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GPS 없이 움직이는 ‘개미 로봇’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필터 기능을 가진 눈으로 자외선 편광을 활용해 방향을 결정하고 위치를 잡는다.프랑스
국립
과학연구센터(CNRS)와 엑스마르세이유대 등 공동연구팀은 자외선 편광에 민감한 광학나침반 기술로 사막개미의 위치 찾는 방식을 모사해 무게 2.3kg인 ‘앤트봇(AntBot)’을 만들었다. 앤트봇은 다리를 6개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이후 매년 3, 4월 중 2~3주 기간을 정해 국제 공동 관측을 수행하고 있다. 동아시아
국립
천문학 연구기관연합인 동아시아 천문대(EAO),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헤이스텍 천문대와 하버드 스미스소니언연구소, 그리고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등 13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EAO ... ...
[수학뉴스] 모래 더미에서 발견된 프랙털
수학동아
l
2019년 03호
특정 조건에서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수학 모형을 만들어 분석한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2월 6일자에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이 만든 수학 모형은 같은 현상을 전과 다른 수식으로 표현한 겁니다. 이 수식을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했더니 모래 더미가 만들어지고 붕괴돼 사라지는 ... ...
수학으로 흔들어봐! 매스댄스
수학동아
l
2019년 03호
대학원생에게 자신이 만든 매스 댄스를 소개하는 강연을 하고 있다. 2019년 2월에는 미국
국립
과학재단이 주최하는 수학 영상 대회에 지원하기 위해 두 번째 매스 댄스 영상을찍었다. 쉐리치는 “매스 댄스를 통해 수학을 싫어하는 사람들이 수학에 관심을 갖고 서로 소통했으면 좋겠다”고 바람을 ... ...
[이달의 PICK] 밥상 떠난 오징어를 찾습니다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명태는 수년 전만 해도 남획과 기후변화로 한국 바다에 씨가 말랐었다. 그러나 2015년
국립
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에서 완전 양식 기술을 개발해 치어를 동해에 방류했다. 동해에서 성장한 명태는 2017년 다시 우리를 찾아왔다(과학동아 2017년 3월호 ‘집 나간 국민생선이 돌아왔다! 명태의 귀환’ ... ...
[프리미엄 리포트] ‘디자이너 베이비’의 탄생? 유전자 편집 기술의 명암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근육량은 훨씬 늘었지만, 조기에 사산되거나 혀가 비대해지는 부작용이 나타났다. 중국
국립
농업과학원 연구팀은 돼지 배아에서 마이오스타틴 유전자를 없애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돼지의 근육량이 12%나 증가한 반면 흉추가 몇 개 더 발생하는 부작용이 나타났다는 내용을 발표하기도 했다. doi: 10. ... ...
[SPACE] 21세기 우주경쟁 스타트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관측하기로 정했다. 김주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달탐사사업단 선임연구원은 “미국
국립
연구위원회(NRC·National Research Council)는 10년마다 행성과학의 연구 방향을 정하는데, 2013~2022년 주요계획 중 하나가 태양계 생성과 진화에 대한 실마리를 찾는 것”이라며 “카이퍼 벨트에 있는 천체들은 태양계 ... ...
새로운 도형이 나타났다!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9일 일본 오키나와과학기술대학원대학교 수학, 기계 및 재료과학 연구팀은 학술지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에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이라 이름 지은 새로운 도형을 소개한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새로운 도형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뫼비우스 띠와 칼레이도사이클의 성질을 모두 갖고 ... ...
[지구사랑탐사대] 매미 연구로 최우수상 탔어요! 매벤져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매미 약충은 온도와 강수량 등 기상 변화를 감지해 땅 위로 나와요. 마침 지난해
국립
생태원에서 열린 ‘생태동아리 탐구대회’의 주제는 ‘기후변화가 우리 지역의 생태계와 지속가능성에 미친 영향’이었어요. 매벤져스는 지사탐에서 했던 활동을 바탕으로, 환경에 따라 서식하는 매미의 종이 ... ...
[식물 속 동물 찾기] 잎조각이 토끼의 꼬리를 닮았나? 돌토끼 고사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양치식물은 꽃을 피우지 않아도 번식할 수 있는 식물 중 큰 잎을 만드는 식물이에요.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양치식물 중 78%가 제주도에 살지요(2010년 기준). 이번에 소개할 양치식물 ‘돌토끼고사리’도 제주도에 주로 살아요. 여러 해를 사는 여러해살이풀이며 겨울에도 시들지 않고 초록색을 유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