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 밤 남쪽 밤하늘을 장식하는 보석 두개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있다. 이 성운은 NGC2438로 이름이 붙여져 있는데 천왕성
발견
자인 윌리엄 허셜이 처음
발견
했다. 사실 이 성운은 성단에 포함된 것이 아니고 단지 성단의 앞쪽에 위치해 있어서 마치 함께 있는 것처럼 보일 뿐이다. 실제 성운까지의 거리가 3천3백광년 가량인 반면 성단까지의 거리는 5천4백 광년이다 ... ...
블랙홀 탄생의 순간, 우주가 놀란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우주 시대의 서막을 알리는 논문이었지만 여기에서 과학자들은 전혀 새로운 천문 현상이
발견
됐다는 결론을 내리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1991년 미항공우주국(NASA)은 감마선폭발 현상을 규명하는 임무를 부여받은 컴프턴(Compton) 감마선 우주망원경을 우주로 보냄으로써 감마선폭발 연구에 본격 ... ...
한국인, 광우병 취약한 유전자 가져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12월 23일 미 농무장관 앤 베너먼은 워싱턴의 한 농장에서 광우병으로 의심되는 소가
발견
됐다고 밝혔다. 3일 후 국제수역사무국의 표준 실험기관인 영국 웨이브리지연구소는 검사 결과 이 소가 광우병에 감염됐다는 사실에 동의한다고 발표했다.다행히도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광우병이 ... ...
흡입한 나노입자가 뇌까지 침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증가했다.영국 에딘버그대 독물학자인 켄 도날드슨 박사는 “흡입한 나노입자가 뇌에서
발견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며 “이번 연구결과는 이를 보여주는 최초의 사례”라고 말했다.연구자들은 냄새물질과 결합한 탄소나노튜브가 후구로 신호를 전달하는 뉴런을 통해 뇌로 침투한 ... ...
유인화성탐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상대적으로 높다호주 남부 아델레이드(Adelaide) 북쪽 에디아카라(Ediacara) 언덕에서
발견
되는 동물화석군 현생 동물군과 유사성이 적은 기이한 동물들로 구성됐다 원생대 말 지층에 해당한다오파린이 제안한 원시지구 대기, 메탄 수소 암모니아 수증기 오파린은 원시지구에 산소가 거의 없었고 ... ...
과학계 초대 얼짱은 초상화 덕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없어서인지 그냥 흑백의 소박한 초상화를 줬다고 합니다. 물론 미적분법을 두고
발견
의 우선권을 다툰 라이프니츠와 친한 사람들에게는 한점도 주지 않았죠.병약한 샌님에서 역사적 천재로 그렇지만 아이러니컬하게도 실제로 대중들에게 천재 이미지를 심어준 것은 뉴턴 생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 ...
숲이 잉태한 자연과 인간, 숲으로 돌아가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인간을 만났던 그의 연구와 탐험이 여행기 못지않은 깊은 감동과 여운을 준다.그가
발견
한 숲은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공간이었다. 강가에 늘어진 나뭇가지는 그늘로 수온을 조절해 어린 연어가 살기에 적당한 환경을 만들어주고, 포식자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은신처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리고 ... ...
화성이 눈앞에 펼쳐지는 www.nasa.gov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별자리도 만난다. 갈릴레이는 2월 15일에 태어났고, 톰보는 1930년 2월 18일에 명왕성을
발견
했다. 이것은 천문연구원 홈페이지에 등록된 정보.천문연구원 천문정보마당 ‘이달의 천문현상’ 코너를 이용하면 과거에 있었거나 앞으로 있을 천문현상을 알 수 있다.‘음·양력 변환’ 서비스는 음력이나 ... ...
6대의 탐사선이 생명체 존재 여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2004년에 화성은 결코 외롭지 않을 전망이다. 3대의 궤도탐사선, 3대의 착륙선이 화성의 표면을 조사하기 때문.유럽우주기구(ESA)의 마스 익스프레스는 미항공우주국(NASA)의 글로벌 서베 ... 약 1백배 차이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망원경을 사용하면서 6등성보다 어두운 별도
발견
됐고, ... ...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현상이 이용되고 있다. 1997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스티븐 추와 윌리암 필립스 등이
발견
한 ‘레이저 냉각기술’이 바로 그것. 원자에 레이저를 비추면 원자는 온도가 낮아지면서 속도가 느려진다. 이처럼 레이저로 원자의 속도(즉 온도)를 조절하는 기술이 바로 레이저 냉각기술이다. 이 기술은 ... ...
이전
708
709
710
711
712
713
714
715
7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