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갔다 돌아올 '판타스틱 씨앗'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노출시킨 다음, 4월 16일 우리 우주인이 ISS에서 모든 임무를 마친 뒤 갖고 돌아오면
바로
파종해 씨앗의 생장과 변이를 관찰한다.학생들을 위한 교육용 실험도 있다. 가져간 씨앗 가운데 초기 생장이 빠른 콩과 무를 ISS에서 직접 싹을 틔운다. 특수 제작된 ‘우주새싹배양기’에서 씨앗의 싹을 틔워 ... ...
크리스마스 때 DNA맞춤식단 주문할까?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분홍색 소변이 나오고 콩나물 때문에 소변에서 이상한 냄새가 풍긴다면 그 원인은
바로
유전자에 있다. 유전자의 결핍으로 몸에서 사탕무의 색소를 분해하는 효소가 잘 만들어지지 않으면 당연히 분홍색 소변이 나올 수밖에 없다. 콩나물에 들어있는 아스파라긴산도 같은 경우다. 가족 중 이 같은 ... ...
헬리콥터 100년史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중력장방정식을 출발점으로 한다 여기서 얻어지는 해(解)로 표현된 우주모델이
바로
팽창우주인 것이다 이것은 시간적으로 두 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것인데, 팽창의 속도와 두 점 사이의 거리의 비율인 팽창률은 허블상수(H)로 주어진다 팽창 속도는 우주를 이루는 물질들의 만유인력으로 ... ...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손이 자유로워졌지만 거기에 맞춰 뇌가 커지는데 그토록 오랜 시간이 걸린 것은
바로
비싼 조직의 한계를 극복해야 했기 때문이다. 즉 뇌가 커지려면 다른 비싼 조직이 작아져야 하는데 그 후보를 찾기가 쉽지 않다. 정제된 영양분인 포도당을 좋아하는 뇌를 위해 간은 끊임없이 글리코겐에서 ... ...
원전사고 예방하는 '수호천사' 아틀라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원자로 안으로 자동으로 주입돼 핵연료봉을 냉각하기 시작했다. 이제 안심이라고 생각한
바로
그때, 갑자기 안전주입펌프가 작동을 멈췄다! 그리고 누군가 소리쳤다.“스테이션 블랙 아웃(station black out)입니다!”뭐? 발전소 전체에 정전이라고? 어이가 없어서 말이 안 나왔다. 하지만 이정도로 쉽게 ... ...
크리스마스 밤하늘 장식하는 '전구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돌리면 밝기가 3등급과 4등급 사이에서 변하는 또 다른 맥동변광성 하나를 볼 수 있다.
바로
세페우스자리에 있는 델타(δ)별이다. 하지만 이 별은 미라와 달리 밝기가 변하는 주기가 5일 9시간으로 매우 짧다. 이처럼 밝기가 변하는 주기가 하루에서 50일 사이로 짧은 변광성을 ‘세페이드형 ... ...
12월이 빨리 지나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짧게 느껴지지만, 뜨거운 난로에 손을 대고 있는 2분은 2시간처럼 길게 느껴진다. 이것이
바로
상대성이다.” 찜질방에 가서 뜨거운 벽에 손을 대고 최대한 참아 봐라. 그리고 밖에 나와서는 그 시간만큼 재미있는 일을 해봐라. 시간이 상대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시간의 상대성이 극적으로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물만 있어도 인류가 영원히 쓸 수 있는 에너지가 나온다. 태양을 비롯한 모든 별은
바로
핵융합을 이용해 빛과 열을 내고 있다.핵융합이란 과연 무엇일까? 이 세상의 모든 물질을 더 이상 자를 수 없을 정도로 자르면 원자가 된다. 원자는 전자와 원자핵으로 이뤄져 있다.태양처럼 가운데에 있는 것이 ... ...
말랑말랑한 젤리가 위험하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부위를 잡고서 안쪽으로 세게 여러 번 당긴다.의식이 없는 경우➊ 환자를 단단한 바닥에
바로
눕히고 입으로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입 속에 손을 넣어 이물을 제거한 후 환자를 옆으로 눕히고 가슴 부위에 무릎이 닿게 다가 앉아서 등 부위를 빠르고 세게 여러 번 친다➋ 위의 방법이 실패한 경우 ... ...
PART2 막강 플라스틱 패밀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많이 쓰였지. 그러나 이런 고정관념을 깬 신통방통한 플라스틱이 태어났어. 주인공은
바로
폴리아세틸렌, 아니 정확히는 도핑된 폴리아세틸렌이야. 사실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오래 전부터 폴리아세틸렌이 전기를 통할지도 모른다는 주장이 제기됐어.1977년 일본 도쿄기술연구소 시라카와 ... ...
이전
699
700
701
702
703
704
705
706
707
다음
공지사항