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건물 복도 액자 - 대체 암호를 왜 만드는 거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큰 수를 소인수분해하기 어렵다는 수학적 원리를 이용한 암호인데, 전자서명이 가능한 최초의 알고리듬으로 지금도 인터넷 쇼핑이나 뱅킹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인다. RSA 암호를 발표한 해, 개발자들은 100달러 상금을 건 암호문을 하나 공개한다. 이 암호를 풀려면 129자릿수를 소인수분해해야 했다. ... ...
- [프리미엄리포트] LAUNCH AMERICA “중단도, 포기도 없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작성됐습니다. 최종 발사 일정은 발사 준비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세계 최초로 민간 유인우주선이 우주인을 수송한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제작한 유인우주선 ‘크루 드래건(Crew Dragon)’에 우주비행사 2명이 탑승해 현지시간으로 5월 27일 오후 4시 32분 ... ...
- [융복합 파트너@DGIST] '씨앗' 키워 정제까지...친환경 퀀텀닷 레시피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장점이 많은 퀀텀닷이지만, 실생활에 적용하려면 안전성이 담보돼야 한다. 1982년 최초로 발견된 퀀텀닷의 핵심물질은 카드뮴이었다. 하지만 중금속인 카드뮴의 인체 유해성이 제기되면서 지금은 카드뮴과 비슷한 성질을 가진 13족 원소가 핵심물질로 쓰이는 추세다. 이 교수팀이 활용하고 있는 ... ...
- 오가노이드, 칩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화상 통화로 만나 보았어요. 허동은(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생명공학과 교수) Q세계 최초의 허파 장기 칩을 만드셨다고요?사실 세포를 칩 위에 키운다는 아이디어는 오래 전부터 나왔어요. 전 이런 아이디어를 살려 2010년, 허파 꽈리 구조를 닮은 장기 칩을 개발해 국제 학술지 에 ... ...
- [매스크래프트] #6. 영국의 빅 벤, 하루는 왜 24시간일까?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낮과 밤을 각각 12등분해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눴죠. 좀 더 수학적인 근거는 인류 최초의 시계인 해시계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해시계는 태양의 움직임에 따른 막대의 그림자로 시간을 측정하기 때문에 주로 원 모양이에요. 그런데 원은 10등분하는 것보다 12등분하는 것이 더 간단하고 정확합니다 ... ...
- [한페이지 뉴스] 최초 은하 탄생, 25억 년 빨랐을 수도?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오늘날 가장 큰 지지를 받는 은하 형성 이론에 따르면, 초기 우주의 거대한 원반 은하는 암흑물질이 꾸준히 중력 집결해 형성된 헤일로(halo·구 모양의 영역)에 의해 우주 가스가 모여 회전하면서 고온이 된 뒤 서서히 식어 만들어진다. 이 이론대로라면 초기 은하는 빅뱅 후 40억 년이 지나야 형성될 ... ...
- 2020 S/S 컬렉션, 너도 ‘에코 슈머’ 였구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무조건 친환경적인 섬유는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는 “셀룰로오스를 추출해 만든 최초의 섬유는 레이온으로 제조 공정에서 유독 물질인 이황화탄소를 발생시켜 퇴출됐다”며 “섬유를 제작하는 공정이나 자연에서 자원을 채취하는 과정도 환경을 파괴하지 않는지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 ...
- [퀀텀닷 완전정복]자체발광이란 이런 것, 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삼성에서 친환경 퀀텀닷 소자를 활용한 첫 번째 상품인 퀀텀닷 TV를 2014년 출시했다. 최초 발견 시점으로 따지면 40년이 다 돼 가지만, 퀀텀닷은 여전히 차세대 소자로 꼽힌다. 아직 퀀텀닷이 보여주지 못한 기술이 무궁무진하기 때문이다. 퀀텀닷이 가져올 미래 기술은 어떤 것이 있을까. 돌돌 ... ...
- [이달의 책] 나는 무엇으로 이뤄져 있을까...더 위험한 과학책 외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인류의 유전자 속에 탐험하고자 하는 욕구가 내재돼 있다고 말하며, 1957년 옛 소련이 최초의 인공위성을 발사하면서 시작된 우주 탐사의 역사를 들여다본다. 인류의 모험담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 과학동아가 소개하는 해외의 ... ...
- [시사과학] ① 동물 해부실습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대학교를 중심으로 이미 활용되고 있어요. 지난해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교는 국내 최초로 해부 및 교육 실습 수업에 실제 동물과 유사한 동물 모형을 도입했지요. 이 동물 모형은 개와 고양이가 모델로, 심장 마사지와 인공호흡, 채혈 등을 해볼 수 있어요. 또 폐와 심장 소리처럼 수의사들이 실제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