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우주의 괴수 거대질량 블랙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있는 천체인 블랙홀. 우리은하에만 태양질량의 수~수십 배에 이르는 블랙홀이 수천
개
존재한다. 별의 입장에서 보면 한 번 빠지면 끝인 함정이 여기저기 놓여있는 셈이다. 그러나 우리은하 중심에는 이런 블랙홀들을 다 합친 것보다도 무거운 거대한 블랙홀이 자리 잡고 있다. 추정 질량은 태양의 46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데 핵심적인 천체라고 할 수 있다. 아직도 수수께끼투성이이기는 하지만 앞서 소
개
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에서도 거대질량 블랙홀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어 앞으로의 결과가 매우 기대된다.[허셜우주망원경의 관측 결과 거대질량 블랙홀이 지나치게 활발해 많은 에너지를 분출하면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넣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빛의 속도로 돌렸다. 마치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처럼, 두
개
의 금 이온은 서로 안쪽과 바깥을 번갈아 돌았다. 그리고 서로 안팎으로 위치가 바뀌는 6
개
지점에서 충돌을 일으켰다. 이런 충돌이 순식간에 10만 번 넘게 되풀이되며 가속기 안에는 부분적으로 온도가 4조℃ ... ...
Part 4. 와편모류 어떻게 바다의 지배자가 됐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속에는 염기서열이 약 30억
개
가 있지만 와편모류는 대다수 300억
개
가 넘는다. 최대 2900억
개
가 있는 종도 존재한다. 유전정보가 염기서열 속에 담겨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와편모류는 엄청나게 많은 유전정보를 갖고 있는 셈이다.도대체 와편모류의 이런 엄청난 DNA는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 아직은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있다는 관측결과를 ‘네이처’에 발표했다. 구상성단은 수십 광년의 공간에 수천~수백만
개
의 별이 몰려 있는 천체로 이 안에 블랙홀이 있을 수 있는가는 오랫동안 논쟁거리였다.그렇다면 중간질량 블랙홀은 어떻게 생겼고 어떻게 변해갈까. 별 질량 블랙홀이 자라서 중간질량 블랙홀이 됐을까. 또 ... ...
서울·런던 지하철 왜 비슷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지나는 역의 수가 20% 이상이었다. 환승역이 그만큼 많다는 뜻이다. 하나의 역이 평균 2.5
개
의 노선과 만났다. 모스크바만 환승역의 비율이 50%로 예외였다.가지 노선은 중심의 넓이보다 약 두 배 정도 길게 뻗어나왔다는 점도 같았다. 중심의 넓이 가지 노선도 길어졌다. 역 수가 많을수록 가지도 ... ...
생물다양성 줄어들면 언어도 없어져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밝혔다는 점에서 주목된다.연구팀은 전세계에 존재하는 6900여
개
의 언어 중 4800여
개
가 생물다양성이 높은 지역에 몰려 있다고 밝혔다. 또 연구팀을 이끈 래리 고렌플로 교수는 “생물학자들은 매년 생물종이 사라지는 속도가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빠르다고 보고 있으며 언어학자들은 금세기 ... ...
남자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잘 굳지 않는 병인 혈우병은 병을 일으키는 유전자가 X염색체에 있다. 여자는 X염색체가 2
개
이므로 한쪽에 돌연변이 유전자가 있어도 다른 염색체로 방어할 수 있다. 두 군데 모두 혈우병 유전자가 있어야만 발병하는 것이다. 하지만 남자는 X염색체가 하나다. 어머니에게서 혈우병 유전자가 있는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잡아먹히는 속도보다
개
체수를 더 빨리 늘리기 위해서다.과학사 속에서 새로운
개
념의 등장은 꼭 실험실에서만 이뤄지지 않았다.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공기의 저항이 없다면 모든 물체는 똑같은 속도로 떨어진다’는 사실을 밝혀낸 곳은 사실 피사의 사탑이 아니라 갈릴레이의 머릿속이었다. ... ...
2014, 수능을 준비하는 우리의 자세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것만은 아니라는 것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3이 되면 누구나 최선을 다하기 때문에
개
인별로 공부하는 양과 속도는 비슷하다. 그렇기 때문에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앞서 있는 사람을 따라잡는 것은 힘들다. 독자 여러분! 미리 출발해 입시에서 꼭 성공하세요 ... ...
이전
708
709
710
711
712
713
714
715
7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