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묘사
말씨
말
표시
서술
발상
말투
스페셜
"
표현
"(으)로 총 792건 검색되었습니다.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
2015.01.26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페퍼는 사람들의 감정을 읽게 설정돼 있고 자신의 감정도
표현
할 수 있다(적어도 사람이 그렇게 느끼게 만든다). 오늘날 기술이 이런 성능의 로봇을 200만 원도 안 되는 가격에 시장에 내놓을 수 있게 됐다는 게 놀라울 뿐이다. 로봇이야 이미 생활 곳곳에 스며있고 특히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
2015.01.20
켜고 끄는 조작, 간호원을 호출하는 조작에서부터 문자 입력기릍 통해 의사를 문자로
표현
해 e메일을 보내고, 웹서핑도 가능하다. 정상시유발전위(SSVEP) 뇌파를 이용해 만든 문자입력 시스템의 모습 - 서울대 의대 제공 ● 휠체어, 로봇팔 조작 등 다양한 활용 가능 물론 이 방법이 환자와의 ... ...
피타고라스정리를 알면 최선의 치료방법이 보인다
2015.01.19
신이 정수를 만들었다. 나머지는 인간의 창조물이다. - 레오폴트 크로네커 며칠 전 한 인터넷서점에서 독자들에게 추천할 책 네 권을 골라 간단한 설명과 함께 보내달라는 ... 저자들은 논문 제목에 ‘피타고라스의 잊힌 교훈(The forgotten lesson of Pythagoras)’라는
표현
을 쓴 이유다. ... ...
우주여행의 지름길, 웜홀(worm hole)
KISTI
l
2015.01.13
오갈 수 있는 ‘통로’를 찾아내 돌아오는 걸로 마무리된다. 드라마 속에서 명확하게
표현
되진 않았지만 그 통로는 아마 ‘웜홀’일 것이다. ‘인터스텔라’ 이전에도 웜홀은 SF영화나 소설에서 우주여행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돼 왔다. 대표적인 것이 칼 세이건의 과학 소설 와 그를 ... ...
[기술이 바꾼 미래] 인류의 공동 재산 뢴트겐선
KOITA
l
2015.01.05
5일 뢴트겐협회에서 톰프슨(Elihu Thompson)이 발표한 내용은 당시의 상황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
하고 있다.“발견의 역사상 이것만큼 즉각적이고 널리 과학적으로 응용된 전례는 없다.”그러나 사람을 해부하지 않은 채 살아 있는 사람의 뼈를 보았다는 소문은 많은 두려움과 오해를 불러일으켰다. ... ...
[생활 속의 기술] 아름다운 과학
KOITA
l
2014.12.29
해류 지도는 당시까지의 탐험 결과를 바탕으로 바다의 흐름을 정리하고 있다. 이 지도에
표현
된 해류는 지금 보면 완전히 틀렸다. 표층수와 심층수의 구분도 없고, 전지구적인 순환도, 난류와 한류 개념도 없다. 하지만 바닷물이 지구 전체를 순환한다는 개념을 이렇게 일찍부터 갖고 있었다는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즉 20도 소주를 프루프로 하면 40이라는 말이다. 예전에 ‘100도가 넘는 독한 술’이라는
표현
을 본 적이 있는데, 바로 이 경우가 프루프다. 한편 부즈는 술의 속어다. 아무튼 술의 과학을 다룬 책은 맞기에 서평을 읽어보니 꽤 좋게 평가하고 있어 바로 주문했다. 저자 아담 로저스(Adam Rogers)는 ... ...
빅데이터 덕분에 흥미진진해지는 세상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2.11
정확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구형 컴퓨터를 탑재한다. 감성 기반의 데이터는 숫자로
표현
되는 계산식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분석해야 한다. 인간의 감정은 복잡미묘하기 때문에 더하고 곱하고 나누는 기존의 방법으로는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해낼 수가 없다. 컴퓨터 과학이나 전산학의 범위를 ... ...
말 많은 양자컴퓨터, 오해와 사실
IBS
l
2014.12.10
양자역학적 시스템은 '유니터리'한 방식으로만 변화한다. 유니터리란 양자를 행렬로
표현
했을 때 이에 대한 역행렬이 항상 존재한다는 뜻이다. 이는 양자에 어떤 변환을 가했을 때 역변환이 항상 가능해야 한다는 뜻이므로 양자컴퓨터로 계산한 결괏값으로부터 입력값을 다시 찾는 것이 항상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슬픈 일을 겪을 때 “마음이 아프다”고 말하는 건 뇌의 활동 패턴만을 봤을 때는 은유적
표현
이 아니라 실제 그런 것이다. 당시 국내뿐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왕따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었기 때문에 이 연구결과는 왕따가 얼마나 나쁜 행동인지를 ‘증명’하는 예로 거론되면서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