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타이거킹: 무법지대] 호랑이가 반려동물이 될 수 없는 세 가지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호랑이는 태국과 인도 등 열대 지방, 사자는 아프리카 대륙에 산다. 이항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는 “개체마다 폐사 원인을 면밀히 살펴봐야겠지만, 열대 기후에 살던 동물들은 겨울에 극심한 기후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말했다. 친족 교배가 유전자 풀 오염시켜 호랑이와 같은 멸종위기종은 ... ...
- [이투스 입시정보] 나노공학과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나노공학과나노 입자로 세상을 바꾸다 특정 물질을 나노미터(1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단위로 제어하는 나노기술.나노단위의 물질들이 모여 현대 사회의 모습을 ... 바꿔놓고 있습니다.나노기술 분야의 인재를 양성하여 국가 신성장 산업 기반에 기여하는 나노공학과에 대해 알아볼까요 ... ...
- 사라지는 역사 디지털로 살린다, 문화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전기전자공학과 교수),홍민오(강원도청 문화유산과), Wayne de Fremery(서강대학교 국제 한국학과 교수),이상윤(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공안전지능화연구실), 신원재(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공안전지능화연구실), 박지윤(문화재청 정보화담당관), 임주현(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단), The National ... ...
- [수학뉴스] ‘핀볼 모형’으로 지진 예측한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어렵기 때문입니다.그런데 최근 빅터 타시 미국 브라운대학교 지구환경및행성과학과 교수팀은 산사태 예측에 주로 사용하는 ‘핀볼 모형’을 이용해 단층의 갑작스런 움직임을 예측했습니다. 공이 여기저기 부딪히며 이동하는 ‘핀볼 게임’에서 따온 단어로, 돌이 핀볼처럼 굴러내려오는 ... ...
- [매스미디어] 수학이 보이는 자칭 먹방 예능, 도레미마켓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알아내는 방법으로, 그룹 또는 개인의 특징을 알아낼 수 있어요.김용학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는 대중가요가 비교적 많이 생산됐던 1960년대와 1980년대, 2000년대에 유행한 대중가요를 각각 100곡씩 골라 가사에서 단어를 추출했습니다. 그리고 시대별로 가장 빈번하게 나오는 단어를 100개씩 추려내 ... ...
- [특집] 무너지는 복도 - 현대 암호는 수학 난제?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분석하려면 정수론과 대수기하학 등 현대 수학의 이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수학과 과학이 발전하면서 암호를 만드는 과정과 암호를 푸는 과정이 동시에 발전해 날카로운 창과 튼튼한 방패의 싸움이 계속되고 있다. 수동일보 2020년 6월 1일 월요일 양자컴퓨터로 깰 수 없는 다변수 이차식 ... ...
- [한페이지 뉴스] 뿌리 유전자, 식충식물에선 잎에서 발현돼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일반 식물보다 적었다. 라이너 헤드리히 뷔르츠부르크대 분자식물생리학및생물물리학과 교수는 “식충식물의 유전자가 적은 것은 육식으로 진화하며 엄청난 유전자 손실을 겪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커런트 바이올로지’ 5월 14일자에 실렸다. doi: 10.1016/j.cub.2020.04.05 ... ...
- 2020 S/S 컬렉션, 너도 ‘에코 슈머’ 였구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마찬가지 방법으로 폴리에스터 섬유로 변신할 수 있다. 박정희 서울대 의류학과 교수는 “폴리에스터는 재활용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며 “이미 많이 쓰이는 소재라 원료를 확보하기도 쉽고, 재활용 과정에 화학 약품이 필요 없어 수질 오염의 우려도 없다”고 설명했다. 오렌지 껍질로 만든 ... ...
- 21일 부분일식, 스마트폰과 과자봉지로 쉽게 찍는 법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금속 박막이 사용된 반사형 ND필터 역할을 할 수 있는 셈이죠.박승한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는 “과자봉지에 코팅된 알루미늄 박막이 일부 빛은 반사하고 일부는 투과시켜 ND필터와 유사한 효과를 낸다”며 “다만 애초에 촬영용으로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빛 투과율이 너무 높거나 낮아 촬영 ... ...
- [집콕 과학] 스포츠 음료, 집에서 만든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향이 시판 제품보다는 약하지만, 분명 비슷한 맛이 납니다. 최성희 동의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우유의 고소한 풍미와 설탕의 단맛 때문에 비슷한 맛으로 느껴질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고소함은 미각이 아닌 후각으로 느끼는 맛입니다. 우유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우유에는 유지방이 3~5%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