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미니
뉴스
"
초소형
"(으)로 총 745건 검색되었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 같은 메탄올 연료전지
2014.12.17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연료전지란 수소나 알코올 등 연료를 태워 전기를 만들어 주는
초소형
발전장치로 본래 우주선 등에 쓰기 위해 개발됐다. 연구팀이 개발한 연료전지는 알코올의 일종인 메탄올을 태워 전기를 만드는 ‘메탄올 연료전지’다. 메탄올 연료전지는 연료를 구하기 쉽고, 저장 ... ...
배터리 없는 ‘진정한 인공와우’ 나온다
2014.12.03
소자를 개발한 건 이번이 세계적으로도 처음이다. 연구팀은 이 소자를 개발하기 위해
초소형
전자부품을 사용해 와우 속에서 소리의 높낮이를 분리해 주는 ‘유모세포’의 기능을 모방했다. 귀로 들어온 소리를 높낮이에 따라 분리한 것이다. 이렇게 생긴 신호를 압전소자(소리의 압력을 ... ...
강철보다 튼튼한 ‘방탄 그래핀’
2014.11.28
향해 초속 600~900m로 충돌시켰다. 이는 실제 소총의 탄환 속도와 비슷하다. 연구진은
초소형
탄환을 초고속으로 발사하기 위해 화약 대신 레이저를 썼고, 금이 순간적으로 팽창하면서 만들어내는 압력으로 탄환이 튕겨나가도록 실험을 설계했다. 유리탄환은 그래핀을 관통한 유리탄환은 눈에 띄게 ... ...
‘포악한 거대 육식공룡’ 수각류에 대한 3가지 오해
동아사이언스
l
2014.11.27
공룡 화석의 모습. - 국립문화재연구소 제공 ●수각류는 거대 공룡? 길이 30cm 짜리
초소형
공룡도 있어 하지만 지금까지 발굴된 화석을 조사한 결과 수각류의 몸집은 매우 다양한 것으로 드러났다. 몸길이가 13~14m인 티라노사우루스가 있는 이의 절반 수준인 6~7m 마준가사우루스도 있다. 또 ... ...
미니어처 크기 ‘나노 배터리’ 나온다
2014.11.11
그 결과 가로세로 각각 1cm의 손톱만한 넓이에 20억 개의 나노 배터리가 들어 있는
초소형
구조물을 완성했다. 이상복 메릴랜드대 교수팀이 개발한 나노동공 베터리. 구멍 하나가 하나의 배터리다. - 메릴랜드대 재료공학과 제공 이 배터리로 실험한 결과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은 물론 12분 ... ...
떨어지고, 사장되고…못 쓰는 아이디어 살려드립니다
2014.09.19
이끄는 등 제구실을 다하고 있다. 벤처사업가 신두식 씨는 귀에 꽂는 이어폰 속에
초소형
마이크를 내장해 시끄러운 곳에서도 주변 소음을 완벽히 차단하고 통화할 수 있는 핸즈프리 통화장치 ‘이어토크’를 개발했다. 신 씨는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특허청이 주는 ‘2013년 대한민국 발명가 ... ...
캔으로 만든 국내 최고 위성 ‘캔샛’ 탄생
2014.09.16
개조해 관측장비를 원하는 위치에 착륙시키자.” 학생들이 개발한 기발한 아이디어의 ‘
초소형
인공위성’ 작품이 발표됐다. 미래창조과학부가 KAIST인공위성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개최한 ‘2014 캔위성 경연대회’ 수상작이 16일 발표됐다. 캔위성이란 알루미늄 깡통 속에 각종 부품을 넣어 만드는 ... ...
벌써 60년, ‘전국과학전람회’ 환갑 맞다
2014.09.03
4년) 학생이 ‘산악배수로에 빠진 양서류를 구출하라’로 수상했으며, 교원부에서는 ‘
초소형
꽃 식물인 한국산 개구리 밥과 5종의 복합세대 한 살이 과정 연구 및 교육적 활용’을 출품한 남경아(전남 동산초), 김영신(전남 광양중진초) 교사가 상을 받았다. 시상식은 26일 국립중앙과학관에서 60주년 ... ...
옷 위에도, 종이 위에도, 나노 구조물이 딱!
2014.08.19
-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스 제공 국내 연구진이 머리카락보다 가는 나노미터 크기의
초소형
구조물을 옷이나 종이 위에 붙일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석재 KAIST 부설 나노종합기술원 박사팀은 니콜라스 코토브 미국 미시간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나노 구조물을 다양한 표면에 ... ...
“태블릿PC에서 내 뇌가 보여요”
2014.08.08
미세한 움직임을 전기로 바꿔 8.2V 전압과 0.22mA의 전류를 생성하는 스마트 센서인
초소형
나노발전기를 최근 개발했다. 이 발전기를 심장박동 보조기에 연결하면 배터리가 떨어져 몇 년마다 재수술을 받아야 했던 기존 장비의 불편함이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경종민 연구단장(KAIST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