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어린이과학동아 아차상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하지만 스티커를 붙이면 쓰레기가 발생합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일본 오사카대학교 공학부 사토 코스케 교수팀은 쿠키에 먹을 수 있는 QR 코드를 인쇄하는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쿠키 속 빈 공간에 QR 코드를 만든 뒤, 쿠키 뒤에서 빛을 비춰 읽어내는 기술이죠. 사토 교수는 “친환경적인 ... ...
- [가상 인터뷰] 우주의 유령 ‘중성미자’가 남극 얼음에서 발견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개의 광센서를 설치해 중성미자를 찾아내고 있지요. 지난 11월 4일 미국 위스콘신-메디슨대학교 프랜시스 할젠 교수팀은 지구로부터 4700광년 떨어진 고래자리 A은하에서 날아온 중성미자 79개를 검출했다고 발표했어요. 아이스 큐브는 2018년에 처음으로 지구로부터 37억 광년 떨어진 오리온자리 ... ...
- [기획] 내 생각을 글로! 두뇌 해석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자기공명영상(fMRI)을 활용해 이 산소량의 변화를 측정해요. 2016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잭 갤런트 교수팀은 사람들이 특정 단어를 들으면 뇌의 어느 부위가 활성화되는지 fMRI로 촬영해 ‘어휘 지도’를 만들었어요. 어휘 지도를 통해 그 사람이 어떤 단어를 생각했는지 추측할 수 ... ...
- [통합과학 교과서] 저, 이제 키 크고 싶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10cm까지 더 클 수도, 10cm 더 작아질 수도 있어요. 2020년 호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대학교 연구팀은 어린이의 뼈가 잘 성장하기 위해 지켜야 할 일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11~13세 어린이 804명의 일과와 뼈를 측정해 이상적인 생활 습관을 조사했어요. 그 결과, 달리기 등의 ... ...
- [그래프뉴스] 꿀벌떼 날자 1000V 전기가 번쩍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3호
- 칠때나 모래 폭풍이 불때보다 강력 한 전기가 나오는 것으로 조사됐어요. 영국 브리스톨대학교 생물과 학부 다니엘 로버트 교수연구팀이 실험한 결과, 꿀벌떼가 1m를 날면 최대 1000V 의 전기가 생기는 것을 확인했지요. 연구팀은 꿀벌이 날갯짓할 때, 날개와 공기가 부딪히면서 전기가 발생할 거라고 ... ...
- [특집] 고대 인류 생활상, 석기 시대 똥으로 알아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과연 똥을 통해 어떻게 옛날 사람들의 생활을 알아냈을까요? 9월 14일 미국 코네티컷대학교 인류학부 알렉시아 스미스 교수팀은 약 1만 2500년 전 시리아 북부 아부 후레이라 유적지에 살던 석기 시대 사람들이 동물의 배설물을 일상에 활용했을 것이라고 발표했어요. ‘아부 후레이라 유적지’는 ... ...
- [특집] 체르노빌 생존의 흔적? 개구리 까만 피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사는 청개구리는 다른 곳에 사는 청개구리보다 까맣습니다. 2016년 스웨덴 웁살라대학교 파블로 부라코 연구원팀이 처음 체르노빌에서 까만 청개구리를 발견했지요. 체르노빌은 1986년에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가 발생한 곳이에요. 지난 8월 29일 연구팀은 이 폭발 사고가 까만 청개구리의 ... ...
- [가상 인터뷰] 호박벌은 공놀이를 좋아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똑똑하다고 추정했지. 공놀이를 즐기는 거랑 지능이 무슨 상관이야?영국 런던 퀸메리대학교 연구팀은 호박벌이 생존과 상관없이 그저 재미를 위해 공놀이를 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 실험은 18일 동안 3시간씩 45마리의 호박벌을 대상으로 진행됐어. 먹을 것과 나무공들을 놓아 둔 공간에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소셜미디어 속 사람들이 부러운 나, 어떡하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좋아요’나 ‘댓글’이 달리지 않아 불안한 적 있나요? 2015년 미국의 미주리과학기술대학교 연구팀은 소셜미디어에 많은 시간을 쓰는 사람일수록 우울증을 앓을 확률이 크다는 연구를 발표했어요. 사람들은 소셜미디어에 가장 멋지고 예쁘게 나온 사진만 올리는데, 이것이 오히려 우울감과 ... ...
- [특집] 여기가 초원이야? VR 마취(?)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진정제를 적게 사용한 것에 대한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았죠. 수술을 주도한 미국 하버드대학교 마취과 브라이언 오가라 교수는 “대부분 환자가 수술 중일 때 아픈 느낌에 집중하는데, VR 영상이 환자의 주의력을 분산시켜 통증을 줄였다”며 “VR 기술만으로 부작용 없이 진정제를 획기적으로 줄일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