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파벳은 어떻게 만들어졌나과학동아 l2004년 01호
-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보다도 상거래 활동을 기록하기 위해서다. 메소포타미아에서 발견된 인류 최초의 문자는 보리나 맥주와 같은 농작물이나 상품, 노동자들의 이름과 특기, 신전의 수입이나 지출과 같은 메소포타미아인들의 경제활동 내용을 적은 것이다. 기원전 3000년대 점토판 문서의 ... ...
- 말라리아 퇴치, 미꾸라지가 나선다과학동아 l2004년 01호
-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단지 퇴비만을 쓰는데, 의외로 모기 유충들이 거의 발견되지 않은 대신 미꾸라지가 살고 있었다. 반면에 인근의 기존 농법의 논에서는 연간 3-4회의 농약을 사용하는데, 살충제 저항성을 지닌데다가 천적이 죽고 없는 이유로 말라리아 매개모기와 일본뇌염 ... ...
- 1 명태 줄어들고 해파리 난무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있다. 초대형가오리는 희귀종인 색가오리과에 속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처음 발견되는 것이었다. 폭 1.5-3m, 길이 2.5-5m, 무게 3백kg 이상으로 성인 3백명이 충분히 먹을 수 있을 정도다. 문어는 보라문어과에 보라문어속의 문어로 인도양이나 태평양의 온대에서 아열대 지방에 분포하는 종이었다 ...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지역으로 이동한 인류는 초기에 이런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다. 실제로 스웨덴에서 발견된 1만5천-1만년 전 유골을 분석한 결과 뼈와 치아에 칼슘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이런 지역에서는 멜라닌 색소가 적어 자외선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사람이 생존에 유리했을 것이다.그렇다면 ... ...
- 가장 오래된 수컷 화석과학동아 l2004년 01호
- . 영국 레스터대 데이비드 시베터 교수 연구팀은 4억2천5백만년 된 암석에서 이 화석을 발견했으며 아가미와 다리, 수컷 생식기도 확인했다고 지난해 12월 5일‘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수컷 생식기가 큰, 헤엄치는 놀라운 생물’이라는 뜻의 그리스어인 '콜림보사톤 에크플렉티코스’로 명명된 이 ... ...
- 인간 앞에 서면 작아지는 뿔과학동아 l2004년 01호
- 10% 수준이다.연구자들은 이 기간동안 숫양의 뿔 크기가 25%가량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사냥 가능한 양의 수가 정해진 상태에서 사냥꾼들이 돈을 많이 받을 수 있는 큰 뿔을 선호했기 때문이다. 콜트먼 박사는 “큰 뿔은 크고 건장한 수컷의 징표”라며 “이 녀석들이 짝짓기를 왕성하게 할 ... ...
- DNA로 탄소나노튜브 골라내과학동아 l2004년 01호
- 문제가 있다.연구팀은 DNA를 탄소나노튜브에 감싸면 전기적 성질이 달라진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때 탄소나노튜브의 크기와 전기적 성질에 따라 DNA-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전기적 성질이 달랐다. 연구팀은 이 현상을 이용해 간단하게 탄소나노튜브를 분류해냈다. 사진에서 가장 왼쪽은 분류되지 ... ...
- 2003년 최고 발견은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04년 01호
- 2003년도 과학계 최고 발견으로 암흑에너지가 선정됐다. 12월 19일자 사이언스는 지난해 10대 발견을 선정했다. 여기에서 암흑에너지가 1위를 차지한 것이다.암흑에너지는 ... 달리 거꾸로 이뤄지는 첨단물질, 인간의 Y염색체 유전자 해독, 그리고 새로운 암치료 요법이 10대 발견에 속했다 ... ...
-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과학동아 l2004년 01호
- 해와 달이 뜨고지며, 계절이 반복되는 주기적인 천문현상의 관찰을 통해 시간을 발견했다는 것이다.시간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플라톤이 우주에 관해 쓴 ‘티마에우스’(Timaeus)다. 여기에는 “조물주가 태고의 혼돈에 형태와 질서를 부여할 때 시간이 탄생했다”고 기술돼 있다. 고대 중국의 ... ...
-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이들이 심한 경우 시간의 관념을 잃어버린 채 오직 현재속에서만 살아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연구자들은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 영역인 해마나, 해마가 대뇌피질과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게 중계역할을 하는 대뇌 측두엽에 영구적인 손상을 입은 기억상실증 환자를 대상으로 기억과 ... ...
이전7097107117127137147157167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