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고대 인류 생활상, 석기 시대 똥으로 알아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과연 똥을 통해 어떻게 옛날 사람들의 생활을 알아냈을까요? 9월 14일 미국 코네티컷대학교 인류학부 알렉시아 스미스 교수팀은 약 1만 2500년 전 시리아 북부 아부 후레이라 유적지에 살던 석기 시대 사람들이 동물의 배설물을 일상에 활용했을 것이라고 발표했어요. ‘아부 후레이라 유적지’는 ... ...
- [특집] 어린이과학동아 아차상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하지만 스티커를 붙이면 쓰레기가 발생합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일본 오사카대학교 공학부 사토 코스케 교수팀은 쿠키에 먹을 수 있는 QR 코드를 인쇄하는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쿠키 속 빈 공간에 QR 코드를 만든 뒤, 쿠키 뒤에서 빛을 비춰 읽어내는 기술이죠. 사토 교수는 “친환경적인 ... ...
- [가상 인터뷰] 우주의 유령 ‘중성미자’가 남극 얼음에서 발견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개의 광센서를 설치해 중성미자를 찾아내고 있지요. 지난 11월 4일 미국 위스콘신-메디슨대학교 프랜시스 할젠 교수팀은 지구로부터 4700광년 떨어진 고래자리 A은하에서 날아온 중성미자 79개를 검출했다고 발표했어요. 아이스 큐브는 2018년에 처음으로 지구로부터 37억 광년 떨어진 오리온자리 ... ...
- [기획] 내 생각을 글로! 두뇌 해석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자기공명영상(fMRI)을 활용해 이 산소량의 변화를 측정해요. 2016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잭 갤런트 교수팀은 사람들이 특정 단어를 들으면 뇌의 어느 부위가 활성화되는지 fMRI로 촬영해 ‘어휘 지도’를 만들었어요. 어휘 지도를 통해 그 사람이 어떤 단어를 생각했는지 추측할 수 ... ...
- [통합과학 교과서] 저, 이제 키 크고 싶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10cm까지 더 클 수도, 10cm 더 작아질 수도 있어요. 2020년 호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대학교 연구팀은 어린이의 뼈가 잘 성장하기 위해 지켜야 할 일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11~13세 어린이 804명의 일과와 뼈를 측정해 이상적인 생활 습관을 조사했어요. 그 결과, 달리기 등의 ... ...
- [그래프뉴스] 꿀벌떼 날자 1000V 전기가 번쩍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3호
- 칠때나 모래 폭풍이 불때보다 강력 한 전기가 나오는 것으로 조사됐어요. 영국 브리스톨대학교 생물과 학부 다니엘 로버트 교수연구팀이 실험한 결과, 꿀벌떼가 1m를 날면 최대 1000V 의 전기가 생기는 것을 확인했지요. 연구팀은 꿀벌이 날갯짓할 때, 날개와 공기가 부딪히면서 전기가 발생할 거라고 ... ...
- [과학 뉴스] 2022 노벨상 수상의 영광은 누구에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선임연구원, 미국 시카고대학교 더글러스 다이아몬드 교수, 미국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학교 필립 딥비그 교수입니다. 벤 버냉키 연구원은 은행에 맡긴 돈을 너도나도 찾아가는 ‘뱅크런’ 현상 때문에, 대공황 당시 은행이 붕괴하며 경기가 장기 불황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죠. 다이아몬드 교수와 ... ...
- [4컷 만화] 온실 기체 메테인, 에너지 자원으로 탈바꿈?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에너지 자원인 메탄올로 바꿀 수 있는 촉매가 개발됐어요. 10월 23일, 한국연구재단은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부 이상엽 교수팀이 생물 효소의 구조를 이용해 메테인을 메탄올로 바꾸는 촉매를 만들어 냈다고 밝혔지요. 메테인을 메탄올로 바꾸는 촉매 반응이 일어나려면 엄청난 고온과 고압이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바나듐의 상전이 연구 중 우연히 알게 되었죠. 연구를 이끈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교 마티올리 교수는 “그 어떤 물질도 이런 식으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말했어요. 사람의 생각을 흉내 내는 금속이라…, 가능한 일일까요? 추천! 동아사이언스 영상 다시보기 모두 주목! 아이돌이 에 ... ...
- [특집] 인류의 뿌리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있다는 사실을 밝혀낼 수 있었지요. 생물의 진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연구하는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김유섭 교수는 “스반테 페보 소장은 해독이 어려운 고대 인류의 유전자를 성공적으로 분석해 현생 인류의 발자취를 밝혀냈다”며 수상 이유를 요약했습니다. 인간을 포함한 생명체의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