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아"(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골수 안의 세포가 여러 혈구세포로 분화할 수 있다는 게 증명된 셈입니다. 자, 그럼 남아 있는 다른 한 가지 줄기세포의 특징을 증명할 차례인데요. 연구진은 또 다른 쥐 C에 방사선을 쪼인 뒤, 죽다 살아난 쥐 A의 골수를 쥐 C에 이식했습니다(그림 2단계). 그 결과, 방사선 때문에 더 이상 새로운 ... ...
- Part 1. 피라미드는 초고층건물일까?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가장 거대한 피라미드는 이집트 제4왕조의 왕인 쿠푸의 피라미드다. 현재는 약 138m만 남아있지만, 원래 높이는 146.7m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이 정도만 되도 상당한 높이로, 사람이 피라미드 앞에 서면 작은 개미처럼 보인다. 사실 아직 초고층건물에 대한 세계 공통 기준은 없다. 보통 높이가 200m ... ...
- [Issue]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사망시각에 맞춰 용의자를 압축하고 알리바이를 확인하며, 범행을 입증하는 수사절차가 남아있다. 수사팀은 절대 멈추지 않을 것이다. 이제 겨우 범죄에 희생된 억울한 죽음을 배수로 안에서 수습한 정도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현철호전북대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은 뒤 현재 ...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않아야 한다. 그러나 무슨 이유에서인지 반물질은 전부 사라지고 우주에는 물질들만 남아있다. 양성자, 중성자, 전자는 존재하지만 반양성자, 반중성자, 양전자는 실험실에서만 겨우 존재한다. 이에 대해 옛 소련의 핵물리학자인 안드레이 사하로프는 ‘우주 생성 당시 물질과 반물질이 같은 양으로 ... ...
- [Origin]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과학동아 l2018년 06호
- DNA에 티민 대신 섞여 들어갈 수 있다. 정맥 주사를 맞은 뒤에 새롭게 합성된 DNA에는 BrdU가 남아 있는 셈이다. 연구팀은 BrdU가 섞인 DNA에서 만들어진 단백질에만 특이적으로 붙을 수 있는 항체를 찾아내 이를 이용했다. 만약 해마에 이 항체가 들러붙는다면, 이는 새로 만들어진 뉴런이라는 증거가 ... ...
- [현장취재] 색(色) 다른 공룡이야기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그런데 1970년대 미국 예일대학교 존 오스트롬 교수는 작은 육식공룡의 꼬리뼈 화석에 남아 있던 단단한 힘줄의 흔적을 통해 공룡의 꼬리는 뻣뻣해서 아래로 축 늘어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그 결과, 몸을 세운 채 꼬리를 바닥에 질질 끌고 다닌다고 상상하던 공룡의 모습은 꼬리를 들고 ... ...
- [Culture] 굳이 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3, ‘쥬라기 월드’가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그럼에도 불구하고 육식공룡에서 깃털의 존재를 주장하는 이유는 화석에 깃털 자국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공룡의 깃털 화석은 몸 색깔을 추정하는 단서도 된다. 깃털에는 수 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크기의 색소 주머니(멜라닌 소포체)가 있어 색깔을 낸다. 멜라닌 소포체는 길쭉하거나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범인이 남긴 단서,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있어요. 먼저 곳곳에 숨겨진 지문 자국을 찾아보세요. 손으로 만진 물건에는 늘 지문이 남아요. 사람의 피부는 촉촉함을 유지하기 위해 수분과 기름이 늘 분비되거든요. 그래서 물체를 잡거나 닿았을 때 손가락 끝에 묻어있던 기름 성분이 지문 모양으로 찍히는데, 이를 이용해 지문을 찾는답니다 ... ...
- [Issue] 과학으로 카운트다운, 6·13 지방선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예측을 하게 해 유권자들의 투표 행태에 영향을 미칩니다. 재밌는 사실은 선거가 얼마나 남아있는지에 따라 여론조사 결과를 대하는 감수성이 다르다는 겁니다. 실제로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 연구팀은 2012년 한 가지 실험을 기획했습니다. 재학생 67명에게 ‘야간에 자전거 후방 ... ...
- [과학뉴스] 태양이 죽으면 어떻게 될까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행성상 성운을 이룬다. 마지막으로 대기가 거의 없어지고 핵융합이 종료되면 중심별만 남아 천천히 식어가는 백색왜성이 된다. 과학자들은 태양도 수명을 다하면 다른 별처럼 적색거성을 거쳐 행성상 성운을 만들 것인지에 대해 연구해왔다. 앨버트 지즐스트라 영국 맨체스터대 물리천문학과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