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정
뜻
뜻매김
도리
정당
정념
정도
d라이브러리
"
정의
"(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이랬다 저랬다 미스터리 양자월드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현상이 양자론이 엉터리 이론이라는 증거라고 혹평하기까지 했다.반면 얽힘이 양자론을
정의
하는 특징이라고 두둔한 사람도 있다. 바로 슈뢰딩거다. 1930년대에 아인슈타인과 슈뢰딩거는 얽힘 현상을 두고 설전을 벌였다. 하지만 당시 슈뢰딩거도 얽힘이란 기묘한 개념을 썩 마음에 들어 하진 ... ...
노벨상 수상자의 4가지 비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중첩되는 부분이 많을수록 영재성이 높다는 것이다. 렌줄리 교수의 영재성에 대한
정의
는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의 영재교육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영재교육 대상자를 판별하고 선발하는 방법, 영재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구성하는 데 많은 영향을 미쳤다.우리나라도 2003년도부터 국가 차원에서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그리고 먼 길을 이동하기 위해 비용과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물리학적으로 ‘이동’의
정의
는 단순하다. 어떤 경로를 ‘연속적으로’ 거쳐간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동 과정 자체는 쉽지 않다. 반드시 대가(에너지)를 투입해야 하기 때문이다.양자역학의 기묘한 세계로 가면 이동의 중간과정을 ... ...
PART 1. 산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것은 일반인들이 알고 있는 ‘산사태’의
정의
와 전문가, 산사태 정보시스템이 내리는
정의
가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일이다. 흔히 사람들은 산이 무너지고 흙이나 바위, 모래가 흘러내리는 재해라면 모두 산사태라고 부른다. 때문에 도로를 깎은 절개지가 무너지거나 도로사면이 깎인 경우도 ... ...
PART 1. 수학은 언어다!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수학이 어떻게 언어가 될 수 있을까?언어란 생각이나 느낌을 전달하는 수단이다. 언어의
정의
를 떠올리니 수학으로 생각을 전달할 수 있을지 더욱 궁금해졌다. 다행히 이번 축제에 참가한 각국의 청소년들이 어떻게 수학으로 소통하는지 관찰할 수 있었다. 개회식을 마친 뒤 열린 컨퍼런스에서 ... ...
3차원에서의 작도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명확히
정의
해두는 것이 좋겠다.문제 13차원 공간에서의 작도에 쓰이는 책받침과 우산을
정의
하여라. 즉, 책받침과 우산은 어떤 일을 하는 도구인지 설명하여라.3차원 작도는 이렇게 책받침과 우산으로 하는 것이다. 그럼 2차원 작도에서 썼던 자와 컴퍼스는 어떻게 할까?“자와 컴퍼스는 사용하지 ... ...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것을 말한다. 플러터는 공진과 전혀 무관한 현상일까. 논문에서도 “넓게 보면 공진의
정의
와 완전히 어긋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그래도 익히 알려져 있듯이 바람이 일으킨 진동이 다리의 고유진동수와 일치해 공진이 일어난 것은 아니라는 게 핵심이다.또다른 대표적 사례인 영국의 브로스턴 ... ...
제 7회 세계과학기자 총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외에도 최근 소셜 미디어가 급부상하면서 달라진 과학기자의 위상과 과학 저널리즘의
정의
에 대한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미국 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의 마리엣 디크리스티나 편집장은 “6월 현재 페이스북의 사용자가 전 세계적으로 7억 명을 넘어서고 있다”며, “소셜 미디어를 얼마나 잘 ... ...
과학동아가 추천하는 논구술 책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지음 | 박병철 옮김 | 승산 | 246쪽 | 9800원 최근 미국 하버드대 마이클 샌델 교수의 ‘
정의
란 무엇인가’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물리학에도 이에 못지않은 책이 있다.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의 강의가 책으로 나왔다. 이 책은 미국 칼텍(캘리포니아 공과대학)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했던 일반물리 ... ...
PART 1 무한의 개척자, 칸토어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시작했어요. 당시 크로네커는‘유한주의’를 대표하는 수학자로 수학에서 어떤 것을
정의
하려면 반드시 유한한 단계를 거쳐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었거든요. 크로네커는 자연수까지만 인정할 뿐 그 밖의 무한은 존재한다는 사실 자체를 부인했어요.스승의 반대가 심해지자 칸토어는 그가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