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융합"(으)로 총 1,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사고를 하는 습관이 큰 도움이 됐습니다.” 이렇게 밝힌 그는 “특히 요즘 사회가 ‘융합형 인재’를 원하는 시대”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수학을 전공했다고 해서 인문학을 등한시하지 말고, 인문학을 전공한다고 해서 과학을 배제하지 말라”는 조언을 덧붙였다 ...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파충류의 아래턱이 직선이라면 포유류의 아래턱은 휘어 있다. 턱이 두개골에 상당 부분 융합되면서 포유류는 파충류처럼 입을 크게 벌리지 못하게 됐다. 하지만 뱀처럼 자기 몸통보다 굵은 먹이는 못 먹어도, 포유류는 다양하게 생긴 이빨로 잘근잘근 씹어서 잘 먹고 잘 살고 있다. 먹으라고 생긴 ... ...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장비를 만들고 여기에 게놈 관련 개인 예측 서비스나 연구자들이 쓰는 해독정보서비스를 융합시키는 것이다. 이는 하드웨어도 팔고 프로그램도 팔고 서비스도 파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걱정과 불안은 인생에 절대 도움 안돼많은 실패와 성공을 거듭한 박 소장은 젊은층에게 걱정하지 말고 ... ...
- 바다가 있는 한 조선해양공학은 영원하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공대는 1946년에 10개 학과로 시작했는데, 조선해양공학이 그 중의 하나다.조선해양공학이 융합적인 분야인 만큼 분야도 다양하다. 우선 물을 다루다 보니 유체역학이 중요하다. 그리고 물과 관련해 구조물을 지어야 하니 구조역학도 필요하다. 배 등을 만들기 위해서는 설계 분야도 중요하며, 실제로 ... ...
- 남들이 하지 않은 길을 찾아 희열 느낀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제가 하는 나노기술은 기초과학과 공학을 연결하는 분야입니다. 앞으로는 여러 분야가 융합돼 시너지를 내는 분야들이 중요해지고 단과대나 학과 구분도 없어질걸요.” ‘우리나라 나노 과학의 대표주자가 누군가’라는 질문에 많은 사람들은 현택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를 꼽는다. ... ...
- 자동차의 ‘왕발’이 되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때부터 제도 개선이나 홍보, 국민들에게 알리는 것, 문화 개선 등으로 눈을 돌렸습니다. 융합이 중요하다는 것은 7~8년 전부터 주장했습니다. 자동차애프터마켓 연구소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봅니다.” 정통 국내파 교수라고 기죽지 말라 틈새를 찾는 자가 승자다 우리나라는 해외유학파가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위원들이 ‘수상자가 겹치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말을 나눈 적도 있다. 융합 연구의 증가는 팀워크가 그만큼 중요하다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굳이 노벨상 수상이 아니라 더 나은 연구 성과를 위해 자신과 다른 분야의 학자들과 교류하고 협력하려는 자세가 필요한 시대다.”정부나 ... ...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화학적 처리는 물론, 이런 과정을 기계적으로 제어하는 공학기술까지 함께 배우는 융합 학문이다.리하이 대는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베슬리헴(Bethlehem) 에 자리하고 있다. 이 센터장의 유학 시절엔 이 대학에서 한국인을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쓸쓸한 환경이다 보니 할 것이 공부밖에 없었다. 그는 ... ...
- [hot science] 버섯으로 집을 짓는다고?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세포의 핵이 1개인 상태에서 마찬가지로 핵이 1개인 다른 균사를 만나면 서로 세포벽을 융합시키며 핵이 2개인 새로운 균사를 이룬다. 이 과정이 여러 균사에 의해 무수히 반복되면(버섯 균사는 생장 속도도 빠르다), 셀 수 없이 많은 균사가 촘촘하게 3차원으로 결합하고 엉킨 복잡한 구조물이 된다 ... ...
- “이젠 이사할 때 과학동아부터 챙깁니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분야의 역사부터 실험하는 방법까지 다양하게 다룹니다. 실생활과 관련된 소재들이지요. 융합교재로 최고라고 생각합니다.”강 교감은 교재를 만들면 먼저 두 아이에게 가르쳤다. 교사의 의도와 학생이 받아들이는 것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저희 아이들에게 영재교육을 시키면서 먼저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