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감정 앗아가는 판데믹 바이러스 인베이전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몸은 죽은 듯 잠들지만 뇌는 깨어나는 렘수면기를 바이러스의 증식기로 설정한 까닭은
바로
인간의 정신, 즉 감정을 앗아가기 위한 목적이 아니었을까.거머리처럼 끈덕지게 쫓아오는 신인류들과 시시각각으로 찾아오는 렘수면의 유혹 속에 캐럴은 진퇴양난의 위기에 빠진다.아들을 살리겠다는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리틀펭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집을 짓고, 알을 품고, 먹이를 물어 오고…. 휴~ 정말 바쁘죠? 하지만 우린 괜찮아요. 이게
바로
리틀펭귄의 삶이니까요. 리틀 상식 둘새끼 리틀펭귄은 엄마, 아빠를 알아볼까요?리틀펭귄의 새끼는 엄마, 아빠를 알아보지못해요. 대신 엄마, 아빠 펭귄이 울음소리와 새끼가 있는 굴의 위치로 자신의 ... ...
수컷이 암컷이 되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무시하는 건 절대 아닙니다. 다만 성별이 뭔지‘과학적’으로 짚어 보자는 거지요. 이게
바로
닥터고글식 접근이지요. 하하하!”“…….”조금은 썰렁~한 분위기 속에서 시작된 닥터고글의 사건 분석. 하지만 성별을 과학적으로 알아보자는 닥터고글의 말에는 모두 동감!“성별은 사람에서는 남자와 ... ...
빙산은 이산화탄소 킬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보고(寶庫)인 셈이다. 빙산에 해양생물이 많이 산다는 사실은 중요한 점을 시사한다.
바로
빙산이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빙산 근처에 사는 식물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하기 위해 물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데, 바다는 이산화탄소가 줄어든 만큼 대기의 ... ...
PART1 백신이 여는 질병 치료 르네상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백신으로 맞는다. 몸은 바이러스가 침입한다고 생각해 항체를 만드는데, 그 항체가
바로
인체 고유단백질의 항체가 된다.면역계를 속이려면 면역계가 인지할 수 있는 ‘위험신호’(danger signal)가 필요하다. 바이러스에 포함된 리피드A 같은 면역보조물질이 위험신호 역할을 한다.면역보조물질이 ... ...
예비우주인과 팀워크가 중요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때문이다. 정우주인과 예비우주인에게 발사 직전까지 똑같은 훈련을 시키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지난 9월 10일 한국을 방문한 에드윈 올드린도 두 사람에게 ‘팀워크’를 강조했다. 올드린은 1969년 닐 암스트롱과 함께 미국 달탐사선 아폴로 11호를 타고 인류 최초로 달 착륙에 성공한 ... ...
과학의 열정 무대에서 불사르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연달아 무대에 올렸고 지방에서도 몇 차례 공연했다.“나무와 태양의 비밀 이야기 그건
바로
광합성 광합성 새도 몰라 나무도 몰라 아무도 몰라 이산화탄소 물과 태양 잎에서 만나 양분 산소 만들어 나무는 쑥쑥 우리는~ 산소를 마시지”‘나무와 태양의 비밀 이야기’에서는 이처럼 광합성 과정을 ... ...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아미노산이 저에게 1100㎎이나 들어 있기 때문이랍니다. 저 말고 조개류에서 유명한 분은
바로
굴 씨! 이 분은 갑상선 호르몬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요오드 성분이 많아 갑상선종을 예방하는 데좋아요. 그래서 바다의 우유라고 불린답니다. 그런데다 칼로리까지 적어 비만 예방도 해 준다 ! 또 ... ...
유비쿼터스 세상 앞당기는 증강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출발한다. 두 개의 소형 브라운관 모니터(CRT)가 쌍안경의 접안 부분에 장착돼 있고 CRT
바로
위에는 소형 비디오카메라가 달려있다. 카메라를 통해 들어온 영상에 컴퓨터 그래픽을 덧씌워 눈앞에 보여주는 최초의 증강현실 장치였지만 너무 무거워 천장에 매단 채 사용했다.그 뒤 CRT모니터는 가벼운 ... ...
나노부터 우주까지 빛으로 길이 잰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계획이요? ${10}^{-12}$ 이상의 불확도에 도전하는 연구를 새로 시작했습니다. 측정대상은
바로
우주입니다.”수백km에 이르는 인공위성 사이의 거리를 수십 나노미터 수준까지 정밀하게 측정하면 GPS(위성위치확인시스템)의 정확도도 더 높아지고 위성의 움직임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 ...
이전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