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장"(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생물학, 농림수산식품학, 의생명학 등 생명과학분야 전반의 연구정보를 저장하고 공유하는 포스텍(포항공대) 소속 기관이다. 1995년 한국과학재단이 과학의 12개 분야에서 연구정보센터를 선정해 지원했는데, 이 중 하나로 뽑혀 그해 10월 설립됐다(초대 센터장 남홍길 당시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 ... ...
- [과학뉴스] N극과 S극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고효율 마그넷 컴퓨터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미국 UC버클리 전기공학과 제프 보커 교수와 홍정민 연구원은 자성을 이용해 정보를 저장하는 고효율의 자기 메모리 칩을 개발해 3월 11일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연구팀이 개발한 자기칩은 처음으로 ‘란다우 한계’에서 메모리 비트 처리에 성공했다. 란다우 한계는 정보를 처리하는 ... ...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중부 루체른주에 있는 엔틀레부흐(Entlebuch)를 예로 들었다. 그곳에는 핵발전소, 핵폐기물저장소와 함께 핵폐기물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폐기물의 일부를 소각하는 시설도 있었다. 2007년, 작가는 이런 시설을 둘러싼 주변의 산 14개 지점에서 65마리의 노린재목 곤충을 채집했다. 그리곤 돌연변이가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어떻게 쓰이나요?저희는 주로 이차전지를 만드는 업체와 협업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저장 특성이 좋은(충전이 오래 가는) 나노 구조의 새로운 배터리 물질을 만드는 거죠. 그런데 솔직히 말해 아직까지 나노 물질 자체가 산업에 많이 쓰이고 있는 건 아닙니다. 연구하는 쪽과 이론을 적용하는 쪽의 ... ...
- [핫이슈] 중학교 자유학기제, 스마트하게 준비하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있는데, 펜의 리더기가 닷코드를 읽어 원하는 기능을하게 하거나 적은 것을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게 해준답니다.첨단 기술을 이용해 스마트하게 공부하기, 정말 재미있겠죠?솔직히 스마트엠베스트 취재를 가기 전에는 ‘녹음되고, 소리 나오는 정도밖에 더 있겠어?’라고 생각했는데 정말 ... ...
- [과학뉴스] 지하수가 해수면 상승 막는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육지가 스폰지처럼 변했고, 인간이 소비한 지하수보다 훨씬 많은 양의 물이 육지에 저장됐다”며 “이번 연구결과는 지구에서 일어나는 해수면 상승 현상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실마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도망칠 수 있을 만큼 날씬해야 하고, 장기적으로 번식을 하려면 에너지를 최대한 저장하기도 해야 한다.”그러나 영국 애버딘대 생물학과의 존 스픽맨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동물이 평소에 충분히 활달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동물의 운동이 연구되지 않은 것 같다”며 “어쨌든 동물들은 ... ...
- [과학뉴스] 북극서도 열섬현상… 마을 주변이 10℃ 더 따뜻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도시를 괴롭히는 열대야의 주범이다. 태양의 빛 에너지가 도심 빌딩에 저장돼 밤중에도 열을 뿜어내기 때문이다. 그런데 고층 빌딩이 거의 없는 북극 지역의 도시에서도 도심의 온도는 주변보다 10℃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러시아 모스크바국립대 미하일 바렌스토브 교수팀은 북극해 인근의 ... ...
- [Knowledge] 직립보행의 선구자 원시 악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속도로 일광욕을 통해 체온을 높일 수가 있다. 최근에는 골편을 이용해 체내에 칼슘을 저장한다는 연구결과도 나와서, 악어가 골편을 매우 다양한 용도로 사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가짜가 돼 버린 진짜 악어원시적인 외모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악어목이 상당히 오래된 파충류 무리일 것이라고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생각할 수밖에 없었다. 이것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물질이 유지되는 공간적 한계와 저장된 정보가 전달되는 신호의 시간적 한계가 만들어 내는 벽이었다. 플랑크 상수와 광속도의 비율 때문에 생기는 정보 처리의 마지막 한계였다. 머리가 크다는 말만 하면 무조건 웃긴 줄 알던 1990년대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