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광학"(으)로 총 1,0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자 및 광학재료실험실 포스트 D램 반도체 시대 연다과학동아 l2001년 07호
- 작게 쓰려고 노력하는 것일까. 현재 우리나라가 세계를 주도하고 있는 반도체소자는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마이크로(1㎛=10-6m) 수준의 크기다. 그러나 이보다 훨씬 작은 AFM이라 불리는 원자현미경을 통해서야 볼 수 있는 나노미터급 기억소자를 만든다면 현재의 기가(1Giga=109)보다 1천배가 ... ...
- 왜 극고진공상태를 얻으려 하나과학동아 l2001년 06호
- 0}^{-1}$Pa |저진공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진공상태를 만든다. 중진공은 박막장비, 진공야금, 광학부품, 레이저, 전자산업 등에서 사용된다. 이때의 압력은 온도계가 연결된 필라멘트에 전류를 흘려서 뜨겁게 데운 후 진공용기 속에 넣으면 기체분자들이 필라멘트와 충돌하면서 열을 빼앗는 현상을 ... ...
- ① 가혹한 환경 극복한 미지의 생존자과학동아 l2001년 06호
- 수 있는 소재분야, 장시간 심해에서 잠수할 수 있는 에너지 확보와 관련된 전기전자분야, 광학기술 등이 종합적으로 응용돼 제작된 것이다. 특히 유인잠수정의 경우 생명이 달려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어떤 문제점도 있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심해잠수정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그 국가의 과학기술 ... ...
- 고대 그리스·로마 회화 공작새와 연극 가면과학동아 l2001년 06호
- 형식으로 진화하는 과정을 읽을 수 있다.그러나 원근법을 말할 때 꼭 수학의 정확성이나 광학의 과학성, 또 근대적 공간 인식이나 시각 주체와 재현 대상 사이의 거리 두기 같은 철학적 사유를 전제하지 않아도 된다면 이 문제를 좀더 넓게 볼 수 있다. 간단하게 말해서 원근법을 ‘가깝고 먼 것을 ... ...
- ③ 망망한 우주에서 또다른 지구 찾기과학동아 l2001년 05호
-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2004년에는 우주간섭계 미션(SIM)도 계획중이다. 광학망원경을 여러대 지구 궤도에 띄워 성능을 높인 후(이런 망원경을 간섭계라 한다) 역시 다른 태양계를 찾는다는 계획이다.2007년에는 허블우주망원경의 대를 잇는 차세대우주망원경(NGST)이 등장한다. 한단계 ... ...
- 디지털 시대의 정보창고 데이터 저장장치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컴퓨터의 각종 데이터, 오디오, 동영상 정보를 저장하는데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광학기록 방식의 저장장치들은 원판형 디스크에 약한 레이저 빛을 발사한 후 빛이 반사되는지와 방향에 따라 데이터를 읽어내는 방법을 사용한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오랫동안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면서 ... ...
- PART 3. 스타워스의 공간이동 가능성 연 나노소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제작과 함께 개발한 소자를 관측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병행돼야 한다. 나노소자는 광학 현미경을 사용해 관측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현재 전자현미경이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러나 때로 관측에 어려움이 있다. 주사형터널링현미경, 주사형원자현미경, 주사형전기용량현미경 등 듣기에도 생소한 ... ...
-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과학동아 l2001년 03호
- 결과는 더욱 놀랍다.물론 현실세계의 힘을 비교하면 감이 오지 않을 정도로 작은 크기다. 광학집게로 측정된 힘은 단지 10-12-10-10N으로 매우 작다. 탁자 위에 놓여있는 휴대폰의 무게가 대략 1N인 것과 비교해봐도 감이 오지 않을 정도다. 그러나 세포 안에서 DNA는 다른 생체분자들과 단단하게 ...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과학동아 l2001년 03호
- 고지를 차지하기까지 조용히 지내려고 한다. 현재 실험실에서는 이 기술을 이용해 광학적으로 순수한 정밀화학물질이 이미 만들어진 상태다. 조만간 그의 연구실이 다시 한번 전세계의 주목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초등학교 5학년의 작은 불씨“그 친구가 교수가 됐다는 사실이 놀라워요. 노는 ... ...
- 조각가 도나텔로의 드루시아나의 부활 기적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먼저 사람은 대개 두눈으로 보는데, 중앙투시 원근법은 하나의 시점, 곧 한눈으로 보는 광학 원리를 따르기 때문이다. 작품을 아주 멀리서 보면 무엇이 달라 보이는지 표시가 잘 나지 않지만, 가까이 눈을 대고 볼 경우에는 두눈으로 보는 그림과 한눈으로 보는 그림이 전혀 다르게 보일 때도 있다.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