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장착한 바이러스가 대부분 승리를 거뒀다. 하지만 비관할 필요는 없다. 인류도 1962년
최초
로 항바이러스제를 개발한 이후 항바이러스제 후보물질을 재빠르게 찾아낼 방법을 확보하는 등 새로운 바이러스에 맞서 싸울 준비태세를 하나씩 갖추고 있다. 점점 더 강력해지는 바이러스 시대에 살아남기 ... ...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생명체가
최초
에 어떻게 생겨났는지, 그리고 그 이후에 어떻게 변했는지 알기 위해서는 흔히 화석이라는 증거를 활용한다. 하지만 바이러스는 크기가 너무 작은 데다가 DNA 또는 RNA 같은 유전물질을 단백질 껍질로 감싸고 있는 구조이다 보니, 뼈나 잎맥 같은 단단한 부위가 있어야만 만들어지는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실험쥐에서 마비 현상이 일어났다. 이는 폴리오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증식시킨
최초
의 연구이자, 폴리오바이러스가 신경 조직에서만 증식한다는 학계의 정설을 뒤집는 결과였다.세 과학자의 연구는 소아마비 백신 개발로 이어졌다. 또 다양한 표본 조직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하고 분리하는 기술은 ...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치료하는 방법이다. 디프테리아 혈청 치료법은 독일의 세균학자 에밀 폰 베링이
최초
로 개발했는데, 베링은 이 업적으로 1901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베링이 임상시험을 준비하고 있을 당시 에를리히는 살아있는 말의 혈청이 치료 효과가 가장 좋다는 사실을 증명해 베링의 임상시험에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한다. 이중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은 바이러스 자체를 접종하는 백신이다.
최초
의 현대적인 백신인 우두법도 이 원리를 적극적으로 이용한 결과였다. 영국의 의사 에드워드 제너는 1798년 증상이 천연두에 비해 비교적 약한 우두에 한 번이라도 걸린 사람은 천연두에 걸리지 않는 점을 이용해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를 관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렇게 1939년, 비로소 바이러스로는
최초
로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가 전자현미경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세상에 알렸다.이후 지금까지 인간이 발견한 바이러스는 6000여 종에 이른다. 이들 바이러스는 몇 가지 특징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바이러스는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뜻이었다. 이 실험은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힌 동시에 DNA가 유전물질이라는 사실도
최초
로 알아냈다. 이후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혀내는 데 바이러스 연구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 셈이다. 1978년 델브뤼크는 캘리포니아공대의 ‘오럴 히스토리 프로젝트’에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PNAS)’에 발표했다. 한편 1973년 당시 록펠러대 박사후연구원이었던 랠프 스타인먼은
최초
로 수지상세포를 발견했고, 2011년 스타인먼이 생을 마감할 때까지 그의 연구실은 수지상세포만 연구했다. 이를 통해 수지상세포가 포식 작용과 같은 선천 면역반응을 하는 동시에 후천 면역반응을 개시하는 ... ...
[기초과학의 힘] 빛으로 이산화탄소 잡는다...인공광합성 하는 광촉매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두 개가 혼합된 결정상에서 각각 한쪽 상만 선택적으로 비결정화 시킨 것은 세계
최초
였다. 이 내용은 국제학술지 ‘ACS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스 & 인터페이스’ 2019년 9월 10일자에 발표했다.doi: 10.1021/acsami.9b10837그는 이 물질의 탄생을 기념하기 위해 자신의 이름과 푸른빛을 띠는 두 물질의 성질을 ... ...
[이달의 과학사] 생명을 구하는 수혈법의 발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알려졌어요. 그해 3월 27일, 벨기에의 의사 알버트 휴스틴은 구연산나트륨을 사용해
최초
로 몸 밖으로 꺼낸 피를 환자에게 수혈하는 데 성공했지요. 몸 밖으로 꺼낸 피를 저장할 수 있게 되면서 다양한 혈액형의 피를 보관했다 필요할 때 공급하는 ‘혈액은행’도 처음 만들어졌지요.그런데 20세기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