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미니
스페셜
기초과학은 모든 인류의 공통 관심사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을 띄는 것을 이용, Fe 원자 12개로 1비트(bit)씩 총 96개 원자로 1바이트(bite)의
초소형
반강자성 메모리를 구현하는 방법도 소개했다. 그는 끝으로 IBM에서 STM으로 원자들을 조작해 촬영한 1분짜리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소년과 그의 원자 : 세상에서 가장 작은 영화(A Boy and his Atom: The World's Smallest Movie)'를 ... ...
광유전학, 빛으로 뇌의 비밀 풀고 새로운 치료법 찾는다
IBS
l
2016.09.01
미세 장치를 탑재한 뒤 빛으로 행동을 조종하는 데 성공해 '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초소형
LED와 원통 모양의 미세한 관을 결합해 머리카락보다 가는 장치를 만들어, LED를 켜 빛을 비추면 도파민이 분비돼 쥐의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 기술은 장차 알츠하이머, 뇌전증 등 뇌 질환 ... ...
생명연장 꿈 이뤄주는 힘센 난쟁이
IBS
l
2015.12.28
들어가 있다. 이 밖에도 화장품, 치약, 의류 등과 같은 생필품에서부터 태양전지, 반도체,
초소형
로봇 등 첨단소재에까지 나노기술의 활용 범위는 무궁무진하다. 최근에는 소재 쪽에서 나노기술이 인기다.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탄소나노튜브(CNT), 2010년 노벨물리학상의 주역인 그래핀(graphene)은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2015.01.20
뒤쪽으로 뻗은 시신경에 직접 연결하는 기술이다. 본래 망막이 자극해줘야 할 시신경을
초소형
카메라에서 받은 전기신호로 직접 자극하는 것이다. 망막은 물론 각막이나 수정체 등 눈의 일부분에 문제가 생겨 시력을 잃은 사람도 다시 앞을 볼 수 있게 한 것이다. 2005년 독일과 미국 과학자들이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기획] 메테인, 전 세계가 감시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관측 위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는 서울대학교와 한국천문연구원, 국내
초소형
인공위성 기업인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가 참여했죠.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 박재필 대표는 “우리나라에서 만드는 위성은 메테인샛보다 크기가 작아 제작 시간이 짧고 대량 생산에 용이하다”며 ... ...
[뉴럴링크] BCI 기술의 네 가지 미래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보이지 않는 데다가 수년 동안 안정적으로 작동할 정도로 발전했다. 마찬가지로 초절전,
초소형
, 고성능의 안전한 완전 삽입형 BCI 기술 개발은 필연적이라고 할 수 있다. 뉴럴링크가 제조한 칩은 이미 두피 아래에 완전히 삽입할 수 있어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다.우리가 해결해야 할 숙제 우리는 ... ...
나무로 만든 인공위성이 온다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발표해 최근 화제가 됐다. 무라타 교수는 JAXA와의 인터뷰에서 “JAXA의 큐브샛(
초소형
위성) 방출기구 J-SSOD에 리그노샛을 탑재해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CNN과의 인터뷰에서는 “위성이 대기권으로 다시 들어갈 때, 금속은 미세한 입자가 되지만 목재는 타서 가스가 된다”며 목재의 ... ...
[SF] 속도의 맛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꽂혀있어서 혈액과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밖으로 배출했다. 대뇌 부위에는
초소형
컴퓨터칩이 여러 개 꽂혀있어서 옆에 있는 컴퓨터와 원격으로 연결돼있었다. 이것이 지금 태호의 모습이었다.“윤태호씨어떻게저기, 그” 리포터가 당황해서 할 말을 찾지 못했다. “안녕하세요. 뭘 먼저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KAIST 인공위성 연구소를 다녀오다!!!
기사
l
20250814
이 위성은 날씨에 관계없이 위성사진을 찍을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KAIST 인공위성연구소는 하나의 궤도에 여러 위성을 올리는
초소형
군집위성도 개발했습니다. 그리고 가장 최근에는 우주쓰레기를 수거하는 인공위성을 개발하고 있는데 그 이름은 '우주물체 능동제어 위성 1호'입니다. 이 위성은 현재 개발 중에 있으며 이 인공위성의 목표는 수명이 다한 ...
KAIST 인공위성 연구소에서 만난 미래의 우주
기사
l
20250809
연구원들은 이 위성이 실제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날을 기대하고 있습니다.또한, 여러 대의 소형 위성이 함께 임무를 수행하는 ‘
초소형
군집위성’도 개발되고 있습니다.이 위성은 두 개의 궤도를 동시에 돌며 효율적인 통신을 목표로 설계되었고, 본체와 탑재체가 협력하여 정보를 지구로 전송합니다.위치 확인에는 별센서를 활용하는 등 고도화된 기술이 ...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만난 대한민국 인공위성
기사
l
20250806
하나의 인공위성 제품이 여러 개로 복사되어 총 두 가지 궤도를 도는데요, 그래서 한 곳에서 통신을 더 많이 하려는 전략입니다.
초소형
군집위성의 탐사방법은 본체에서 탑재체에게 지원을 해줍니다. 탑재체의 사진이 본체로 가서 지구로 통신을 합니다. 별센서도 있는데, 이것은 별들의 위치로 인공위성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것입니다. 사진에 보이는 아래 ...
대한민국 우주 도전의 시작, KAIST 인공위성 연구소
기사
l
20250806
대해 더 자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초소형
군집위성은 부품들이 각각 세밀하게 나뉘어져 있습니다. 첫 번째, 추력기. 추력기는 이
초소형
군집위성의 고도를 바꿉니다. 두 번째, 태양센서. 이 태양센서는 모든 인공위성에 장착되어 있습니다. 왜냐하면 태양센서가 태양을 찾아야 위성이 그것을 감지하고 안테나를 펴기 때문입니다. 셋째, 카메라. 카 ...
[우주기자단] KAIST 인공위성연구소에서의 놀라운 하루
기사
l
20250804
저도 가슴이 벌렁거렸습니다. 뉴스에도 나오지 않아서 알지 못했던 위성을 보다니!!! 우주기자단은 운이 참 좋은 것 같습니다. 또
초소형
군집위성, NEONSAT이라는 인공위성도 소개해 주셨는데 한 궤도에 여러 인공위성을 띄운다는 것 자체가 너무너무 신기해서 기억에 남았습니다. “제가 생각한 우주쓰레기 수거 방법 중 바람으로 밀어내는 방법이 있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