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이형
변질
변환
변전
변이
이상
뉴스
"
변형
"(으)로 총 1,463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연구속보] 우리 몸속 고대 바이러스 흔적이 코로나19 퇴치법 알려줄까?
2020.10.20
우리 조상이 고대에 기생충에 노출돼 우리 게놈(유전체)이
변형
됐고, 그 결과 오늘날 다양한 면역 반응들이 생기고 있다는 것이다. 추옹 교수는 “우리 게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바이러스들은 우리의 목숨뿐만 아니라 우리의 생명활동과 진화를 수천 ... ...
[코로나19 연구속보] 완전 종식 어려운 코로나19, 결국 풍토병 되나
2020.10.19
마찬가지로, 환경 조건이 코로나 바이러스 전염성을
변형
시킬 수 있다. ※ 참고자료 https://www.sciencedaily.com/releases/2020/10/201015101820.htm ※ 출처 : 한국과학기자협회 포스트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9736728&memberNo=36405506&navigationType ... ...
충격 받으면 멍드는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힘을 줄 때만 색이 변했지만 이번에 개발된 소재는 당기거나 누르고 구부리는 다양한
변형
에서도 색이 변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스피로피란 기반 응력 감응형 스마트 고분자 소재의 기계적 민감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했고 분석을 통해 감도 향상에 대한 메커니즘을 ... ...
QLED도 친환경 필요...카드뮴 없는 퀀텀닷 왜 개발하나
2020.10.15
합성한 퀀텀닷의 핵심 재료는 카드뮴이다. 카드뮴은 칼로 자를 수 있을 만큼 부드러워
변형
하기 쉽고, 전기전도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다른 물질과 혼합도 잘돼 퀀텀닷 재료로 안성맞춤이다. 하지만 독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대표적으로 1910년대 전후 일본에서 발생한 질병인 ... ...
이상엽 KAIST 특훈교수, 개미산·이산화탄소만으로 증식하는 대장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11
대장균은 탄소를 함유한 유기물질을 대사하며 다양한 물질을 생성하는데 이 과정을
변형
하거나 최적화하려는 대사공학적 시도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이산화탄소로부터 쉽게 전환해 얻을 수 있는 개미산은 대기 상태에서 안정된 액체로 보관과 이동이 용이하다. 이런 이유로 미생물이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재종합)
2020.10.07
성장호르몬에 반응하는 유전자를 억제해 고양이보다 작은 미니 돼지를 만들었다. 유전자
변형
작물(GMO)을 대체할 병충해에 강한 쌀과 무르지 않은 토마토가 개발되기도 했다. 김학중 고려대 화학과 교수는 "화학적인 메커니즘을 규명한 응용성에 무게를 둬 노벨위원회가 수상자를 결정한 듯하다"며 ... ...
'편집이냐 교정이냐'부터 ‘디자이너 베이비’까지…말 많은 유전자 가위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조작한다는 의미도 담고 있어 윤리적으로 적당하지 않다는 주장이 이어졌고 유전자
변형
이라는 중립적인 용어가 통용되고 있다. 유전자가위도 마찬가지다. 유전자 편집이라는 용어는 생명체의 일부를 잘라내고 이어붙이는 뉘앙스로 읽혀 윤리적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 ...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유전자가위’ 창시자 다우드나 교수 “2∼3년 내 크리스퍼로 감염병 진단할 수 있게 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때 윤리적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식량 작물의 경우 유전공학을 이용한 기존의 유전자
변형
생물체(GMO)와 크리스퍼 작물을 동일선상에서 볼 것인지 여부가 최근 유럽과 일본에서 도마에 올랐다. 다우드나 박사는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가격을 낮춰 크리스퍼가 여러 사람의 삶을 바꾸는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종합)
2020.10.07
성장호르몬에 반응하는 유전자를 억제해 고양이보다 작은 미니 돼지를 만들었다. 유전자
변형
작물(GMO)을 대체할 병충해에 강한 쌀과 무르지 않은 토마토가 개발되기도 했다. 김학중 고려대 화학과 교수는 "화학적인 메커니즘을 규명한 응용성에 무게를 둬 노벨위원회가 수상자를 결정한 듯하다"며 ... ...
유전자 가위 개발한 여성 화학자 샤르팡티에·다우드나 노벨화학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성장호르몬에 반응하는 유전자를 억제해 고양이보다 작은 미니 돼지를 만들었다. 유전자
변형
작물(GM)을 대체할 병충해에 강한 쌀과 무르지 않은 토마토가 개발되기도 했다. 올해 노벨상 발표는 5일 생리의학상 발표와 6일 물리학상 발표에 이어 12일까지 화학·문학·평화·경제 분야에 걸쳐 차례로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