이라며 “향후 디스플레이는 물론 3차원 구조 센서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신소재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테크놀로지’ ... ...
국내 코로나 백신·치료제 영장류 실험 본격 돌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개발 기간을 단축했다는 후문이다. 쥐 등 사람과 다소 차이가 있는 실험동물은 유전자
변형
등의 절차가 필요하지만, 영장류는 사람과 비슷해 이런 절차가 필요 없다. 다만 사람과 비슷한 증상을 개체별로 고르게 보이도록 하는 과정이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 ...
코로나19 회복 환자서 얻은 수천 종 '항체 칵테일' 치료 효과 쏠쏠하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싱가포르 국립감염병센터팀과 공동으로 코로나19 회복 환자에게 분리한 항체와 유전자
변형
쥐를 이용해 수천 종의 항체를 분리한 뒤 이 가운데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특정 영역과 결합하는 항체를 선별했다. 특히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표면 단백질의 하나로 ... ...
민트로봇, 탄성 원리 이용한 감속기로 로봇 자체 개발
연합뉴스
l
2020.06.16
시작했다. (서울=연합뉴스)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 민트로봇이 세계 최초로 탄성
변형
의 원리를 로봇의 핵심 부품인 감속기에 적용했다고 16일 밝혔다. 사진은 엘라클로이드 감속기(사진 왼쪽)와 감속기 내부 구조. 2020.6.15. [민트로봇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감속기는 모터의 속도를 줄이면서 ... ...
日연구팀 '겨울잠' 유도 실험 성공…의료·우주탐사 활용 기대
연합뉴스
l
2020.06.12
Q신경세포를 발견했다. 이 세포를 특정 약물로 외부에서 자극할 수 있는 유전자
변형
쥐를 만든 뒤 약을 주입해 신경세포의 움직임을 관찰했다. 그 결과 쥐는 약물 주입 후 30분 만에 평상시 37도이던 체온이 급격히 떨어져 거의 움직이지 않게 됐다. 체온은 외부온도에 가까운 24도 정도로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