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립"(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따끈따끈한 수학] 큰 수의 곱셈을 더 빠르게, 쇤하게-슈트라센 추측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없을까요? 러시아의 유명한 수학자 안드레이 콜모고로프는 1960년 러시아 모스크바 국립대학교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n²보다 빠른 곱셈 방법에 대해 질문했습니다. 그런데 단 1주일 만에 당시 학생이었던 아나톨리 알렉세예비치 카라추바가 n2보다 빠른 방법을 찾았습니다. 콜모고로프는 너무 기뻐서 ... ...
- [언니오빠 논문 연구소] 치타가 던진 숙제과학동아 l2019년 05호
- /ncomms34332016년에는 필자가 속한 박종화 울산과학기술원(UNIST) 게놈산업기술센터 교수팀과 국립생물자원관 공동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표범의 유전자 지도를 완성했습니다. 표범도 호랑이와 마찬가지로 멸종위기 동물이고 유전적 다양성이 매우 낮다는 사실이 이 연구로 드러났습니다. doi: 10.1186/s13059 ... ...
- Part 5. 동물이 없는 동물 축제는 어떨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여러분의 의견 잘 들었습니다. 한편으론 이런 생각도 듭니다. 사람들은 우리 동물들 없이는 즐겁게 놀지 못 하는 걸까요? 동물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자! 2018년 7월 7일, ‘동물축제 반대축제(동축반축)’가 열렸어요. 동축반축은 동물이 일방적으로 희생되는 축제는 진정한 ‘동물 축제’가 아니 ... ...
- Part 1. 동물 축제, 무엇이 문제인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자, 그럼 우선 이번 긴급회의 주제부터 발제하겠습니다. 도대체 사람들은 왜 동물 축제를 여는 걸까요? 그리고 이런 동물 축제의 어떤 면이 문제로 꼽힐까요? 동물 축제, 왜 문제일까? 동물 축제의 인기가 높아질수록 동물 축제가 동물과 생태계를 괴롭힌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2017년, 서 ... ...
- Part 3. 나가고 싶지 않아요! 먹지 말아 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 곤충 대표 나비 발언! - 나가고 싶지 않아요! 산천어들이 본래 서식지가 아닌 곳에 가두어진다니, 정말 끔찍하네요. 우리 나비들의 사정도 아주 곤란해요. 물론 우린 자연으로 풀려나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결코 좋은 게 아니라구요. 기후와 생태에 맞지 않는 나비 축제 매해 4월 말에서 5월 ... ...
- [식물 속 동물 찾기] 바퀴벌레처럼 강한 생명력! 쇠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쇠뜨기’는 소가 잘 뜯어먹는 풀이라고 알려졌지만, 실제 소는 쇠뜨기를 즐겨먹지 않아요. 쇠뜨기에는 비타민B1을 분해하는 효소가 있어 소와 같은 가축이 먹으면 설사를 하는 등 비타민B1이 부족할 때 나타나는 증상이 나타나거든요. 이밖에 소가 풀을 뜯는 들판에 흔히 자라거나 녹슨 쇠를 닦 ... ...
- 거짓말 탐지 수사 직접 받아보니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검사관이 아니어도 간이용 숨김 정보 검사기를 이용해 숨김 정보 검사를 할 수 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이와 관련해 특허 두 건을 출원했다. 숨김 정보를 알고 있는 범인과 숨김 정보를 전해 들어 나중에 알게 된 무고한 사람의 신체 반응 차이를 구분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홍 심리연구사는 ... ...
- Intro. 동물 축제, 이대로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안녕하세요? 한국동물위원회 긴급회의 의장, 산천어입니다. 오늘은 급하게 회의할 안건이 생겨 이렇게 동물 대표단을 모았습니다. 겨울철 각종 어류 축제가 열리며 우리 어류들이 아주 곤혹스러운 일을 겪고 있거든요. 그런데 조사해 보니, 다른 동물들도 마찬가지라고 입을 모으더군요. 다들 ‘축 ... ...
- Part 2. 놀이 대상이 아니에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그럼, 오늘 주제에 대해 어류 대표인 제가 먼저 말하겠습니다. 1월 5일, 우리 산천어의 이름을 딴 축제가 한창인 화천천에 5개의 동물보호단체가 모여 산천어 축제 반대 피켓을 들었어요. 뭐가 문제냐고요? 문제 1 - 산천어는 원래 화천에 살지 않는다! 산천어는 강원도 태백산맥의 동쪽 지방, ... ...
- 인공강우로 미세먼지 해소될까?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충돌, 병합 과정이 촉진돼 강수입자가 더 늘어날 수 있다. 콜린 다우드 아일랜드 갤웨이국립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대기 성분에 따라 강수입자의 성장이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2017년 6월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수증기가 과포화된 대기 상태에서 유기 계면활성제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