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융합"(으)로 총 1,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이곳은 핵융합 발전의 핵심 기술을 개발하던 곳이었다.“2006~2007년에 여기에서 한국형 핵융합실험로인 케이스타(KSTAR)를 위한 초전도 자석을 만들었어요. 지금은 개발이 끝나 다른 이터 실험을 할 때만 조금씩 쓰고 있지요.”박수현 이터한국사업단 박사가 말했다. 건물 입구로 들어서자 가장 먼저 ... ...
- 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른 라이파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울리는 경보를 들으면 뒷차에 탄 사람이 사고를 피할 확률은 훨씬 높아진다.“이런 융합기술이 생활화 되면 얼마나 편리하겠어요. 우리 연구실은 조명이 사용되는 생활 구석구석에서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는 근거리 생활통신기술을 연구하고 있어요. 다른 어느 나라보다 앞서 있지요. 조명을 ...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과학동아 l2014년 01호
- 힘이다(나중에 그렇지않은 약한 핵력이 예견됐으며 실험적으로 검증됐다). 예컨대 핵융합을 일으키려면 양성자 네 개가 양성자 둘과 중성자 둘로 이뤄진 헬륨 핵으로 전환돼야 한다.따라서 어떻게든 양성자 둘이 중성자 둘로 바뀌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 여기에 바로 약한 핵력이 기여한다. 그러니까 ... ...
- 콜록콜록, 작지만 무시무시한 미세먼지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엣취~, 코가 간지럽고 콧물도 나고 하루 종일 재채기도 멈추질 않아. 병원에 갔더니 의사선생님이 감기가 아니라 알레르기성 비염이래. 알레르기성 비염이 왜 생겼냐고? 요즘 공기 중에 미세먼지 농도는 높아지고 스모그도 자주 일어나서 그런 거래. 그러고 보니 도시 전체가 뿌옇게 변해서 앞이 ... ...
- [W5 코드 브레이커] 수학과 함께 달려온 암호의 역사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암호(세계 대전 이후)20세기 들어 세계 전쟁을 겪으면서 암호 기술은 수학과 첨단 기술이 융합되는 형태로 발전한다. 복잡한 대체암호를 기계적으로 만들고 해석하는 ‘암호해독기’가 등장하고, 전쟁이 끝날 때쯤엔 컴퓨터가 만들어진다. 특히 컴퓨터는 모든 입력 내용을 0과 1만으로 표현하는 ... ...
- 시간여행이 만든 잔혹한 스릴러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이 말은 과학적으로 타당할까? 영화 ‘11시’는 국가핵융합연구소의 협조를 얻어 핵융합실험로 K-STAR를 배경으로 촬영했다.영화 속에서 K-STAR는 타임머신의 동력원으로 등장한다. 팬텀에너지와 강한 중력 있으면 가능할 수도웜홀을 지탱할 에너지가 있어야 시간여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전혀 ...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이제 우리 모두가 어둡고 깊은 심연으로 굴러들어갈지, 그렇지 않으면 끊임없이 원소를 융합시키며 불타오르는 항성의 따뜻한 빛 속에서 살게 될지는 투표 결과만이 알려줄 수 있을 것이다.‘운명’처럼 모순적이고 비이성적인 단어를 쓰다니, 아무래도 의 영향인 것 같았다. 나는 몸 ...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파충류의 아래턱이 직선이라면 포유류의 아래턱은 휘어 있다. 턱이 두개골에 상당 부분 융합되면서 포유류는 파충류처럼 입을 크게 벌리지 못하게 됐다. 하지만 뱀처럼 자기 몸통보다 굵은 먹이는 못 먹어도, 포유류는 다양하게 생긴 이빨로 잘근잘근 씹어서 잘 먹고 잘 살고 있다. 먹으라고 생긴 ... ...
- 바다가 있는 한 조선해양공학은 영원하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공대는 1946년에 10개 학과로 시작했는데, 조선해양공학이 그 중의 하나다.조선해양공학이 융합적인 분야인 만큼 분야도 다양하다. 우선 물을 다루다 보니 유체역학이 중요하다. 그리고 물과 관련해 구조물을 지어야 하니 구조역학도 필요하다. 배 등을 만들기 위해서는 설계 분야도 중요하며, 실제로 ... ...
- 자동차의 ‘왕발’이 되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때부터 제도 개선이나 홍보, 국민들에게 알리는 것, 문화 개선 등으로 눈을 돌렸습니다. 융합이 중요하다는 것은 7~8년 전부터 주장했습니다. 자동차애프터마켓 연구소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봅니다.” 정통 국내파 교수라고 기죽지 말라 틈새를 찾는 자가 승자다 우리나라는 해외유학파가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