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육"(으)로 총 4,452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활동했다. 대학 과목을 미리 수강하는 AP(Advanced Placement)를 이수했고, 국제천문올림피아드 교육 프로그램도 들었다. 그 결과 고등학교 3학년이던 2014년 ‘국제천문및천체물리올림피아드(IOAA)’ 한국 대표단에 선정됐고, 루마니아 수체아바에서 열린 대회에서 동메달을 받았다. 내신도 신경 썼다. ... ...
- [독일유학일기] 아헨공대 자퇴하고 카를스루에공대로과학동아 l2020년 01호
- 18세 미만 이민자를 지원해줬다. 김나지움은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가는 중등교육 기관이다. 독일은 한국과 달리 초등학교 졸업 후 하우프트슐레(Hauptschule), 레알슐레(Realschule) 또는 김나지움 중 하나를 선택해 진학한다. 하우프트슐레와 레알슐레를 선택하면 졸업 후 보통 직업훈련을 받는 ... ...
- [교육뉴스]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부에 국제중학교 폐지 건의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이번 결정은 국제고등학교의 폐지에 발맞춰 존속 의미가 퇴색한 국제중학교를 폐지하고 교육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움직임입니다. 국제중학교 재지정 평가에서 탈락하면 기존의 국제중학교도 2021년부터 일반중학교로 전환됩니다. 현재 국제중학교에 재학 중이거나 준비하고 있던 학생들이 피해를 ...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내가 주인이 되는 재미있는 수학 공부, 율곡중학교 오선영 교사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미친 듯이’ 공부하기 시작해 성적이 쭉쭉 오른 성현 학생은 고3이 된 지금 수학교육과 진학이 결정됐습니다. “성현이는 저를 마주칠 때마다 항상 고맙다고 말해요. ‘저를 포기하지 않아 주셔서 너무 감사하다’고요. 수학을 잘하는 학생에게는 모두가 관심이 많아요. 부모님도 사회도 말이죠. ... ...
- [탐험대학] 실패에서 배운다! 탐험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12월 7일, 서울대학교 글로벌공학교육센터에서 ‘2019 탐험대학 페스티벌’이 열렸어요! 탐험대학에 참가한 30명의 청소년은 전문가 멘토 등 200여 명의 앞에서 지난 반년간 자신의 탐험 이야기를 들려주었지요. 청소년 탐험가들, 반년 동안 과연 어떤 일을 겪었을까요? 탐험대학은 초등학교 ... ...
- [스쿨리포트A+] 이론 실습 연계 보고서 - 멘델의 유전법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생식과 유전’ 단원과 고등학교 생명과학Ⅰ, Ⅱ에서 중요하게 다뤄집니다(2015년 개정 교육과정 기준). 특히 중학교 3학년 때 처음 나오는 유전의 기본 원리는 경우의 수, 확률, 통계와 같은 수학적 사고가 필요해 많은 학생이 어려움을 겪습니다. 그래서 중학교 3학년 과학과 고등학교 2학년 ... ...
- [열혈가족인터뷰] 그린 가디언 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문헌, 기관의 자료를 찾을 수 있었지요. 또 지사탐 대원으로 이촌한강공원 귀화식물 현장교육에 참여했는데, 그때 차두원 연구원님을 만나 생태계 교란 식물종에 대한 연구방법을 여쭤보는 인터뷰를 하기도 했답니다.Q 탐구를 마친 뒤, ‘생태계 교란 식물은 무조건 제거되어야 할까’의 결론을 ... ...
- [미국유학일기] 아이폰의 나라에 매료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국제학회에서 발표할 기회까지 얻었다.이외에도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의 온·오프라인 수업을 들으며 직접 발명품 특허를 출원해보고, 집수리 봉사 활동도 꾸준히 하며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또 2012~2013년에는 강원도민생활체전에 수영과 수구 종목 선수로 출전했는가 ... ...
- [동아리탐방] 수학으로 메이크 잇! 대전대신고 FINDER수학동아 l2020년 01호
- 파는 교구를 만드는 걸 넘어서 새로운 교구를 창작하게 되면서 각종 대회에도 참가하고 교육 봉사하며 활동 영역을 넓혔다. 2018년 대전 수학 체험전에서는 집에 가서도 수학을 체험해 볼 수 있도록 모빌을 만들 수 있는 키트를 대략 400개 만들어 도안과 함께 참가자에게 선물했고, ... ...
- [지사탐 수료식] 전국의 시민과학자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장항습지를 18년 동안 모니터링한 에코코리아와 지구사랑탐사대의 탐사왕, 전라북도과학교육원 유상홍 해설자도 시민과학의 사례를 소개하며 중요성을 알렸지요.장이권 교수는 “시민과학도 엄연히 ‘과학’이라는 걸 다시 느꼈다”며, “앞으로 시민들의 조사 결과에 과학자로 힘을 보태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