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아"(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과학으로 되살린 화려한 조선 옷감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조선시대 백과사전 격인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 남아 있는 문직기 그림과 중국에 남아 있는 실물이 핵심적인 단서가 됐다. 박기찬 석사과정 연구원이 중국에 약 두 달 동안 머무르면서 문직기의 구조와 작동 원리 등을 배워왔다.문직기는 전체를 나무로 만든 매우 복잡한 구조의 기계 장치다. ... ...
- [Future] 중국이 짓겠다는 135km 해저터널, 양대 기술 쟁점과학동아 l2018년 09호
- 해저터널 건설이 기술적으로는 가능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여전히 두 가지 쟁점은 남아있다. 쟁점 1. 해저 정밀 조사에 수십 년? 터널의 건설 과정부터 간략히 알아보자. 먼저 해당 지역의 대략적인 지반 정보를 바탕으로 ‘기본 설계’가 이뤄진다. 그 뒤 지형, 암반의 종류와 불연속면 등 ... ...
- 신과 함께? CG와 함께!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엉뚱한 모양이 될 수 있다는 말이죠.움직임에 쓸 알맞은 공식을 생각해냈다 해도 문제는 남아있어요. 수백만 개의 털을 하나하나 계산하고 있다간 한 컷에만 어마어마한 데이터를 쓰게 될 테니까요. 이러다 ‘CG옥’에 갇혀 영원히 렌더링만 반복해야 할 거예요! 데이터가 지나치게 크면 렌더링 ... ...
- [Culture] 치킨의 미래는 과학에 있습니다 ‘치믈리에’ 자격증 도전기과학동아 l2018년 09호
- 것으로 추정했다. 마지막으로 맛을 봤다. 단맛이 강하지 않은 게 특징이었다. 보기에 남아 있는 재료는 양파, 새우, 홍합. 양파의 당도는 8.1브릭스로 채소 중에서는 매우 높은 편이다. 과당으로 이뤄진 다당류인 프룩탄이 많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신원선 한양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양파를 ... ...
- [화보] 한국의 산지승원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안동시에 있는 봉정사는 신라 문무왕 12년(672년)에 창건됐다. 작고 아담하지만, 국내에 남아있는 목조 건축물 중 가장 오래된 ‘극락전’으로 유명하다. 극락전은 고려시대(1200년대 초) 지어졌다. 크지도 화려하지도 않지만 목재를 층층이 쌓아 만든 구조가 명쾌하게 보여 한국 건축의 구조미를 잘 ... ...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나무 판자가 모두 바뀌어도 여전히 같은 배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들어, 배가 낡아서 나무 판자 절반을 새로운 나무로 바꾸었다면 테세우스의 배는 절반만 남아 있는 거예요. 그리고 모두 새로운 나무로 바꾸었다면 본래 테세우스의 배는 사라지고 새로운 배가 된 거지요. 이 논리 역시 사람에게 그대로 적용할 수 있어요. 마치 나무 판자가 얼마나 달라졌는지 ... ...
- [가상인터뷰] 멸종을 눈앞에 둔 북부 흰코뿔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베트남에 살던 코뿔소는 이미 멸종했어. 지금 세계에는 다섯 종의 코뿔소만 남아 있어. 그중 자바 코뿔소와 수마트라 코뿔소도 우리처럼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지. 사람들은 코뿔소를 보호하기 위해 1977년부터 뿔을 사고파는 행위를 금지했어. 그러나 지금도 여전히 많은 밀렵꾼이 몰래 ... ...
- Part 5. 인류에게 남겨진 숙제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우주는 내 머리로 그려내기엔 너무 넓어. 지구에 남아 있는 과학자들이 우주를 직접 관찰해서 남은 수수께끼를 풀어 줄 거라 믿네! 특명, 우주 최초의 별을 찾아라!약 138억 년 전, 특이점이 폭발하면서 강력한 에너지의 빛이 함께 터져 나왔어요. 이후 우주가 팽창하면서 이 빛은 점차 식었고, ... ...
- 매번 다른 수학자와 밥 먹기, 오베르볼파흐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전체의 인구보다는 훨씬 큰 수라는 것이 확실합니다. 따라서 이 연구가 옳다고 하더라도 남아 있는 유한한 경우를 푸는 일은 만만치 않아 보입니다. 엄상일 교수는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KAIST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 ...
- [과학뉴스] 백혈병, 뇌로 전이되는 경로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주입해 림프구의 지주막하강 침입을 억제하자 암세포가 뇌로 전이되지 않고 척수에 남아 있었다”며 “이 병의 전이 과정이 림프구의 면역 감시나 염증 반응과 관련이 있는지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doi:10.1038/s41586-018-0342-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