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지"(으)로 총 1,33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당신의 장유형은 무엇입니까?과학동아 l2012년 05호
- enterotype)에 대한 논문이 나간 뒤 언론이 크게 다루면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어떤 장유형인지 궁금해했다. 저마다 정해진 혈액형이 있듯이 장에 거주하고 있는 미생물의 분포에 따라 장유형이 있다는 사실을 독일을 비롯한 다국적연구팀이 밝혀냈다. 이들의 분류에 따르면 장유형은 3가지로 각각 ... ...
- 해외탐사Big3 - '과학특별시민'을 모집합니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지금 과학특별시에서는 오픈 이벤트로 해외 탐사 BIG3 이벤트가 열리고 있어요. 어떤 내용인지 살펴볼까요?편집장과 함께 떠나는 해외 탐사 BIG3!1 캐나다에서 공룡 화석을 발굴한다고?!캐나다 알버타 주에 위치한 공룡주립공원에서 발굴되기만을 기다리고 있는 수많은 공룡화석들을 만나 보는 건 ... ...
- 수학동아 독자기자단의 첫 출발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직접 마주하시며 기자증과 기자 수첩을 수여해 주시고 계십니다. 기자증을 목에 걸어서 인지, 기자단이 더욱 늠름해 보이는군요.이제 독자기자단 선서가 시작됩니다."하나, 나는 수학동아를 널리 알리는 데 앞장선다.하나, 나는 수학에 꾸준히 관심을 갖고 수학 소식을 전하는 데 앞장선다. …(중략). ...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전파를 정확히 측정하면 신체 어느곳에서 발생한 수소핵인지 알아낼 수 있다. 하지만 공명하는 물분자의 신호를 빠르게 분석할 수 없어 로터버 교수의 영상은 신체 장기를 국소적이고 희미하게 보는 것에 만족해야했다. 영국 노팅엄대 물리학과 피터 맨스필더 교수가 ... ...
- 3화 괴짜 수학자 모일러의 저택을 통과하라!수학동아 l2012년 03호
- 읽던 신문을 한 장 빼 내더니 팔랑거리며 말했다.“내가 보던 이 신문이 총 몇 면인지 알아 맞히면 함께 식사를 하도록 하지. 하지만 맞히지 못한다면 음식은 바로 미분되고 말 거야. 킬킬킬.”“뭐? 음식이 미분된다고?!”함정에 빠지다“아! 나 진짜 머리 쓰는 거 싫어하는데! 여기 와서 계속 머리 ... ...
- Part2. 인공 뇌 만들기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이를 구현했는지 공개하지 않았다. 하지만 IBM의 발표 직후 영국 BBC는 리차드 쿠퍼 런던대 인지과학과 교수의 말을 인용해 정보의 중요성에 따라 주의를 기울이는 정도를 다르게 하는 방식을 썼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결을 강하게 만들거나 약하게 만드는 대신 신호가 오갈 때마다 중요성을 기억해 ... ...
- 뽀로로가 이등신인 이유는?과학동아 l2012년 03호
- 동물을 좋아하는 걸까. 오스트리아의 동물학자인 콘라드 로렌츠는 이 현상을 ‘귀염성 인지반응’이라고 불렀다. 동그란 얼굴, 큰 동공, 납작한 코, 이등신 얼굴 같은 특징이 보호 본능을 일으킨다는 것이다.뇌는 귀여운 동물을 좋아해실제로 지난해 9월, 귀여운 동물을 볼 때만 반응하는 뇌 세포가 ... ...
- 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과학동아 l2012년 03호
- 퍼진다면 이와 같은 다양한 고민거리가 쏟아져 나올 것이다.아직 우리는 의식이 무엇인지 신경과학으로 명확히 설명하지도 인공적으로 의식을 만들지도 못한다. 그런 문제를 두고 고민하기까지는 아직 여유가 있는 셈이다. 그러나 신경과학자들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여러 분야에 걸쳐서 신경계가 ... ...
- Morning Routines Are Creativity Killers과학동아 l2012년 03호
- 피험자보다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과학자 루비 네이들러에 의하면 긍정적 기분이 인지적 유연성을 높이며, 부정적인 기분은 그 반대다.그렇다면 최적의 문제해결능력을 갖추기 위해 아침을 바꾸면 어떨까. 알람시계를 조금 일찍 맞춰놓고 알람이 울리면 바로 일어나지 않고 누운 채 생각이 ... ...
- PART 2. 우리가 닮은 이유과학동아 l2012년 02호
- 가까워지기 위해서 그러는 것 같다고 분석했어요. 빙고! 맞아요. 우린 따라쟁이예요. 레인지 박사는 “우리가 주인의 행동을 잘 따라할 수 있는 이유를 ‘거울신경’ 때문”이라고 설명했어요. 실제로 여러 동물 중에서 우리 개는 뇌 속에 거울신경이 가장 많대요. 연구 결과는 2010년 7월 28일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